올해 1분기 외국인 직접투자(FDI)가 중국과의 관계 회복 등에 힘입어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18년 1분기 외국인 직접투자 신고액이 49억3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8.1% 증가했다고 4일 밝혔는데요.
1분기 기준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이다. 중국발 FDI는 외환송금 규제 강화와 해외투자 분야를 제한하는 ‘해외직접투자 지도 지침’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많이 감소했지만, 12월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경제교류가 회복하며 FDI도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출처: 헤럴드경제)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중정상회담을 계기로 시차를 두고 좋은 성과를 기대해 볼 수 있는 관련 기업들을 알아보려 합니다.
1. 크루셜텍
- 동사는 나노광학기술을 바탕으로 OTP(Optical TrackPad; 모바일 광마우스)와 BTP(Biometric TrackPad; 모바일 지문인식 솔루션) 모두를 세계 최초로 개발 및 상용화한 R&D특화 기업이다.
- BTP는 OTP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지문인식이 가능한 장치로 기술의 완전성은 물론 양산 준비까지 완료된 상태라 향후 관련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2013년부터는 OTP에 지문인식 기능을 추가한 BTP에 대한 기대감도 상승. 모바일에서의 보안 문제나 더 편리하고 안전한 인증 솔루션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모바일 생체인식기술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동사는 현재까지 17개 글로벌 고객사의 90여개 스마트폰 모델에 BTP를 공급하여 명실상부한 업계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하였다.
- 매출구성은 바이오메트릭 83.62%, PL렌즈 10.61%, 기타 5.35%, 옵티컬 0.35%, 모바일플래시모듈 0.06% 등으로 구성된다.
2. 위메이드
- 동사는 국내에 2001년 상용화된 미르의전설2, 2003년 상용화된 미르의전설3와 같은 정통 MMORPG 위주의 온라인 게임을 개발하고 서비스하는 사업을 중심으로 영위하고 있다.
- 주요 제품으로 `미르의전설 2, 3`, `이카루스`, `윈드러너`, `실크로드온라인`, `에브리타운` 등이 있으며, 2015년에는 동사가 보유한 `미르의전설` IP를 활용한 모바일게임 `열혈전기`가 중국에서 출시했다.
- 2016년 1월, 모바일 게임 소울앤스톤을 출시하였으며, 개발하는 모바일 게임들의 개성을 강화하고자 모바일 게임 전문 자회사(㈜위메이드넥스트, ㈜이보게임즈, ㈜위메이드플러스)를 설립했다.
- 경쟁력 높은 IP(지식재산권) 중심의 해외시장 진출 확대 및 기존 온라인게임 `이카루스`를 러시아에서 정식으로 서비스 시작하였다.
- 매출구성은 라이선스 52.65%, 모바일매출 26.86%, 온라인매출 19.99%, 기타 0.5% 등으로 구성된다.
3. 한국화장품제조
- 동사는 인적분할을 통해 화장품판매 및 부동산임대 사업을 주 목적으로 하는 신설회사 "한국화장품(주)"를 설립하였으며, 2010년 4월 30일까지 영위하던 화장품판매 및 부동산임대 사업을 "한국화장품"으로 이관했다.
- CGMP 인증은 물론 국제 규격인 ISO 22716 인증까지 획득하며, 글로벌시장에 맞는 기업으로의 개선을 완료한 우수한 품질과 기술력을 보유한 한국의 대표 OEM 및 ODM 화장품제조기업이다.
- 동사는 직접방문, 전화상담, 고객내방상담 등의 방식을 통해 확보된 거래처로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거래약정에 의거하여 대금결재방식을 결정하고 있다.
- 2017년 동사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인삼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등 4개의 특허를 취득하였다.
- 매출구성은 화장품 99.38%, 기타 0.62% 등으로 구성된다.
4. 아모레퍼시픽
- 동사는 화장품의 제조 및 판매, 생활용품의 제조 및 판매, 식품(녹차류, 건강기능식품 포함)의 제조, 가공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며, 화장품과 생활용품, 녹차 사업으로 구분된다.
- 화장품사업에서 럭셔리 사업부는 차별화된 브랜드 역량을 바탕으로 럭셔리 시장을 선도하는 한편 신수요를 발굴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면세점 경로는 외국인 관광객 증가 및 온라인과 글로벌 면세 확장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 프리미엄 사업부는 혁신적인 신제품과 차별화된 디지털 마케팅 활동을 바탕으로 젊은 고객층을 확대하였으며, 생활용품 사업부는 브랜드 및 제품의 프리미엄화와 유통 채널 다변화에 집중하였다.
- 오설록 사업부는 오설록 삼다연 삼(杉) 병차가 2016년 시즈오카 세계 녹차 콘테스트에서 금상을 수상, 녹차 우전이 2016 북미 차 챔피언십 덖음차 부문 1등을 차지하는 등 글로벌 명차 브랜드로 위상을 높이고 있다.
- 매출구성은 화장품 88.82%, MCandS 11.18% 등으로 구성된다.
5. LG생활건강
- 2001년 LG화학에서 분할 신설되었으며 생활용품 및 화장품 등을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종속회사를 통해 비알콜음료 사업과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사업부문은 Healthy(생활용품)부문, Beautiful(화장품)부문, Refreshing(음료)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음. 국내 생활용품 시장에서는 1위, 화장품 시장에서의 2위, 음료 시장에서 2위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 생활용품의 대표 브랜드로 엘라스틴, 페리오, 자연퐁 등이 있으며, 화장품 대표 브랜드로 후, 숨, 오휘, 더페이스샵 등이 있음. 음료 브랜드로는 코카콜라, 파워에이드 등이 있다.
- 2015년 화장품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제니스의 지분 70%를 인수. 2016년에는 뷰티편집숍인 네이처컬렉션 광화문 1호점을 오픈했다.
- 매출구성은 Beautiful(화장품) 50.94%, Healthy(생활용품) 26.15%, Refreshing(음료) 22.91%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 왕초보 주식 공부 > 테마주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포지역 구제역으로 인한 살처분... 대책이 되는 구제역 관련 주식정리 (0) | 2018.04.07 |
---|---|
한러기업협의회 본격 가동 시작, 다시 보는 러시아 가스관 관련 주식정리 (0) | 2018.04.07 |
문재인 대통령의 국빈 방문, 베트남 관련 주식정리 (0) | 2018.04.06 |
공인인증서 폐지, 전자서명법 정부 개정안 관련 주식정리 (0) | 2018.04.05 |
초고령사회의 필수품, 보청기 관련 주식정리 (0) | 2018.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