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와 해외를 합산한 건설수주총액은 2010~2014년까지 합산 약 180조(국내110조+해외70조)였는데요. 이 기간은 해외가 성장동력이었습니다. 2015~2017년은 합산 190조(국내 160조+해외30조)인데 국내가 급성장한 시기여서 가능했죠. 앞으로 2018~2020년은 합산 200조(국내 150조+해외50조)로 총 수주액의 성장세가 나타날 전망이며, 여기에 남북경협은 +α로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개성공단 잔여부지(총 면적의 95%)건설, 남북경제-관광협력도시 건설, 남한 내 도시개발 사업과 대행개발 활성화가 시장확대로 이어질 전망이고 환산하면 최대 50조원/년에 해당하므로, 건설업종에 대한 비중확대를 지속해야 할 시기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몇 종목들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gaesong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1. 태영건설

  • 1973년 설립되었으며 태영건설 기업집단에는 SBS미디어홀딩스, SBS컨텐츠허브 등의 28개사의 종속회사가 포함되어 있다.
  • 2017년 기준 토건시공능력평가순위 20위의 종합건설업체로서 토목환경건설, 건축주택건설, 플랜트건설, 해외건설사업, 레저사업 등의 사업을 영위 하고 있다.
  • 상하수도 공사 및 정수시설공사에 대해 특화된 시공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철도/도로분야의 대형프로젝트를 수주함으로써 토목분야 기술형입찰시장에서 상당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 동사는 연구개발조직으로 기술연구팀을 운영하고 있으며 하폐수 고도처리 방법, 가압식 막의 차압 모니터링에 의한 역세척 시간 및 수량과 유지 세정 자동전환 장치 및 방법 등을 수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건설 71.03%, 환경 13.03%, 방송 12.89%, 레저 2.19%, 기타 0.87% 등으로 구성된다.


2. 현대건설

  • 동사는 1950년 설립되었으며, 토목/환경사업, 건축/주택, 플랜트/전력, 기타부문으로 구분되는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으로 현대엔지니어링 등의 종속 회사를 거느리고 있다.
  • 토목, 건축산업은 거시경제지표와 상관성이 높은 산업으로 최근 글로벌 경기 불황으로 인해 침체기를 맞고 있으나 2016년 시공능력평가 2위를 기록하며 국내시장에서도 탄탄한 입지를 구축했다.
  • 플랜트 및 원자력 사업은 유가와 석유소비량, 세계 각국의 에너지 정책 및 투자계획, 국제 에너지협약 등의 영향을 받고 설계, 엔지니어링, 시공, 시운전까지 이르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후발기업 진입이 어렵다.
  • 기업부설연구소를 통해 초고층 건물의 시공단계별 계측 데이터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케이슨 제작공정 단축 및 중공형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기술 등을 개발 진행 중이다.
  • 매출구성은 건축/주택 48.55%, 플랜트/전력 32.7%, 인프라/환경 15.48%, 기타 5.73%, 내부거래제거 -2.45% 등으로 구성된다.


3. GS건설

  • 1969년 락희개발(주)로 설립되었으며 주요 사업으로 인프라사업, 건축사업, 플랜트사업, 전력사업, 환경사업 등을 영위하고있다.
  • 동사는 도로, 철도, 사무용빌딩, 공장, 석유정제설비, 발전소 등을 주요 재화 및 용역으로 하며, 건축사업에서 해외 업체와의 MOU 체결을 통해 전략국가 중심으로 독자적인 해외사업기반을 확대하고 있다.
  • 첨단 오피스 빌딩 및 첨단 공장(CR, GMP)시설, 인터넷데이터센터(IDC)에 대한 차별화된 기술력과 다수의 대규모 Project 수행을 통한 전문 시공관리 Know-how를 확보하고 있다.
  • 연구개발활동으로 Aerodynamic Load에 의한 열교환기 진동제어 설계기술,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형태별 보수/보강재료 선정 Guideline 구축 등을 진행 중에 있다.
  • 매출구성은 국내도급공사(건축) 45.88%, 해외도급공사 31.29%, 자체공사 7.23%, 국내도급공사(전력) 5.34%, 국내도급공사(플랜트) 4.81%, 국내도급공사(인프라) 4.23%, 기타 1.21% 등으로 구성된다.


4. 유진기업

  • 동사는 1984년 6월에 설립되어 레미콘의 제조, 판매와 건설업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다.
  • 동사는 구축물 등에 사용되는 레미콘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시멘트 및 골재 등을 이용하여 건자재를 생산, 판매하고 있음. 90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거리가 본 제품의 시장권역을 형성하고 있다.
  • 레미콘 산업은 계절형 산업으로, 레미콘은 수요처인 건설산업의 동향에 지대한 영향을 받으며 봄과 가을에 수요가 급증하고 겨울철에는 수요가 급락하는 현상을 보인다.
  • 최근 건설경기가 주춤하여, 레미콘 시장 규모가 감소추세를 이루고 있지만, 꾸준한 주택 수요 증가와 경기진작 효과를 가져올 대규모 토목공사가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되어 완만한 성장세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매출구성은 레미콘 74.21%, 건자재유통 22.16%, 기타 3.54%, 건설 0.09% 등으로 구성된다.


5. SK디앤디

  • 동사는 부동산개발을 주요 목적으로 2004년 설립되고 2015년 6월에 주식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회사로서, 부동산개발과 신재생에너지개발사업을 주 영업목적으로 하고 있다.
  • 개발대상지역 또는 물건의 선점능력, 인허가 추진, 공사기간 준수, 분양관리, Risk Management 등 추진사업에 대한 전방위적인 관리 능력을 바탕으로 부동산,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사업은 부동산개발사업, 부동산임대업으로 나눌 수 있으며 국내 비주거 시장에 초점을 맞추어, 부동산 시장트렌드 및 지역 특성에 맞는 오피스, 호텔, 지식산업센터, 물류센터, 오피스텔, 상업시설 등을 개발하고 있다.
  • 태양광발전소 EPC에서 시작한 신재생에너지사업은 태양광, 풍력발전소 운영, 대규모 풍력발전소 EPC 사업에 참여 하는 등 사업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부동산 76.16%, 신재생에너지 15.31%, 가구 8.46%, ESS 0.07%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들

2018/04/29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건설 바람이 다시 불까, 시멘트 관련 주식 정리

2018/04/12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 발표, 도시재생 관련 주식정리

2018/04/08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고리 1호기 해체 결정, 원전해체와 관련된 주식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하나금융투자 리포트 "건설, We build the future"

주식에 대해 다루는 많은 매체에서 '컨센서스'라는 단어를 한번쯤은 들어보셨을겁니다. '시장의 컨센서스'라던지 '컨센서스를 하회했다'와 같은 표현을 하기도 하고요. 형용사처럼 쓰이는 '컨센서스'라는 단어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일까요?



1. 컨센서스의 정의

시장 전문가들에 의해 분석된 주식 종목 또는 업종과 시장에 대한 평균적인 매매 가격(목표가격)과 매매 입장 등을 포함한 일련의 투자정보



2. 컨센서스가 필요한 이유

투자자는 매매와 관련된 중요한 요소를 결정하기 위해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지만 여기에는 한계가 존재합니다. 증권사나 투자분석기관 및 각종 투자중계회사에서도 주식 매매에 도움이 되는 자료들을 수시로 제공하고 있지만 그 종류와 의견이 매우 다양하죠. 전문투자기관, 투자중계기관, 투자정보분석기관, 애널리스트의 분석 관점과 실력에 따라 상이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시장에서 특정 주식 종목과 업종에 대해 어떤 의견을 가졌는지 '보통의' 투자의견이 무엇인지 알기가 힘듭니다. 컨센서스는 이러한 다양한 의견에 대해서 평균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보통의 투자의견을 알려줍니다.



3. 컨센서스의 활용


CASE A) 특정 주식 종목에 호재가 발생하여 매수를 고려중일 때

현재의 주가가 컨센서스로 제시한 목표가격보다 낫다면 상승 여력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CASE B) 특정 주식 종목의 주가가 상승랠리를 이어갈 때

현재의 주가가 컨센서스로 제시한 목표가격을 넘어섰다면 매수타이밍으로 바라볼 수 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14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MFI(Money Flow Index) 보조지표, 가격과 거래량을 동시에 반영

2018/05/12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이동평균선(moving average)의 의미와 활용

2018/04/30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기술적 분석 지표로 수익내기 - 스토캐스틱



※ 참고자료

(1) http://www.econowide.com/3539

PC와 TV, 스마트폰의 수요 정체로 인해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들의 성장과 가동률이 다소 저조했던 가운데에 OLED 디스플레이 TV의 점유율 확대가 새로운 길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LG디스플레이가 상반기 적자로 힘들었지만 하반기에는 턴어라운드 할 것으로 기대되면서 디스플레이 섹터를 이끌지 않을까 기대됩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몇가지 종목들을 살펴보려 합니다.



1. LG디스플레이

  • 동사는 TFT-LCD 및 OLED 등의 기술을 활용한 Display 및 관련 제품의 연구, 개발, 제조, 판매를 하고 있으며, TFT-LCD 및 OLED 제품의 생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중이다.
  • OLED는 2013년 1월 55인치 OLED TV를 세계 최초로 공급한 데 이어, UHD OLED TV, 플렉서블 OLED 스마트폰, Wearable용 원형(Round) OLED 패널 등을 지속적으로 출시했다.
  • 노트북과 모니터 제품 등 전통 IT 제품 시장은 성장 정체 혹은 역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빠르게 진화 중인 e생태계 환경에 발맞춰 Smartphone 등 중소형 Display 시장이 꾸준하게 성장 중이다.
  • LCD에서는 IPS 기술 기반의 초대형/고해상도 UHD TV 및 대형/IPS/21:9 Curved 모니터 등 차별화 제품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in-TOUCH 기반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생산 체계를 구축했다.
  • 매출구성은 Display 패널 100% 이다.


2. 삼성SDI

  • 1970년 1월에 설립되어 소형전지, 중,대형전지 등을 생산/판매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판매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영위중이다.
  • 동사는 리튬이온 2차 전지 사업부문에서 2010년에는 세계 전지시장에서 M/S 1위를 차지한 이래로 현재까지 지속유지하고 있다.
  • ESS 사업은 차별화된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력과 양산기술로 제품 경쟁력을 제고하는 한편 한국, 미국, 유럽, 일본 등지의 유통채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 향후 ESS 산업은 발전설비 분산화와 신재생 발전 성장에 따른 수요 확대, 경제성 확보에 따른 도입 증가로 연간 50% 이상의 고속 성장이 전망이다.
  • 매출구성은 소형전지 등 68.09%, EMC 외 31.91% 등으로 구성된다.


3. SKC코오롱PI

  • 동사는 2008년 6월 폴리이미드 필름 및 관련 가공제품의 연구개발, 생산 및 판매를 주 목적으로 하여 SKC와 코오롱인더의 합작설립 PI 필름은 대부분의 전기·전자제품에 전반적으로 적용되는 핵심 소재이다.
  • PI 필름은 스마트폰 및 Display 분야에 주로 사용되며, 절연용으로 사용되는 PI 필름은 중공업, 조선, 건설 분야 뿐만 아니라 전기자동차, 고속철도 등 그 수요와 적용분야가 증가하고 있다.
  • 동사는 전세계 PI 필름 Maker 중 유일하게 절연용-FPC용-Sputtering용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타 Maker에서는 잘 대응되지 않는 특수(Customized) 두께 제품, 특수폭 제품 또한 시장에 공급중이다.
  • 기존 FCCL 內 제품 포트폴리오 다각화 및 신규 적용시장 등에 대한 PI(Polyimide) 필름 지속 연구개발을 통하여 매출을 확대할 예정이며 2017년 기준 시장 점유율은 27.9%이다.
  • 매출구성은 PI필름 99.98%, 임대 0.02% 등으로 구성된다.


4. 주성엔지니어링

  • 동사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신재생에너지, LED, OLED 제조장비의 제조 및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3년 6월 설립. 1995년 법인 전환 후 1999년 1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 동사는 현재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LED 및 OLED 제조장비 사업을 영위하며, LED용 GaN MO CVD 장비사업과 OLED 제조장비 사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다.
  • 반도체, FPD, 태양전지 장비산업은 세계화가 이루어진 상태로 각 장비당 경쟁사는 2∼4개로 압축. 국내에서도 설비 선정 시에 생산성 및 신뢰성 평가가 주안점. 주문제작 체제로 산업을 둘러싼 국내외적 환경변화 극심하다.
  • 100% 수입에 의존하던 LED 제조 핵심 장비인 GaN MO CVD의 국산화. 향후 2~3년간 모바일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OLED 디스플레이 시장 진입했다.
  • 매출구성은 디스플레이 56.78%, 반도체 40.52%, 태양전지 2.7% 등으로 구성된다.


5. 덕산네오룩스

  • 2014년 12월 31일 덕산하이메탈에서 인적분할 후 신설된 회사이며 AMOLED 유기물 재료 및 반도체 공정용 화학제품을 제조/판매하는 화학소재사업 영위하고 있다.
  • OLED의 핵심 구성요소인 유기재료를 생산하는 회사이며 HTL과 Red Host 등을 주력 제품으로 개발 및 양산하여 공급을 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R&D를 통하여 여타 유기재료 개발에도 주력중이다.
  • OLED는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조명산업에서도 크게 주목 받고 있으며 OLED 면조명은 신개념의 면광원으로서 기존 백열등 대비 70~90%의 전력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 고객사와의 긴밀한 관계성 및 고순도의 정제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품질의 원재료 구매 능력과 높은 수율이 강점이다.
  • 매출구성은 OLED재료 100% 이다.


※ 함께보면 좋은 글들

2018/05/08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양자구도 QLED 관련 주식정리

2018/03/13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OLED 관련 주식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하나금융투자 "디스플레이 시장을 읽는 3가지 지표"


1H18 패션의류 주가는 실적에 수렴했습니다. 특히 브랜드 업체의 주가 상승이 부각되었는데요. 브랜드 업체는 1) 신규 브랜드 론칭, 2) 판매 전략 적중, 3) 원가 개선 을 통햇 실적을 개선하였고, 이와 반대로 OEM 업체들은 1) 원/달러 환율 하락, 2) 고객사 주문량 더딘 회복, 3) 자회사 부진 가 실적 저조로 이어졌습니다. 오늘은 실적 개선을 통해 주가 상승을 이룬 브랜드 기업들을 정리해보려합니다.





1. 휠라코리아

  • 동사는 각종 가정용 섬유제품, 의복, 신발, 가죽제품, 시계, 화장품 및 골프장비 등의 제조, 도소매 및 수출입을 목적으로 1991년 7월 11일에 설립됐다.
  • 동사의 대표 브랜드인 FILA를 포함하여 FILA GOLF, FILA KIDS, FILA INTIMO, filativa의 5개 브랜드 및 기타 사업부문을 보유하고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휠라 키즈(FILA KIDS)는 특유의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배합하여 3세부터 13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아동복 브랜드로서 자리매김하였으며, 아동범죄 예방을 위한 캠페인 등을 개최하여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 filativa는 20대의 섹시함과 스포티함, 그리고 30대의 심플하고 모던한 스타일에 맞게 다양한 상품을 전개하고 있으며, 기능성 소재 및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상품을 고급화하여 신규고객의 유입을 유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상품판매 97.63%, 로열티수익 2.37% 등으로 구성된다.


2. 한섬

  • 동사는 1987년 5월 25일에 설립되어 여성의류의 제조판매업을 주요 영업으로 하고 있음. 2017년 9월 기준 현재 동사에 속한 종속회사는 5개사이다.
  • SPACE MUE를 통해 테스트를 거친 Chloe, LANVIN, see by Chloe를 단독매장으로 분리, 유명 도심 백화점을 중심으로 전개하여 해외 명품 브랜드 비즈니스에서도 메이저 컴퍼니로 자리잡았다.
  • 주요 브랜드로 SYSTEM, MINE, SJSJ, TIME HOMME, SYSTEM HOMME, 랑방컬렉션, DECKE 등이 있으며, 백화점, 대리점, 직영점 등을 통해 대도시 중심지역에서 영업중이다.
  • 2016년 12월 (주)SK네트웍스의 패션사업부문을 양수했다.
  • 매출구성은 (주)한섬 62.34%, (주)현대지앤에프 25.66%, (주)한섬글로벌 11.09%, 한섬상해(상무),유한공사 0.76%, Handsome Paris 0.15%, Obzee New York.lnc 0% 로 구성된다.


3. 신세계인터내셔날

  • 신세계그룹의 계열사로서 신세계백화점 내의 해외사업부로 시작된 패션 비즈니스 전문기업이다.
  • 해외 유명 브랜드를 국내에 직수입하여 유통채널을 통해 판매하는 해외패션부문과 자체 브랜드상품을 기획, 생산, 유통하는 국내패션부문, 2010년 5월 당시 신세계의 이마트 부문에서 양수한 라이프스타일 사업부문으로 구분된다.
  • 해외패션부문은 J.LINDEBERG, ARMANI, DOLCE AND GABBANA, DIESEL, GAP 등의 브랜드를 통해 사업을 전개하며, 국내패션부문은 VOV, GCUT 등을 기획 및 제조중이다.
  • 연구개발담당조직으로 VOV디자인센터, G-CUT디자인실, PL디자인센터, DU디자인실, 살로몬디자인실, JAJU DESIGN R&D센터를 두고 있다.
  • 매출구성은 상품 및 제품매출 98.99%, 기타 1.01%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14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제습기 관련 주식정리, 새로운 가전제품의 트렌드

2018/04/23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새로운 한류의 등장, E 스포츠 관련 주식 정리

2018/04/17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일코노미(1-economy)'의 시대, 혼밥 혼술 관련 주식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미래에셋대우 산업분석리포트 "트렌드 Reader가 마켓 Leader다."



작년부터 중소형 반도체주는 메모리 공급초과 우려로 하락하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스마트폰 수요 둔화, 캐파 증설 때문이었죠. 그러나 서버 수요, 공정 전환 둔화로 메모리 반도체 수급은 여전히 견조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반기 반도체 공급초과 신호는 여전히 감지되지 않는다고 하구요. 기관/외인 수급도 지속적인 매도를 거치며 부담 없다고 하는데요.


반도체 대장축에 끼는 SK하이닉스가 단기적으로 전고점을 뚫는 랠리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이에 중소형주들도 탄력적인 주가 반등이 기대되고 있는데요. 고점 대비 큰 폭으로 하락해 있는 종목들이 선제적인 관심을 받을 전망입니다. 이와 관련된 몇가지 종목들을 살펴보려합니다. 




1. 테스

  • 동사는 반도체 및 태양전지 제조에 필요한 장비를 생산하는 장비제조업을 영위하며 반도체 소자업체와 태양전지 제조업체가 주요 고객이다.
  • 2012년도에는 HF Dry Etcher와 다른 공정을 하나의 장비에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복합장비(Hybrid System) 양산에 성공하며 반도체 기술 트렌드에 부합되는 장비 다변화에 성공하였다.
  • 동사는 2016년 하반기부터 Gas Phase Etcher(가스방식의 Dry Etcher)장비를 신규 고객에게 런칭하며, Gas Phase Etcher장비의 고객다변화에 성공하였다.
  • 동사의 PECVD 장비시장에서는 주로 A, L사 등의 외국기업과 경쟁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동사를 비롯하여 국내 PECVD업체들이 주요 고객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내에서의 장비점유율이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반도체 및 태양전지 장비 91.48%, 원부자재 등 8.52% 등으로 구성된다.


2. 원익IPS

  • 동사는 인적분할로 설립된 신설회사로 2016년 5월 재상장하였으며, 분할 전 회사인 원익홀딩스가 영위하던 사업 중 반도체, Display 및 Solar 장비의 제조사업부문을 담당하고있다.
  • 반도체 기술의 발전속도 및 반도체의 세대 교체가 주기적으로 진행되므로 장비의 평균 기술 수명은 약 5년 정도이며, 지속적으로 차세대 디바이스의 생산에 적합한 장비의 개발이 필요하다.
  • 동사는TFT-LCD 공정 중에 TFT-Array 공정에 Dry Etcher 장비를 주로 납품하며,TFT Backplane 공정상 필요한 Dry Etcher 장비의 경우 양산장비로 납품을 진행하고 있다.
  • 대체에너지 및 청정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태양광전지 양산장비를 생산하는 Solar 사업부문은 시장확대에 따라 인력 및 시설을 확충하고 있으며 국내 태양광전지 양산업체와 JDP 등을 통한 제품 다양화를 준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제품 92.1%, 상품 및 용역 7.9% 등으로 구성된다.


3. SK하이닉스

  • SK그룹에 속한 동사는 DRAM과 NAND Flash 및 MCP(Multi-chip Package)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 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는 글로벌 종합 반도체 회사이다.
  •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저 용량부터 고용량까지 다양한 단품 및 응용 복합 제품을 기반으로 고객의 수요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응용 분야별 선택과 집중을 통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고 시장 지배력을 확대 중이다.
  • 서버 메모리는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의 성장세 유지로 지속적인 수요 증대가 전망 되며 AI와 머신 러닝의 성장이 본격화되면서 High Bandwidth 및 High Density 메모리 수요 증대가 전망된다.
  • HBM 2세대 제품 개발에 성공 2018년 하반기 대량 생산, 세계 최고 속도의 20나노급 8Gb GDDR6 그래픽 D램을 개발하여 최고급 그래픽 카드 예상 출시 시점인 2018년초에 맞춰 제품을 양산할 계획이다.
  • 매출구성은 반도체 부문 100% 이다.


4. 한솔케미칼

  • 동사는 라텍스, 과산화수소, 요소수지, PAM(고분자응집제), 차아황산소다 등의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는 업체로 1980년 3월 13일 설립되었으며 동사 포함 67개의 계열사 보유중이다.
  • 주요 제품은 제지, 반도체용 정밀화학제품, 제지/환경제품, 전극보호용 전자소재 제품, 목재접착용 기타제품, 가성소다 상품이 있다.
  • 과산화수소는 과거 주 수요처였던 제지(신문용지), 섬유 부문은 관련 산업의 침체로 인해 수요가 정체되어 있으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부문의 수요 증가에 의해 꾸준히 판매량이 증가했다.
  • 동사는 라텍스 부문에서 43%, 차아황산소다 부문에서 64%, BPO 부문에서 65%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 매출구성은 정밀화학 47.02%, 제지/환경 25.95%, 전자소재 19.01%, 상품 5.56%, 기타제품 2.05%, 기타 0.41% 등으로 구성된다.


5. 원익머트리얼즈

  • 동사는 2006년 12월 1일을 기준으로 주식회사 아토의 특수가스 사업부문을 물적 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반도체용 산업가스 및 일반산업용 가스의 충전, 제조, 정제 및 판매 등을 영위중이다.
  • 특수가스는 반도체, LCD, LED, 태양전지 및 AMOLED 등을 제조하는 공정용 소재로 사용되는 소재이다.
  • 특수가스의 수요 분야는 크게 DRAM과 FLASH 등의 Memory 반도체를 생산하는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반도체 등의 종합반도체 회사를 중심으로, 삼성디스플레이, LG이노텍 등 디스플레이 및 LED제조회사로 분류된다.
  • 신규시설 투자를 통하여 반도체 기술 변화(미세화, 3D화) 및 고객사 신규라인 증설에 따른 전구체 수요증가 대응 및 HCDS,HCDS 합성기술을 활용한 Si Base 전구체 국산화를 추진중에 있다.
  • 매출구성은 상품(SI2H6,GeH4..) 51.08%, 제품(N2O,NH3..) 48.92%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20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시스템반도체 관련 주식정리,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을 위한 반도체의 세대교체

2018/05/16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무선충전 관련 주식정리, 와이파이와 같은 차세대 기술이 될까

2018/05/08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3D낸드플래시(NAND FLASH) 반도체 관련 주식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신한금융투자 산업분석 리포트 "중소형주에 다시 관심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