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애플은 wwdc 2018 컨퍼런스를 앞두고 있는데요. 이곳을 통해 아이폰SE2가 발표될지 기대되고 있습니다. 애플은 마니아층이 두터운 브랜드인만큼 매 신규모델 출시마다 많은 화제를 낳았는데요. 오늘은 애플의 호실적이 호재로 작용했던 몇가지 종목에 대해 정리해보려합니다. 애플 관련 종목은 많지만 가장 최근 뉴스를 기준으로 정리해볼게요.


iphone se 2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1. 에스맥

  • 동사는 휴대폰을 비롯한 각종 IT기기의 입력장치에 사용되는 입력 Module을 개발, 생산하여 국내외 업체에 판매를 하고 있으며, 현재 터치스크린패널의 주요 원자재인 ITO Sensor의 자체 생산도 진행하고 있다.
  • 주요 제품은 휴대폰 등 모바일기기의 입력장치에 사용되는 Touch Screen Module 및 Key Module, Speaker Module 이 있다.
  • 주 매출처인 삼성전자는 원가절감 및 해외 생산기지 확보 차원에서 중국, 동남아 지역에 현지 공장 운영 중에 있으며, 동사 역시 현지 공장(중국 동관, 베트남 박닌)설립하여 직접 납품을 통해 수요자의 특성에 대응하고 있다.
  • 기존 Key Module 위주의 입력장치의 개발/생산을 위주로 사업이 이루어졌으나 휴대폰 및 기타 휴대용 기기의 고기능, 고급화에 따른 새로운 입력장치로 터치스크린 부분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Touch Module 99.7%, Sub Module 외 0.3% 등으로 구성된다.


2. LG이노텍

  • 동사는 1970년 금성알프스전자(주)로 설립되었으며, 전기전자부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종합 전자부품업체임. 2009년 LG마이크론(주)와 합병했다.
  • 현재 광학솔루션 사업부문, 기판소재 사업부문, 전장부품 사업부문, LED 사업부문의 4개 사업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모바일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 자동차, LED 조명 등의 주요 부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 국내외 주요 거점 별로 11개 생산기반과 10개 판매거점을 구축하여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보하였으며, 국내와 일본에 R&D 캠퍼스와 연구소를 운영하며 혁신기술과 시장선도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글로벌 TOP 지위를 확보한 Display 부품 사업군은 신기술 개발 및 신제품 선 제안을 통한 시장선점으로 안정적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광학솔루션사업부 외 61.23%, 전장부품사업부 16.15%, 기판소재사업부 14.33%, LED사업부 8.29% 등으로 구성된다.


3. 삼우엠스

  • 동사는 국내 본사와 중국(천진삼우엠스 유한공사, Tianjin CrucialEms Co., Ltd.), 및 베트남(SamwooEms Vina Co., Ltd.) 등 3곳의 해외 법인을 운영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 현재 주력 사업은 스마트폰 외장 케이스 제조와 모기업 크루셜텍의 생체인식 모듈 전공정을 들 수 있으며, 신사업으로 고급 화장품 케이스 및 첨단 수술로봇용 소모성 수술도구(instrument) 제조를 준비 중이다.
  • 최대 고객사인 삼성전자의 주문을 받아 다양한 글로벌 시장향 휴대폰케이스를 공급하고 있으며 우수한 금형, 사출기술과 연구개발인력, 신속한 대응력으로 고객사로부터 생산 및 기술 경쟁력을 높이 평가 받고 있다.
  • 다양한 크기의 제품을 만들 수 있는 첨단 사출설비와 초고난도, 초미세 가공기술을 바탕으로 올 하반기 글로벌 명품업체의 프리미엄급 화장품 케이스 양산을 앞두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소모성 수술로봇 부품 양산 준비 중이다.
  • 매출구성은 휴대폰ASSY 42.44%, 원부자재 29.12%, 생체인식모듈 27.63%, 기타 0.81% 등으로 구성된다.


4. 인터플렉스

  • 동사는 1994년 07월 설립되었으며 동사와 종속회사 화하선로판(천진)유한공사(중국)와 INTERFLEX VINA CO.,LTD.(베트남)는 FPCB 제조업 단일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 FPCB는 전자제품의 소형화, 경량화에 따른 적용 제품군의 확대로 PCB시장에서의 점유율도 증가하고 있음. 99년에 국내 최초로 폴더형 FPCB를 양산했고 그 이듬해에는 Rigid FPCB 양산을 시작하였다.
  •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전자,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팬택 등 국내 우량 기업과 Motorola, Apple, Sharp, Flextronics 등 해외 글로벌 기업이 있다.
  • 현지에 진출한 Big Customer의 요구에 따라 중국 및 베트남 출자회사에 생산 CAPA 증설투자를 진행하였으며, Multi FPCB LINE 구축을 통한 현지 생산 및 공급량 확대 등으로 매출 증대에 기여 중이다.
  • 매출구성은 제품 56.06%, 상품 43.94% 등으로 구성된다.


5. 비에이치

  • 동사는 첨단 IT산업의 핵심부품인 FPCB와 그 응용부품을 전문적으로 제조, 공급하는 회사로 전문 FPCB 벤처 기업이다.
  • 40㎛ 수준인 Fine Pattern LCD 모듈, PDP Drive 용 FPCB와 High Technology의 IVH 및 HDI를 채용한 고부가가치 Rigid Flexible PCB 제품이 주력 생산제품이다.
  • 우수한 제품생산 기술력을 바탕으로 일본과 대만 등, 유수의 IT업체로의 수출은 물론 국내 대기업에 납품을 하고 있으며, 중견 FPCB 전문 제조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 2017년 삼성디스플레이 Best Partner Award를 수상하였으며, 2018년 2월에는 삼성전자 혁신우수 협력사를 수상했다.
  • 매출구성은 RF 62.06%, 다층 19.88%, 양면 14.52%, 상품 3.44%, 기타 0.05%, 단면 0.05%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03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애플 아이폰X 판매 실적 호조에 따른 아이폰X 관련 주식 정리

2018/05/03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애플이 집중하는 차세대 기술, 마이크로 LED 관련 주식 모음

2018/03/25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아이폰 관련 주식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월드컵 경기 소식이 들려오기 시작하네요. 실시간 검색어에도 올라오고 있구요. 경기 시간대가 딱 야식먹기 좋은 시간이라 치킨집 사장님들이 기분 좋으실 것 같은데요. 오늘은 치킨 관련 주식을 한번 정리해보려합니다.


1. 하림

  • 1990년 설립된 (주)하림의 사업부문 중 육계가공 및 사료제조업 등의 사업부문 일체를 2011년 1월 단순 인적 분할 방식으로 분할하여 설립하였고, 2011년 5월 코스닥시장에 재상장 됐다.
  • 동사는 세계적인 육계 가공업체로서 부상하여 원종계-종계-육계의 사육, 종란의 생산, 부화, 사료, 가공 및 유통까지 각 단계를 수직적으로 통합경영하고 있다.
  • 축산물로서는 국내 최초로 KS마크 및 ISO9001 획득하고, HACCP 인증을 받는 등 품질과 생산성에 있어서 국내외 육계시장의 선도적 지위에 있다.
  • 기존의 육계(통닭)부분 이외에도 육계 시장의 가격 하락 등 파동에 대한 완충과 수익성 제고 등을 위해 부분육(포장육), 절단육, 육계가공품 부문을 선도하여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육계 69.96%, 육가공 16.13%, 기타 13.25%, 사료 0.57%, 종란생산 0.09% 등으로 구성된다.


2. 하림홀딩스

  • 동사는 1990년 10월 설립되었으며 2011년 1월 인적분할을 통해 지주회사와 식품(닭)제조 사업부문으로 사업을 분할하고, 상호를 (주)하림홀딩스로 변경하여 순수 지주회사로 출범하여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지주회사의 장점은 경영효율성 및 투명성 향상, 지배구조 개선, 외자유치 원활 등이 있음. 현재 (주)엔에스쇼핑, (주)주원산오리, (주)그린바이텍, 한강씨엠(주) 등을 포함하여 총 24개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다.
  • 종속회사 주원산오리는 오리육 시장에 맞춰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제품과 가정에서 쉽게 요리할 수 있는 다양한 육가공제품을 갖추고 있으며 어디서나 쉽게 구입할 수 있어 시장선점, 확대가 용이하다.
  • 대한민국의 식품 대표기업인 하림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2014년 하림식품을 설립하였으며, 식품 첨단 사업화·고부가가치화 제품을 개발, 판매 할 예정이다.
  • 매출구성은 유통사업 50%, 사료사업 29.23%, 가금사업 18.32%, 양돈사업 2.29%, 지주회사 0.38%, 연결조정 -0.21% 등으로 구성된다.


3. 팜스토리

  • 동사는 1991년 04월에 서일산업(주)로 설립되어 2012년 3월 30일 합병 및 회사 이미지 제고를 위해 (주)팜스토리로 사명을 변경 하였고 양돈 배합사료 및 축산물 유통사업을 주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주요 사업부문은 사료, 육가공, 가금, 기타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으며 사료사업부는 양돈, 산란, 육계, 오리, 축우산업 발전에 공헌을 하기 위하여 끊임없는 개혁정신으로 사료산업을 이끌어 나가고 있다.
  • 식육부문은 돈육 브랜드인 생생포크와 한우 브랜드인 생생한우에서 소비자시민모임 우수축산물 브랜드 인증을 받아 돈육과 한우사업 양쪽에서 우수축산물로 브랜드 인증을 받았다.
  • 동사의 경쟁력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가족사의 우수한 업무연계성에 있으며, LPC의 도축ㆍ가공 능력 또한 위생과 규모면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 매출구성은 사료 59.83%, 육가공 32.48%, 가금사업 12.54%, 기타사업부 0.79%, 내부거래 -5.64% 등으로 구성된다.


4. 마니커

  • 동사는 1985년 9월 27일 계육제품의 생산 및 판매를 위한 육계계열화 업체로 설립되어 계육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종속회사인 농업회사법인(주)마니커농산을 통하여 종란을 확보하여 원재료인 초생추의 안정적인 조달 및 원가 절감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 우리나라의 육계산업은 통닭이 전형적인 닭고기 시장이었으나 최근 들어 프랜차이즈, 외식산업의 발달과 함께 간편성, 편의성에 대한 관심 증가로 점차 염장육, 부분육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 원재료인 생계의 안정된 수급을 위하여 위탁사육농가와 계약을 통하여 생계를 공급 받고 있으며 주요 원재료인 사료는 관계회사인 한국축산의희망(주)서울사료 및 (주)팜스토리로부터 양질의 사료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있다.
  • 매출구성은 통닭 46.1%, 부분육 22.45%, 염장육 16.93%, 기타 5.52%, 초생추 외 3.35%, 생계 3.35%, 육가공 1.64%, 기능성 치킨 0.66% 등으로 구성된다.


5. 동우팜투테이블

  • 동사는 양계, 축산물의 제조 가공 및 판매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3년 2월 17일에 설립되었으며 10개의 계열회사를 보유하고 있다.
  • 동사는 병아리 및 생계 외에 생산시설을 통하여 통닭(육계, 삼계, 토종닭), 염장육, 부분육, 부산물(닭발, 근위, 염통 등), 단미사료(도계과정 중 발생된 우모, 내장 등을 사료화한 제품) 등을 생산하고 있다.
  • 2016년 5월에 축산계열화사업 모범사업자로 지정을 받았으며, 계열사인 참프레는 2015년 7월 계열농가가 국내 최초로 동물복지축산농장 인증을 받은 데 이어 10월에는 역시 국내 최초로 도계장도 동물복지인증을 받았다.
  • 시장상황에 따라 급변하는 닭고기시장의 경기 동향을 파악하고 순발력 있는 시장대응을 위하여 국내의 각 지역별 판매팀과 단체급식소, 대형마트 및 군납품을 위한 특판팀을 운영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도계육(육계) 47.68%, 도계육(부분육) 16.98%, 생계외 15.72%, 도계육(삼계) 14.68%, 단미사료 2.17%, 도계육외 1.88%, 토종닭 0.71%, 오리 0.19%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6/01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미디어/IT) 디지털 광고 성장의 원동력, 모바일

2018/05/26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식음료) 포스트차이나 베트남 성장에 소비자와 함께할 수 있는 종목들

2018/05/25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브랜드 의류(섬유) 주식정리, 실적에서 엇갈리는 브랜드와 OEM 업체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요즘은 시간이 날때마다 산업분석리포트를 읽어보며 조금씩 경제용어들을 익혀보고 있는데요. 주식시장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 중 하나가 '모멘텀'이었습니다. 모멘텀의 의미와 해석은 어떻게 하는것이 좋을까요? 제가 공부하며 필요하신 분들께 나누기 위해 포스팅을 준비해봤습니다.


1. 모멘텀(Momentum)의 사전적 의미

영어사전에서 Momentum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a. (일의 진행에 있어서의) 탄력

b. 가속도

c. 운동량



2. 보조지표로써의 모멘텀(Momentum)

0선을 기준으로 움직이며 현재의 종가가 n일 전의 종가보다 크면 0선 위에, 작으면 0선 아래에 모멘텀 라인이 그려집니다. 보통의 기본설정값은 10일로 되어있는데 단기트레이더는 5일, 중기 트레이더는 40일을 기준으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모든 보조지표가 그렇듯이 n값이 커질 수록 둔감해집니다.


이를 통해 0선을 돌파할 때는 매수, 0선을 이탈할때는 매도신호로 활용하는데요. 단순히 시그널만 확인하기 보다는 주간차트를 통해 주가추세를 확인하여 추세와 역행하는 매매신호는 무시하는 점검이 필요합니다.



3. 보조지표 모멘텀의 다이버젼스

특히 주가가 천정인지의 여부를 파악하는데 유용합니다. 모멘텀은 고점을 낮추고 있는데, 주가는 고점을 높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면 약세 다이버젼스로 매도를 고려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4. 경제용어로써의 모멘텀(Momentum)

한계변화율의 의미를 가집니다. 주가가 상승추세를 형성했을 때 '얼마나 가속을 붙여서 움직일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하는데요. 즉, 주가를 움직일 수 있는 자극이 있냐 없냐를 나타내는 것으로 액면분할, 신사업진출, 증자발표, 정부의 정책발표 등이 이에 해당하는 이슈입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25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용어) 컨센서스란 무엇인가

2018/05/14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MFI(Money Flow Index) 보조지표, 가격과 거래량을 동시에 반영

2018/04/30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기술적 분석 지표로 수익내기 - 스토캐스틱



※ 참고자료

(1) https://namu.wiki/w/%EB%AA%A8%EB%A9%98%ED%85%80

(2) http://traderk10.tistory.com/120

(3)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od4643&logNo=220648227694&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화장품 산업은 관광규제 완화에 대한 가시성이 높아지기 전 센티멘트의 선행적 회복을 보였지만, 그 후 ‘저조한 단기 실적’이 대조를 보이며 밸류에이션 부담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4월 기준 유커 인바운드 +60.9%, 전체 외국인 입국객 +23.8%으로 중국인 비중은 27.5%(+6.3%p YoY)로 상향되었으며, 일본인 관광객 유입도 +29.0% YoY(21.4만명)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는데요. 특히, 유커 집중 유입되는 제주공항의 중국 항공노선 이용자 수가 142.5% YoY(14.7만명) 급증하며 회복의 직

접적 시그널로 작용했으며, 기존 단체관광 허용된 베이징,산둥성에 이어 5월 기점 우한,충칭 지역 추가 확대 등을 긍정적 사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바운드 회복에 따른 면세점채널의 향후 실적반등은 예상했던 바 ‘불안요소의 해갈’ 수준으로 인식되며, 유커의 월별 데이터와 별개로 업종지수를 견인할 수 있는 ‘잠재적 모멘텀 트래킹’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됩니다. 이와 관련된 몇 가지 화장품 종목 살펴보려합니다.


 


1. 코스맥스

  • 2014년 4월 7일 코스맥스가 사업회사인 코스맥스와 지주회사인 코스맥스비티아이로 분할되어 재상장하였으며, 현재 9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다.
  • 동사는 화장품 ODM 전문 기업이며, 국내외 600여개 브랜드에 화장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해외고객으로는 세계 최대의 화장품 그룹인 L 그룹을 비롯하여 미국의 M사, J사 등 약 50여개 브랜드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 동사의 젤 타입의 아이라이너는 단일 품목으로는 처음으로 4천만개 이상 생산하였으며, 이중 3천만개 이상을 해외 수출하는 실적을 보인 글로벌 히트 제품이다.
  • 전체 인력의 약 25% 정도를 연구 개발 인력이 차지. 코스맥스 기술연구원은 스킨케어 R&I, 메이크업 R&I 외에도 CF Lab, EM Lab, HM Lab 등 기초와 색조를 하나로 합한 연구조직을 운영하고있다.
  • 매출구성은 화장품 107.05%, 연결조정 -7.05% 등으로 구성된다.


2. 아모레퍼시픽

  • 동사는 화장품의 제조 및 판매, 생활용품의 제조 및 판매, 식품(녹차류, 건강기능식품 포함)의 제조, 가공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며, 화장품과 생활용품, 녹차 사업으로 구분된다.
  • 화장품 사업부문의 주요 제품으로는 설화수, 헤라, 아이오페, 이니스프리, 에뛰드 등이 있으며, Daily Beauty&Sulloc 사업부문의 제품으로는 미쟝센, 해피바스, 덴트롤, 려, 송염, 설록차 등이 있다.
  • 프리미엄 사업부는 혁신적인 신제품과 차별화된 디지털 마케팅 활동을 바탕으로 젊은 고객층을 확대하였으며, 생활용품 사업부는 브랜드 및 제품의 프리미엄화와 유통 채널 다변화에 집중하였다.
  • 오설록 사업부는 오설록 삼다연 삼(杉) 병차가 2016년 시즈오카 세계 녹차 콘테스트에서 금상을 수상, 녹차 우전이 2016 북미 차 챔피언십 덖음차 부문 1등을 차지하는 등 글로벌 명차 브랜드로 위상을 높이고 있다.
  • 매출구성은 화장품 91.07%, Daily Beauty & Sulloc 8.93% 등으로 구성된다.


3. 아모레G

  • 동사는 2006년 6월 인적 분할을 통해 화장품, 생활용품, 식품 등의 제조 및 판매와 관련된 사업을 (주)아모레퍼시픽으로 이전하였으며 연결 대상법인에는 화장품, 제약, 기타사업부문의 총 33개의 법인이 포함된다.
  • 동사는 순수지주회사로서 동사는 자회사의 지분 소유를 통해 자회사의 사업내용을 지배하는 지주사업을 중점으로 하고 있다.
  • 화장품 업계는 브랜드뿐만 아니라 상품을 중요시하는 소비가 활성화됨에 따라 멀티채널 및 멀티브랜드를 이용하는 고객과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제품을 원하는 고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주)아모레퍼시픽, (주)이니스프리 등을 비롯한 동사의 자회사는 신성장 채널인 온라인, 홈쇼핑 등으로 판매채널을 확대,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 매출구성은 화장품 97.74%, 기타 5.8%, 내부거래 -3.54%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31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철강) 중국 인프라투자와 철강 가격상승 이슈를 통해 재평가

2018/05/29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건설/기계) 하반기 중국 수출 호조지속과 북한 개발 가능성

2018/05/28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화학) 중국 환경보호로 인한 가성소다&염소 관련 기업의 실적개선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현대차투자증권 "지수 횡보:불안요소의 해갈, 모멘텀에 대한 갈증"



디지털(온라인+모바일) 광고 시장은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8년 디지털 광고 시장 규모는 4.3조원(+8.2% YoY)이 예상되는대요. 성장의 원동력은 모바일입니다. 2018년 모바일 광고 시장은 2.3조원(+15.0% YoY)까지 확대가 기대됩니다. 디지털 광고 시장 내 모바일의 비중은 51%로 이미 온라인을 추월했습니다. 스마트폰의 보급, 통신 속도의 발전으로 향후에도 모바일 주도의 성장세는 지속될 전망인대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몇 종목 살펴보겠습니다.


 


1. 인크로스

  • 2007년 8월 설립된 동사는 광고주와 광고대행사를 대신하여 매체 전략을 수립하고 광고를 집행하는 디지털 광고 미디어렙 사업과 국내 최초 동영상 광고 네트워크 플랫폼인 다윈(Dawin)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다.
  • 다윈은 곰TV, 아프리카TV, 판도라TV, 엠군 등 국내 주요 동영상 매체들과의 제휴 월 순방문자수(UV) 2,300만 명을 확보하며 성공적으로 사업기반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 온라인 디스플레이 광고 부문에서 주력으로 판매하는 상품은 높은 트래픽으로 대형 광고주들이 선호하는 시간고정 광고 상품 NAVER 타임보드 이며 이외에도 DAUM 브랜드스테이션, NATE 브랜딩샷 등이 있다.
  • 모바일 디스플레이 광고 부문에서 국내 최초로 구글의 모바일 애드 네트워크인 애드몹을 집행하여 다양한 성공사례를 발굴하였으며, SK플래닛으로부터 Syrup AD를 양수했다.
  • 매출구성은 미디어렙 56.76%, 광고플랫폼 29.89%, 운영사업 13.31%, 기타사업 0.04% 등으로 구성된다.


2. 나스미디어

  • 동사는 2000년 3월 13일에 설립되었으며, 디스플레이광고를 중심으로 한 인터넷 및 모바일, IPTV, 옥외광고 매체판매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광고매체 판매 대행을 통한 렙수수료가 주 수익원으로, 인터넷 포털 및 기타 중소 인터넷 매체사, IPTV, 모바일 네트워크사, 옥외 매체사 등의 광고상품을 판매하고 광고 캠페인 집행 관리의 역할을 하고 있다.
  • 국내 광고시장의 특성에 맞게 자체적으로 개발한 `Nsmart`, `ReMix`, `oasis`, `wave`, `nthology` 등의 광고 솔루션을 구축하여 최적화된 뉴미디어 광고 전략 수립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업계 최초로 동영상 통합 효과솔루션인 `ReMix`를 출시하여 모바일을 중심으로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동영상 광고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경쟁력을 강화했다.
  • 매출구성은 온라인디스플레이 68.28%, 디지털사이니지 21.73%, 디지털방송 9.88%, 금융리스 0.11%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29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게임/컨텐츠) 하반기 신작 게임과 중국 컨텐츠 시장 개방

2018/05/25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하반기 턴어라운드를 기대하는 OLED 디스플레이 주식 정리

2018/05/17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SNS 관련 주식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신한금융투자 "디지털 광고 성장에 주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