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요즘은 시간이 날때마다 산업분석리포트를 읽어보며 조금씩 경제용어들을 익혀보고 있는데요. 주식시장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 중 하나가 '모멘텀'이었습니다. 모멘텀의 의미와 해석은 어떻게 하는것이 좋을까요? 제가 공부하며 필요하신 분들께 나누기 위해 포스팅을 준비해봤습니다.


1. 모멘텀(Momentum)의 사전적 의미

영어사전에서 Momentum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a. (일의 진행에 있어서의) 탄력

b. 가속도

c. 운동량



2. 보조지표로써의 모멘텀(Momentum)

0선을 기준으로 움직이며 현재의 종가가 n일 전의 종가보다 크면 0선 위에, 작으면 0선 아래에 모멘텀 라인이 그려집니다. 보통의 기본설정값은 10일로 되어있는데 단기트레이더는 5일, 중기 트레이더는 40일을 기준으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모든 보조지표가 그렇듯이 n값이 커질 수록 둔감해집니다.


이를 통해 0선을 돌파할 때는 매수, 0선을 이탈할때는 매도신호로 활용하는데요. 단순히 시그널만 확인하기 보다는 주간차트를 통해 주가추세를 확인하여 추세와 역행하는 매매신호는 무시하는 점검이 필요합니다.



3. 보조지표 모멘텀의 다이버젼스

특히 주가가 천정인지의 여부를 파악하는데 유용합니다. 모멘텀은 고점을 낮추고 있는데, 주가는 고점을 높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면 약세 다이버젼스로 매도를 고려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4. 경제용어로써의 모멘텀(Momentum)

한계변화율의 의미를 가집니다. 주가가 상승추세를 형성했을 때 '얼마나 가속을 붙여서 움직일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하는데요. 즉, 주가를 움직일 수 있는 자극이 있냐 없냐를 나타내는 것으로 액면분할, 신사업진출, 증자발표, 정부의 정책발표 등이 이에 해당하는 이슈입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25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용어) 컨센서스란 무엇인가

2018/05/14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MFI(Money Flow Index) 보조지표, 가격과 거래량을 동시에 반영

2018/04/30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기술적 분석 지표로 수익내기 - 스토캐스틱



※ 참고자료

(1) https://namu.wiki/w/%EB%AA%A8%EB%A9%98%ED%85%80

(2) http://traderk10.tistory.com/120

(3)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od4643&logNo=220648227694&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당국의 정책적 효과가 시장에 반영되기 시작하면 정책 관련 수혜 기업이 주목을 받으면서 실제 성장하는 기업을 찾기는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신한금융투자에서는 정책 기대감에 가려져 있지만 실제로 성장하고 있는 기획 리포트를 작성해주었는데요. 신한금융투자는 올해 KOSDAQ EPS 증가율을 20.1%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IT와 소재 그리고 산업재 순으로 이익 증가가 전망되며, 사회 기조 변화로 내수 및 서비스 부문 성장과 한-중 관계 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죠. 이에 따라 하반기 성장 수혜 기업으로 선정하기 위한 3가지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중국 소비 수혜 기업에 대한 관심입니다. 대(對) 중국 관계 개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중국인의 소득 증가에 따라 소비 패턴이 변화하고 있고, 이에 따른 수혜 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인데요.




둘째는 내수 및 서비스 부문 성장 기대에 따른 수혜 종목입니다. 1) 일과 생활의 균형(워라밸)이 강조되는 사회 기조 변화, 2) 소득 주도 경제 성장 정책 효과, 3) 원화 강세 등이 내수 및 서비스 부문의 성장을 지지하는 내용들입니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 변화에서 수혜 가능한 기업에 주목하자는 의견입니다.


셋째는 Big Cycle이 지속되는 반도체 소재 기업에 주목하자는 것입니다. 반도체 수요는 과거와 달리 산업구조의 변화가 성장을 견인하는데요. 구조적 변화 요인으로 1) 서버 수요 증가, 2) 스마트폰 메모리 탑재 용량 증가, 3) HBM, CIS용 DRAM 및 가상화폐 등 신규 수요가 상당하할 전망입니다. DRAMexchange에 따르면 올해 DRAM B/G 22.2%, NAND B/G 40.1%가 예상됩니다. 수요 증가가 이끄는 성장에 반도체 소재 기업의 수혜가 기대됩니다.


이와 관련된 종목들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1. 글로벌텍스프리

  • 2005년 12월 설립된 동사는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내국세 환급대행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외국인의 국내 소비에 대한 부가세를 환급해주면서 일정 부분을 환급대행사인 동사가 수수료로 수취하면서 매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공항, 항만 등에 설치된 환급창구, 무인자동환급기기 등을 통해 환급대행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중국인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중국 최대 핀테크인 알리페이와의 업무제휴를 통해 알리페이 계좌로 택스리펀드 환급금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 유니온페이와의 제휴를 통해 세계 최초로 유니온페이 온라인 실시간 환급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7년 1월 UnionPay International(UPI) 전세계 최우수 택스리펀드 협력사에 선정된 바 있다.
  • 매출구성은 부과세환급 100% 이다.


2. 현대리바트

  • 동사는 1999년 6월 2일 설립되었으며 가정용, 사무용, 아파트용 가구 등을 제조, 판매하는 종합가구회사로 2012년 2월 현대백화점 그룹에 편입됐다.
  • 품질경영을 최우선으로 실천하여 ISO 9001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다양한 소비자의 Needs 충족과 토탈인테리어 가구라는 개념에 부합하고자 2000년 디자인 연구소와 2006년 환경기술연구소 설립했다.
  • 2014년에는 자체 쇼핑몰을 리뉴얼오픈하고 모바일 구매환경을 구현하는 등 온라인 시장에서의 성장에 힘쓰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 주요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 2017년 3분기말 서울, 수원을 비롯한 수도권에 10개, 대전 및 광주, 울산에 각 1개를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핵심상권 별로 확대시켜 나갈 예정이다.
  • 매출구성은 빌트인 38.22%, 가정용 27.5%, 기 타 19.6%, 사무용 9.47%, B2B 5.2% 등으로 구성된다.


3. 원익QnC

  • 동사는 쿼츠, 세라믹, 램프, 세정의 4개 부문으로 제조 생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쿼츠부문은 해외 3개(미국, 대만, 독일)의 종속기업을 보유하고 있다.
  • 반도체용 석영유리(QUARTZ WARE)는 반도체 제조공정 중 산화, 식각, 이온주입, 화학증착공정에서 Wafer를 불순물로 부터 보호하거나 이송하는 용기로 사용되며 시장규모는 반도체 산업의 발전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 세정사업부문은 2011년 하반기 세정 SAMPLE LINE 구축 후 삼성전자로부터 품질 승인을 완료하였다.
  • 2017년은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른 제조사들의 DRAM 공장가동률 상승 및 대규모 공장투자 및 가동으로 인하여 쿼츠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전년대비 매출액은 31.8% 증가했다.
  • 매출구성은 반도체용 석영유리 79.84%, LCD 등 세라믹제품 13.69%, 반도체소재 부품 등 세정 10.86%, 기타 0.82%, 내부거래 -5.21%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4/20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인천공항의 새로운 면세사업자는 누구, 면세점 관련 주식정리

2018/02/27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카지노 관련 주식 총정리

2018/05/20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시스템반도체 관련 주식정리,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을 위한 반도체의 세대교체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신한금융투자 "하반기 중소형주 랠리는 계속된다"



2018년 하반기 중국 건설기계(굴삭기)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8년 중국 굴삭기 시장은 전년 대비 23% 성장한 16만대 시장을 예상한다. 중국 건설기계 시장은 ‘상고하저’ 패턴을 나타내는 시장이며 올해도 다름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2018년 상반기는 약 9.5만대(YoY,+34.1%), 2018년 하반기는 6.5만대(YoY,+8.7%)의 시장을 전망되는데요. 이는 중국 재정지출 반등이 예상되고 있으며, 지방정부 부채관리 및 PPP(민관협동) 규제가 완화되고 있는 점에 기인합니다.


이와 더불어 대북관계의 급격한 개선으로 기계섹터 내에서도 업종별 방향성이 달라졌다는 판단입니다. 방위산업은 투자센티먼티가 악화되고 있으나, 철도/전력기기와 같은 인프라투자 관련 산업은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로 투자센티먼티가 급격히 개선되고 있는데요. 북한관련 인프라투자는 예측이 불가한 변수들이 많아 판단하기가 제한적이지만, 안정적 수혜가 가능한 업종으로 전력기기 및 전력인프라 업체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북한 내 전력상황은 초과 수요시장으로 수급 불균형 상황 속에 있으며, 향후 공단개발 및 철도운행과 같은 인프라 투자진행 시 전력 설비 구축이 동행 또는 선행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와 관련된 기업 몇가지 보겠습니다.




1. 현대건설기계

  • 동사는 인적분할로 설립된 신설회사로 2017년 5월에 재상장하였으며, 분할 전 회사인 현대중공업이 영위하던 사업 중 건설장비 사업부문을 영위하게 됐다.
  • 1985년 중기계사업부로 사업을 시작하여 현재 굴삭기, 휠로더, 백호로더, 지게차, 스키드스티어로더 등 연간 5만여대 규모의 건설장비 및 산업차량을 생산할 수 있는 7만5천여평 규모의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 굴삭기, 지게차 등을 뉴스타일링의 디자인과 자동제어 시스템, 운전자 중심의 편의성 등을 향상시켜 고급화에 주력. 특히 프로세스 사이클타임을 단축시키고 데이터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PDM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중이다.
  • 각 기능 분야별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개발, 자동굴삭제어시스템, 인체 공학기술, 특수사양 등의 신기술 개발을 위해서 산학협동, 사내 연구소, 해외 전문업체간 기술정보교류를 추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건설기계 74.59%, 산업차량 17.49%, 부품외 7.92% 등으로 구성된다.


2. 디와이파워

  • 동사는 2014년 12월 1일에 인적분할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2015년 1월 15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음. 건설기계장비에 적용되는 유압실린더에 대한 제조 및 판매를 하고 있다.
  • 주력 생산품인 유압실린더는 고객사의 설계조건 및 기계장비의 구동조건에 맞추어 설계되고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개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초기 투자 비용도 많이 드는 등 진입장벽이 높은 기계장치 산업이다.
  • 중국의 건설중장비 시장의 지배력 확보를 위해 설립한 중국 생산법인이 중국 내 최고의 실린더 제조업체로서의 입지, 그리고 현대식 신공장의 이점을 발휘하고 있다.
  • 유압기기 사업부는 국내시장의 안정적 기반을 확보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높은 시장 점유율을 바탕으로 안정적 시장을 확보 중이다.
  • 매출구성은 유압실린더 100% 이다.


3. LS산전

  • 동사는 1974년 7월 24일 설립되어 전기, 전자, 계측, 정보 및 자동화기기의 제조, 판매 및 유지보수를 주요 목적사업으로 하고 있다.
  • 주요제품으로 전력 송배전 관련 기기 및 시스템 용도로 쓰이는 저압기기, 고압기기, 계량기 등이 있으며 관련 제품들의 단위당 가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 주요사업부문은 전력부문, 자동화부문, 금속부문으로 구성되며 전력부문의 경우 지난 3년간 매년 생산실적이 증가하였다.
  • 동사는 고압직류송전(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ystem)시스템 수요 증가에 따라 한국전력과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추진중에 있다.
  • 매출구성은 산전부문 77.12%, 메탈부문 13.77%, 기타부문 11.5%, 무석부문 4.87%, 연결 조정 -7.26%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26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건설) 계속 증가하는 수주액, 남북경협은 플러스알파 요인

2018/05/21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조림사업 관련 주식정리, 북한과 국립수목원 조성계획 기대감에 상승중

2018/04/29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건설 바람이 다시 불까, 시멘트 관련 주식 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하나금융투자 리포트 "건설기계 수요 지속 + 대북관계 개선 = Great"



이전에 엔터테인먼트산업을 잇는 신 한류로 게임과 컨텐츠 산업을 다룬 다큐를 말씀드린 적이 있었는데요. (

2018/04/23 - [▶ 재밌는 금융이야기/경제 이슈 이해하기] - 新왕서방이 온다, 주링허우 세대의 중국을 이해하는 3가지 포인트

) 오늘은 이와 관련된 분석리포트를 가져와봤습니다.


하반기는 국내 게임사들의 기대작들이 대거 출시되며 펀더멘털 개선을 견인할 전망입니다. 지연에 대한 우려는 상존하나 최근 컨퍼런스콜 등을 통해 일정을 재확인한 만큼 지연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되고 있구요. 주요 모바일게임은 넷마블의 “블레이드앤소울 레볼루션”, 컴투스의 “스카이랜더스 모바일”, 위메이드의 “이카루스M” 등입니다. 2017년 이후 개별게임의 흥행 규모가 급격하게 확대된 만큼 향후 성과를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넷플릭스, 아마존, 유튜브레드 등 글로벌 OTT업체들의 시장경쟁이 격화되며 완성도 높은 컨텐츠에 대한 수요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하반기 들어 두드러질 전망인데요. 넷플릭스가 국내에서 오리지널컨텐츠 제작을 확대하고 있고, 아마존과 유튜브레드 등도 국내 컨텐츠 확보에 나설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글로벌 OTT와 맞먹는 파급력을 가지는 중국시장의 개방에 대한 기대도 여전히 남아있어 기대 이상의 펀더멘털 개선도 가능할 전망입니다. 


이카루스M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1. 넷마블

  • 2011년 11월 설립된 동사는 2018년 `넷마블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모바일 게임의 개발 및 퍼블리싱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동사 포함 43개의 계열회사가 존재한다.
  • 게임 산업은 무형의 고부가가치 산업인 동시에 재고자산이 없어 원자재 가격상승, 국제경제의 불안정한 흐름 등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다른 문화콘텐츠 산업보다 언어, 국가 문화 등의 장벽이 상대적으로 낮다.
  • 게임 라인업 측면에서 MMORPG부터 캐쥬얼 장르까지 다양하게 구성하고 있으며, 구글 플레이, 애플 앱스토어 등 마켓에서 높은 순위를 보이는 게임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온라인 퍼블리싱을 모바일게임에 접목하고 있다.
  • 북미지역 확대를 위해 캐쥬얼 게임회사인 Jam City, Inc.를 인수, 글로벌 유명 IP의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는 Kabam, Inc.을 인수하는 등 신규 지역발굴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모바일게임 95.42%, 기타 2.47%, 온라인게임 2.11% 등으로 구성된다.


2. 컴투스

  • 동사는 1998년 설립되어 동사를 포함한 13개의 계열회사가 존재하며 주요종속회사와 모바일게임 개발 및 공급을 주요 영업으로 하고 있다.
  • 주요 제품은 `타이니팜`, `컴투스프로야구`, `골프스타`, `낚시의 신`, `소울시커`, `사커스피리츠` 등으로 구성된다.
  • 영국 `포켓게이머`가 선정한 `2016년 세계 50대 모바일 게임 개발사` 중 5위로 선정, 게임빌과 독자적인 글로벌 모바일게임 서비스 플랫폼인 `하이브`를 개발해 글로벌 역량을 강화해 인정받았다.
  • 진보한 플랫폼, 단말기 및 네트워크 환경 등에 대응하는 MMORPG 및 가상현실(VR) 등 미래지향적 게임 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 중이다.
  • 매출구성은 모바일게임 99.57%, 온라인게임, 기타 0.43% 등으로 구성된다.


3. 위메이드

  • 동사는 18개의 종속회사가 있으며 주된 사업은 모바일 게임과 온라인 게임의 개발/유통/판매 및 지적재산권(IP) 활용 사업이다.
  • 주요 제품으로 `미르의전설 2, 3`, `이카루스`, `윈드러너`, `실크로드온라인`, `에브리타운` 등이 있으며, 2015년에는 동사가 보유한 `미르의전설` IP를 활용한 모바일게임 `열혈전기`가 중국에서 출시했다.
  • 2016년 1월, 모바일 게임 소울앤스톤을 출시하였으며, 개발하는 모바일 게임들의 개성을 강화하고자 모바일 게임 전문 자회사(㈜위메이드넥스트, ㈜위메이드열혈전기쓰리디, ㈜위메이드플러스)를 설립했다.
  • 경쟁력 높은 IP(지식재산권) 중심의 해외시장 진출 확대 및 기존 온라인게임 `이카루스`를 러시아에서 정식으로 서비스 시작하였다.
  • 매출구성은 라이선스 51.15%, 모바일매출 26.62%, 온라인매출 21.72%, 기타 0.51% 등으로 구성된다.


4. 스튜디오드래곤

  • 동사는 2016년 5월 씨제이이앤엠의 드라마 사업본부가 물적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여 미디어 플랫폼에 배급하고 VOD, OTT 등을 통한 유통 및 관련 부가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미생, 또 오해영, 도깨비, 비밀의 숲 등 완성도와 화제성 높은 드라마를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전통 미디어뿐만 아니라 디지털, OTT 등 뉴미디어까지 영향력을 확대하며 드라마 산업을 리딩하고 있다.
  • 글로벌 전역에 현지 최고의 Traditional / New media 사업자들과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장기적인 협력 관계를 통해 판매를 진행하고 있으며 로컬 제작사, 방송사들과 파트너쉽을 통해 현지화를 확대 중이다.
  • 국내에서 씨제이이앤엠㈜가 보유하고 있는 tvN 및 OCN에 드라마를 공급하고 있으며 지상파, 종합편성채널 등 전통 미디어 및 디지털 등 다양한 플랫폼에 맞춤형 콘텐츠를 공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편성 45.76%, 판매 38.99%, 기타 15.25%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4/25 - [▶ 왕초보 주식 공부/케이스 스터디] - 카카오게임즈가 상장되면 카카오 주가가 상승할까? (삼성전자와 삼성에스디에스)

2018/04/24 - [▶ 재밌는 금융이야기/경제 이슈 이해하기] - 게임테마주에 새로운 대장주 등장? 카카오게임즈 코스닥 상장 코앞으로

2018/04/23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새로운 한류의 등장, E 스포츠 관련 주식 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하나금융투자 리포트 "게임,컨텐츠 그리고 중국"


2018년 1분기 국내 택배 물동량은 6.03억 박스로 상위 3개사 처리 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16.1% 증가해 상위 업체로의 쏠림이 심화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업체별로는 CJ대한통운 +19.4%, 한진 +11.1%, 롯데 +9.0%의 실적을 기록했는데요.


반면 최저시급 인상 및 택배단가 하락으로 상위 업체들의 이익률은 악화되기도 했습니다. 1분기 영업이익률은 CJ대한통운 1.9%(-0.8%p YoY), 한진 1.2%(+1.0%p), 롯데 -5.0%(-2.5%p)를 기록했고, 폭발적인 처리 물량 증가로 단위당 비용을 꾸준히 낮추고 있는 CJ대한통운은 하반기 경기도 곤지암 메가허브터미널 가동 으로 추가적인 처리 물량 확보 및 비용 절감이 가능했습니다. 그러나 2015년 수준의 비용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한진과 롯데는 택배 단가 상승이 있지 않는 한 지금의 저수익성에서 벗어나긴 힘들 전망입니다.






1. CJ대한통운

  • 1930년 11월 15일에 설립되었고, 사업부문은 CL사업부문, 택배사업부문, 글로벌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울, 인천, 대전, 부산 등 전국에 지사(점)을 운영하고있다.
  • CL(Contract Logistics, 계약물류) 사업부문은 육상 및 해상 등 여러 분야에서 전국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운송의 합리화 추진하여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며 물류 품질의 질적 향상과 서비스 극대화에 노력하고 있다.
  • 제 3자 물류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세제, 컨설팅 사업추진, 물류전문업체 경쟁력 향상, 전문 물류기업 이용 화주기업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 등을 통해 정부는 정책적으로 전문물류기업 활용을 장려하고 있는 추세이다.
  • 17년 택배시장은 온라인 마켓 및 모바일쇼핑의 성장세로 전년대비 약 10% 성장한 22억 Box로 추정되며 앞으로도 꾸준한 성장이 예상된다.
  • 매출구성은 글로벌사업부문 36.67%, CL사업부문 35.35%, 택배사업부문 27.98% 등으로 구성된다.



2. 한진

  • 공정거래법상 한진그룹에 속해있으며 현재 한진그룹에 속해 있는 회사는 동사를 포함하여 총 30개사이며, 상장 4개사, 비상장 26개사로 구성된다.
  • 사업부문은 트럭운송 및 철도수송인 육상운송, 항만 하역을 하는 하역사업부문, 국제해송을 주로 하는 해운사업부문, 창고사업부문, 주선업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사업부문, 택배, 렌터카/유류 판매 사업 등을 영위 중이다.
  • 물류산업, 그 중에서도 육운ㆍ하역ㆍ창고사업은 국내경기와 수출입 물동량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산업임. 반면 택배사업의 경우 온라인 시장의 급성장과 전자상거래 활성화로 산업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기업 및 설비이전, 주재원 대상의 해외 이사화물 서비스, 무역 및 전시회 물자, 해외 공연 및 전시물의 운송에 대한 포장, 통관, 보험, 항공/해상운송 등의 일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택배,창고서비스 33.65%, 항만하역 외 20.47%, 운송서비스 17.86%, 차량 임대 및 부가서비스 16.86%, 화물운송계약 중개 외 11.08%, 연안해송 외 1.85%, 화물 보관 외 1.23 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3/02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택배 관련주식 정리

2018/05/17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SNS 관련 주식정리

2018/05/26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식음료) 포스트차이나 베트남 성장에 소비자와 함께할 수 있는 종목들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신한금융투자 리포트 "2018년 1분기 택배시장 업데이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