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포괄)손익계산서의 의미

  • 일정기간 동안의 기업의 경영성과, 즉 기업이 일정기간 벌어들인 수익과 지출한 비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보고서.
  • 기업의 미래현금흐름과 수익창출능력 등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2. 손익계산서의 회계 등식

  • 당기순손익 = 수익 - 비용
  • 수익(income)
    • 특정 회계기간 동안 자산의 유입이나 부채의 감소에 따라 자본의 증가를 초래하는 경제적 효익의 증가
    • 매출액(용역수익), 이자수익, 임대료수익 등
  • 비용(expense)
    • 특정 회계기간 동안 자산의 유출이나 소멸 또는 부채의 증가에 따라 자본의 감소를 초래하는 경제적 효익의 감소
    • 매출원가, 종업원급여, 임차료 등


3. 재무상태표와 포괄손익계산서의 관계

  • 포괄손익계산서상 당기순이익은 재무상태표 자본계정 중의 하나인 이익잉여금 항목으로 보고한다.




4. 당기순이익 이해의 확장

  • 당기에 전체 수익에서 비용을 제외한 당기순이익이 당장의 회사의 성과(우량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하지만 지속가능한 기업의 가능성이 중요하므로 당장의 매출만으로는 장기적 우량 정도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 그러므로 당기순이익의 규모만을 고려하기보다는 영업이익률 등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좋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이 10% 이상일 경우 보통 우량하다고 평가)


※ 함께 보면 좋은 글들

2018/06/12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용어) EPS(주당순이익) 란 무엇인가

2018/06/13 - [▶ 왕초보 주식 공부/투자를 위한 재무제표의 해석] - (1) 재무제표와 재무상태표의 구분

2018/06/13 - [▶ 왕초보 주식 공부/투자를 위한 재무제표의 해석] - (2) 재무상태표를 통해 회사의 규모 파악하기 - 자산


※ 참고자료

(1) http://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ohjongmoon1/3-2.pdf

(2) http://pub.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6&mcate=M1011&nNewsNumb=20140214170&nidx=14171


1. 네 마녀의 날 (쿼드러플 위칭데이, Quadruple Witching Day)의 의미

  • 주식시장 관련 파생상품 만기가 겹치는 날이다.
  • 주가지수 선물/옵션, 개별 주식 선물/옵션 네 가지의 만기가 겹친다.


2. 대한민국의 쿼드러플 위칭데이

  • 2008년부터 개별 주식 선물이 추가되면서 상기한 네 가지 상품의 만기가 겹치게 되었다.
  • 3월, 6월, 9월, 12월의 두 번째 목요일


3. 쿼드러플 위칭데이의 영향

  • 파생상품과 관련해 숨어 있던 현물 주식이 정리매물로 시장에 쏟아져 나와서 주가가 롤러코스터처럼 등락을 반복한다. 
  • 예측할 수 없는 많은 물량이 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가격 변동 폭도 굉장히 크다.
  • 대량으로 물량을 보유하고 있는 기관투자자가 만기를 연장하기도 하지만 그대로 시장에 물량을 쏟아내기도 한다. 수요는 그대로인데 공급이 갑자기 많아지면서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가 생긴다. 
  • 물론 동전의 양면처럼 기관투자자가 쏟아내는 우량 주식을 싼값에 살 기회를 잡을 수도 있다. 네 마녀의 날마다 주가가 반드시 내려가는 것은 아니다. 앞서 말했듯이 기회를 잡으려는 수요도 몰리기 때문이다. 대량의 물량을 쏟아낸 기관투자자가 그보다 더 많은 물량을 살 수도 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6/13 - [▶ 왕초보 주식 공부/투자를 위한 재무제표의 해석] - (2) 재무상태표를 통해 회사의 규모 파악하기

2018/06/12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용어) 주가수익률(PER)이란 무엇인가

2018/06/08 - [▶ 재밌는 금융이야기/경제 이슈 이해하기] - 외인 공매도 vs 개인 신용매수 격돌



※ 참고자료

(1) http://news.joins.com/article/22214024

(2) https://namu.wiki/w/%EC%BF%BC%EB%93%9C%EB%9F%AC%ED%94%8C%EC%9C%84%EC%B9%AD%EB%8D%B0%EC%9D%B4


(Quadruple Witching Day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1. 프리뷰

  • 국내 주식시장은 이번주(6월11일~15일) 굵직한 이벤트 속에 차익실현 매물이 나타나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 북미 정상회담이 구체적인 비핵화, 경제협력 관련 내용이 부재한 채로 종료됐기 때문에 오히려 그간 기대감에 올랐던 남북 경협 업종에 대해 차익실현 매물이 점증됐습니다. 

2. 코스피 매매동향

  •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개인은 5022억원 어치 주식을 사들였으며 기관도 6200억원어치 주식을 매수했습니다.
  • 반면 외국인은 1조11628억원 규모의 매도 우위를 나타내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습니다.
  • 금융투자업계는 7926억원 규모의 순매수를 나타냈지만 지수 하락을 막아내진 못했습니다. 


3. 코스닥 매매동향

  •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한주동안 920억원, 310억원 규모의 주식을 사모았습니다.
  • 개인은 코스닥 시장에서 860억원 매도 우위를 나타보였습니다. 


4. 이후 증시 행보의 예상

  • 내주부터 2분기 실적 프리뷰 시기로 실적이 양호한 기업들의 행보가 주목됩니다.
  • 국내 증는 대형 이벤트 이후 바닥다지기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6/08 - [▶ 재밌는 금융이야기/경제 이슈 이해하기] - 외인 공매도 vs 개인 신용매수 격돌

2018/04/27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북한 천연광물 지하자원 관련 주식 정리

2018/04/26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남북경협을 넘어 통일까지, 외국인의 눈으로 본 통일 테마주 정리



※ 참고자료

(1) http://finance.naver.com/news/news_read.nhn?mode=mainnews&office_id=014&article_id=0004040508



1. 재무상태표의 의미

일정시점에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부채 및 자본의 재무상태를 보여줌


2. 재무상태표의 회계등식

  • 재무상태표에서 자산은 부채와 자본의 합과 항상 일치하며, 이를 회계등식이라 함
  • 회계등식: 자산 = 부채 + 자본
  • 즉, 자산(자금 조달)의 규모를 파악하면 회사의 크기를 알 수 있다.


3. 사례로 이해하기

* 2017/12(IFRS연결) 기준

삼성전자: 3,017,521억

현대건설:   183,319억

한미약품:     16,609억

인스코비:        472억


4. 자산의 규모 이해의 확장

  • 위를 통해서 회사의 규모는 재무상태표의 자산의 액수로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 하지만 자산의 규모가 크다고 무조건 좋은 주식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자신의 투자 목적에 따라 운용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인데요.
  • 예를 들어 자신이 단기간 고수익을 추구하는 유동성이 높은 종목을 추구하는 투자자라면 자산의 규모가 큰 종목의 경우 가격 변동을 위해서 많은 자금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가격변동폭이 크게 움직이기가 어렵겠죠?
  • 반대로 자신이 안정적 수익을 추구하는 편인데 자산 규모가 작은 종목을 매수한다면 잦은 세력의 가격조정에 힘이 부칠 수도 있겠죠.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6/13 - [▶ 왕초보 주식 공부/투자를 위한 재무제표의 해석] - (1) 재무제표와 재무상태표의 구분

2018/06/12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용어) 주가수익률(PER)이란 무엇인가

2018/06/12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용어) EPS(주당순이익) 란 무엇인가



※ 참고자료

(1) 네이버 금융 Financial Summary

(2) http://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ohjongmoon1/3-2.pdf

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재무제표를 읽는 법을 공부하고자 이 카테고리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저와 같은 초보분들과 함께 공부하는 공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모두들 열공하시고 부자되세요^^





1. 재무제표 vs. 재무상태표 vs. 손익계산서

  • 재무제표: 기업의 재무상태나 경영성과 등을 보여주는 문서. 기본적인 재무제표로는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가 있다. 
  •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재무제표의 한 종류

2. 재무제표의 종류(1) - 재무상태표



3. 재무제표의 종류(2) - 포괄손익계산서



4. 재무제표의 종류(3) - 자본변동표




5. 재무제표의 종류(4) - 현금흐름표





※ 함께보면 좋은 글


※ 참고자료

(1) https://ko.wikipedia.org/wiki/%EC%9E%AC%EB%AC%B4%EC%A0%9C%ED%91%9C

(2) http://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ohjongmoon1/3-2.pdf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