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산업은 관광규제 완화에 대한 가시성이 높아지기 전 센티멘트의 선행적 회복을 보였지만, 그 후 ‘저조한 단기 실적’이 대조를 보이며 밸류에이션 부담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4월 기준 유커 인바운드 +60.9%, 전체 외국인 입국객 +23.8%으로 중국인 비중은 27.5%(+6.3%p YoY)로 상향되었으며, 일본인 관광객 유입도 +29.0% YoY(21.4만명)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는데요. 특히, 유커 집중 유입되는 제주공항의 중국 항공노선 이용자 수가 142.5% YoY(14.7만명) 급증하며 회복의 직

접적 시그널로 작용했으며, 기존 단체관광 허용된 베이징,산둥성에 이어 5월 기점 우한,충칭 지역 추가 확대 등을 긍정적 사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바운드 회복에 따른 면세점채널의 향후 실적반등은 예상했던 바 ‘불안요소의 해갈’ 수준으로 인식되며, 유커의 월별 데이터와 별개로 업종지수를 견인할 수 있는 ‘잠재적 모멘텀 트래킹’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됩니다. 이와 관련된 몇 가지 화장품 종목 살펴보려합니다.


 


1. 코스맥스

  • 2014년 4월 7일 코스맥스가 사업회사인 코스맥스와 지주회사인 코스맥스비티아이로 분할되어 재상장하였으며, 현재 9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다.
  • 동사는 화장품 ODM 전문 기업이며, 국내외 600여개 브랜드에 화장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해외고객으로는 세계 최대의 화장품 그룹인 L 그룹을 비롯하여 미국의 M사, J사 등 약 50여개 브랜드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 동사의 젤 타입의 아이라이너는 단일 품목으로는 처음으로 4천만개 이상 생산하였으며, 이중 3천만개 이상을 해외 수출하는 실적을 보인 글로벌 히트 제품이다.
  • 전체 인력의 약 25% 정도를 연구 개발 인력이 차지. 코스맥스 기술연구원은 스킨케어 R&I, 메이크업 R&I 외에도 CF Lab, EM Lab, HM Lab 등 기초와 색조를 하나로 합한 연구조직을 운영하고있다.
  • 매출구성은 화장품 107.05%, 연결조정 -7.05% 등으로 구성된다.


2. 아모레퍼시픽

  • 동사는 화장품의 제조 및 판매, 생활용품의 제조 및 판매, 식품(녹차류, 건강기능식품 포함)의 제조, 가공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며, 화장품과 생활용품, 녹차 사업으로 구분된다.
  • 화장품 사업부문의 주요 제품으로는 설화수, 헤라, 아이오페, 이니스프리, 에뛰드 등이 있으며, Daily Beauty&Sulloc 사업부문의 제품으로는 미쟝센, 해피바스, 덴트롤, 려, 송염, 설록차 등이 있다.
  • 프리미엄 사업부는 혁신적인 신제품과 차별화된 디지털 마케팅 활동을 바탕으로 젊은 고객층을 확대하였으며, 생활용품 사업부는 브랜드 및 제품의 프리미엄화와 유통 채널 다변화에 집중하였다.
  • 오설록 사업부는 오설록 삼다연 삼(杉) 병차가 2016년 시즈오카 세계 녹차 콘테스트에서 금상을 수상, 녹차 우전이 2016 북미 차 챔피언십 덖음차 부문 1등을 차지하는 등 글로벌 명차 브랜드로 위상을 높이고 있다.
  • 매출구성은 화장품 91.07%, Daily Beauty & Sulloc 8.93% 등으로 구성된다.


3. 아모레G

  • 동사는 2006년 6월 인적 분할을 통해 화장품, 생활용품, 식품 등의 제조 및 판매와 관련된 사업을 (주)아모레퍼시픽으로 이전하였으며 연결 대상법인에는 화장품, 제약, 기타사업부문의 총 33개의 법인이 포함된다.
  • 동사는 순수지주회사로서 동사는 자회사의 지분 소유를 통해 자회사의 사업내용을 지배하는 지주사업을 중점으로 하고 있다.
  • 화장품 업계는 브랜드뿐만 아니라 상품을 중요시하는 소비가 활성화됨에 따라 멀티채널 및 멀티브랜드를 이용하는 고객과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제품을 원하는 고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주)아모레퍼시픽, (주)이니스프리 등을 비롯한 동사의 자회사는 신성장 채널인 온라인, 홈쇼핑 등으로 판매채널을 확대,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 매출구성은 화장품 97.74%, 기타 5.8%, 내부거래 -3.54%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31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철강) 중국 인프라투자와 철강 가격상승 이슈를 통해 재평가

2018/05/29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건설/기계) 하반기 중국 수출 호조지속과 북한 개발 가능성

2018/05/28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화학) 중국 환경보호로 인한 가성소다&염소 관련 기업의 실적개선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현대차투자증권 "지수 횡보:불안요소의 해갈, 모멘텀에 대한 갈증"



1H18 패션의류 주가는 실적에 수렴했습니다. 특히 브랜드 업체의 주가 상승이 부각되었는데요. 브랜드 업체는 1) 신규 브랜드 론칭, 2) 판매 전략 적중, 3) 원가 개선 을 통햇 실적을 개선하였고, 이와 반대로 OEM 업체들은 1) 원/달러 환율 하락, 2) 고객사 주문량 더딘 회복, 3) 자회사 부진 가 실적 저조로 이어졌습니다. 오늘은 실적 개선을 통해 주가 상승을 이룬 브랜드 기업들을 정리해보려합니다.





1. 휠라코리아

  • 동사는 각종 가정용 섬유제품, 의복, 신발, 가죽제품, 시계, 화장품 및 골프장비 등의 제조, 도소매 및 수출입을 목적으로 1991년 7월 11일에 설립됐다.
  • 동사의 대표 브랜드인 FILA를 포함하여 FILA GOLF, FILA KIDS, FILA INTIMO, filativa의 5개 브랜드 및 기타 사업부문을 보유하고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휠라 키즈(FILA KIDS)는 특유의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배합하여 3세부터 13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아동복 브랜드로서 자리매김하였으며, 아동범죄 예방을 위한 캠페인 등을 개최하여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 filativa는 20대의 섹시함과 스포티함, 그리고 30대의 심플하고 모던한 스타일에 맞게 다양한 상품을 전개하고 있으며, 기능성 소재 및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상품을 고급화하여 신규고객의 유입을 유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상품판매 97.63%, 로열티수익 2.37% 등으로 구성된다.


2. 한섬

  • 동사는 1987년 5월 25일에 설립되어 여성의류의 제조판매업을 주요 영업으로 하고 있음. 2017년 9월 기준 현재 동사에 속한 종속회사는 5개사이다.
  • SPACE MUE를 통해 테스트를 거친 Chloe, LANVIN, see by Chloe를 단독매장으로 분리, 유명 도심 백화점을 중심으로 전개하여 해외 명품 브랜드 비즈니스에서도 메이저 컴퍼니로 자리잡았다.
  • 주요 브랜드로 SYSTEM, MINE, SJSJ, TIME HOMME, SYSTEM HOMME, 랑방컬렉션, DECKE 등이 있으며, 백화점, 대리점, 직영점 등을 통해 대도시 중심지역에서 영업중이다.
  • 2016년 12월 (주)SK네트웍스의 패션사업부문을 양수했다.
  • 매출구성은 (주)한섬 62.34%, (주)현대지앤에프 25.66%, (주)한섬글로벌 11.09%, 한섬상해(상무),유한공사 0.76%, Handsome Paris 0.15%, Obzee New York.lnc 0% 로 구성된다.


3. 신세계인터내셔날

  • 신세계그룹의 계열사로서 신세계백화점 내의 해외사업부로 시작된 패션 비즈니스 전문기업이다.
  • 해외 유명 브랜드를 국내에 직수입하여 유통채널을 통해 판매하는 해외패션부문과 자체 브랜드상품을 기획, 생산, 유통하는 국내패션부문, 2010년 5월 당시 신세계의 이마트 부문에서 양수한 라이프스타일 사업부문으로 구분된다.
  • 해외패션부문은 J.LINDEBERG, ARMANI, DOLCE AND GABBANA, DIESEL, GAP 등의 브랜드를 통해 사업을 전개하며, 국내패션부문은 VOV, GCUT 등을 기획 및 제조중이다.
  • 연구개발담당조직으로 VOV디자인센터, G-CUT디자인실, PL디자인센터, DU디자인실, 살로몬디자인실, JAJU DESIGN R&D센터를 두고 있다.
  • 매출구성은 상품 및 제품매출 98.99%, 기타 1.01%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14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제습기 관련 주식정리, 새로운 가전제품의 트렌드

2018/04/23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새로운 한류의 등장, E 스포츠 관련 주식 정리

2018/04/17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일코노미(1-economy)'의 시대, 혼밥 혼술 관련 주식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미래에셋대우 산업분석리포트 "트렌드 Reader가 마켓 Leader다."



사드 악재의 그림자가 여전했던 지난 1분기 백화점 빅3의 영업실적은 희비가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세계 실적은 면세부문(신세계DF)의 흑자전환, 백화점 기존점 매출이 4%대 성장을 보인데 따라 개선됐지만, 롯데쇼핑은 본점에서의 역성장과 중국 마트 적자 등으로 인해 부진이 지속됐을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현대백화점은 지난해 1분기 일회성 이익을 제외할 경우 선방했다는 평가입니다. 오늘은 국내 백화점 관련 상장기업들을 정리해보려합니다.


 department store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1. 롯데쇼핑

  • 지배기업인 동사는 백화점 경영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백화점 사업부문, 할인점 사업부문, 전자제품전문점사업부문, 기타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 당기말 현재 백화점 30점, 아울렛 21점, 할인점 123개점, 슈퍼 430개점, H&B스토어 96개점, 영화관 93개관을 보유중이다.
  • 백화점사업부는 롯데쇼백화점, 할인점사업부는 롯데쇼핑 할인점 등, 금융사업부는 롯데카드/이비카드 등, 전자제품전문점은 하이마트, 편의점사업부는 코리아세븐 등, 기타사업부는 롯데시네마, 롭스, 롯데닷컴 등으로 구성된다.
  • 2017년 10월 1일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분할합병으로 금융 사업부문, 편의점 사업부문 등이 롯데지주로 이관했다.
  • 매출구성은 할인점 36.18%, 기타 23.33%, 전자제품 전문점 22.55%, 백화점 17.62%, 편의점 15.68%, 금융 7.85%, 중단손익으로 대체 -23.22% 등으로 구성된다.


2. 현대백화점

  • 동사는 2002년 11월 1일자로 주식회사 현대그린푸드의 백화점사업부문이 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유통의 한 업태인 백화점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국내백화점 시장은 현대, 롯데, 신세계가 BIG3로서 시장점유율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온라인 사업부문 강화를 위해 2016년 1월 자체적인 통합 온라인쇼핑몰인 더현대닷컴을 새롭게 런칭하였다.
  • 백화점의 경쟁력은 동 업태와 타 업태간의 경쟁력. BIG3의 경우 양질의 상권 확보는 물론 전국적 Network망을 통한 구매협상력, 브랜드 인지도가 달성되어 있어 타 업체에 대한 진입장벽이 높다고 볼 수 있다.
  • 2017년 8월에는 통합멤버십 제도인 H.Point를 출시하여 다양한 포인트제도 통합을 통해 범용성과 고객편의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다양한 외부제휴를 바탕으로 고객들에게 혜택과 가치를 제공하는 등 경쟁력 제고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상품 92.66%, 용역 7.34% 등으로 구성된다.


3. 신세계

  • 지배회사인 동사는 백화점 13개점 매장을 운영. 주요 종속회사들은 백화점사업, 의류 제조/판매 수출입사업, 면세점사업, 부동산 및 여객터미널업, 관광호텔업을 영위하고 있다.
  • 미래성장의 핵심 사업이 될 강남증축과 센텀시티몰, 김해점, 하남점, 대구점의 성공적 오픈으로 압도적 상권 1번점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였다.
  • 기존점의 경쟁력 강화 및 성장, 지속적인 신규점포 개발, 유통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컨텐츠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 2023년까지 SC & 메사 전문관 개발을 통한 ‘본점 타운화’ 마스터 플랜을 추진하고 있으며, ‘대전 충남지역 최고의 랜드마크’로 개발 예정인 대전 사이언스 2021년에 오픈할 계획이다.
  • 매출구성은 백화점부문 47.13%, 의류제조/판매 및 수출입업 28.55%, 면세점사업 23.77%, 부동산 및 자동차여객터미널업 4.9%, 관광호텔업 1.87%, 기타부문 및 내부거래제거 -6.21% 등으로 구성된다.


4. 대구백화점

  • 동사는 74년의 전통을 가진 지역 유통 전문기업으로서 고객제일주의, 현장제일주의, 인재제일주의라는 경영이념을 바탕으로 백화점 사업을 주력사업으로 하고 있다.
  • 지배회사인 대구백화점은 대구지역에 백화점 사업 및 인터넷 쇼핑몰, 체인 마트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연결종속회사인 대백저축은행은 저축은행업을 통한 금융부문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올라카일리`와 `로레나 안토니아찌` 브랜드를 2017년 전국8개 백화점 매장에 오픈하였으며 (주)대백아울렛은 대구 동구 신천동에 도심형 아울렛사업을 주력사업으로 2017년 4월 14일에 정식오픈했다.
  • 프라자는 스포츠 상품군의 리뉴얼과 섬유ㆍ계절 잡화 상품군을 지하1층에서 1층으로 이동하고 지하 1층 전체를 식품관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시니어 숍` 및 반려동물 시장의 확대에 대응할 예정이다.
  • 매출구성은 의류 외 86.3%, 임대료 외 13.7% 등으로 구성된다.


5. 광주신세계

  • 동사는 1995년 설립되었으며, 광주 및 호남지역을 상권으로 하여 식품, 의류, 잡화 등을 판매하는 백화점 및 대형마트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사업부문은 백화점과 이마트로 구성되며 경쟁력 강화, 비용 효율화 등 수익확대를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하고 있으며, 지역 대표 유통기업으로서 시장지배 및 선도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 백화점은 산업의 특성상 고도의 자금력과 영업력을 겸비해야 하는 자본집약적 장치 산업으로 신규 시장의 진입 장벽이 매우 높은 편이다.
  • 2007년 이후 대형 유통업체의 신규출점시 광주광역시 도시계획 심의 등의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향후에도 안정적인 영업환경이 예견된다.
  • 매출구성은 백화점 64.35%, 이마트 35.65%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16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등산아웃도어 관련 주식정리, 롱패딩 열풍을 이을 또 다른 먹거리를 찾아야

2018/04/23 - [▶ 재밌는 금융이야기/경제 이슈 이해하기] - 新왕서방이 온다, 주링허우 세대의 중국을 이해하는 3가지 포인트

2018/04/06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중국발 FDI, 한중정상회담 관련 주식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82345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