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악재의 그림자가 여전했던 지난 1분기 백화점 빅3의 영업실적은 희비가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세계 실적은 면세부문(신세계DF)의 흑자전환, 백화점 기존점 매출이 4%대 성장을 보인데 따라 개선됐지만, 롯데쇼핑은 본점에서의 역성장과 중국 마트 적자 등으로 인해 부진이 지속됐을 것으로 전망되는데요. 현대백화점은 지난해 1분기 일회성 이익을 제외할 경우 선방했다는 평가입니다. 오늘은 국내 백화점 관련 상장기업들을 정리해보려합니다.


 department store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1. 롯데쇼핑

  • 지배기업인 동사는 백화점 경영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백화점 사업부문, 할인점 사업부문, 전자제품전문점사업부문, 기타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 당기말 현재 백화점 30점, 아울렛 21점, 할인점 123개점, 슈퍼 430개점, H&B스토어 96개점, 영화관 93개관을 보유중이다.
  • 백화점사업부는 롯데쇼백화점, 할인점사업부는 롯데쇼핑 할인점 등, 금융사업부는 롯데카드/이비카드 등, 전자제품전문점은 하이마트, 편의점사업부는 코리아세븐 등, 기타사업부는 롯데시네마, 롭스, 롯데닷컴 등으로 구성된다.
  • 2017년 10월 1일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분할합병으로 금융 사업부문, 편의점 사업부문 등이 롯데지주로 이관했다.
  • 매출구성은 할인점 36.18%, 기타 23.33%, 전자제품 전문점 22.55%, 백화점 17.62%, 편의점 15.68%, 금융 7.85%, 중단손익으로 대체 -23.22% 등으로 구성된다.


2. 현대백화점

  • 동사는 2002년 11월 1일자로 주식회사 현대그린푸드의 백화점사업부문이 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유통의 한 업태인 백화점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국내백화점 시장은 현대, 롯데, 신세계가 BIG3로서 시장점유율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온라인 사업부문 강화를 위해 2016년 1월 자체적인 통합 온라인쇼핑몰인 더현대닷컴을 새롭게 런칭하였다.
  • 백화점의 경쟁력은 동 업태와 타 업태간의 경쟁력. BIG3의 경우 양질의 상권 확보는 물론 전국적 Network망을 통한 구매협상력, 브랜드 인지도가 달성되어 있어 타 업체에 대한 진입장벽이 높다고 볼 수 있다.
  • 2017년 8월에는 통합멤버십 제도인 H.Point를 출시하여 다양한 포인트제도 통합을 통해 범용성과 고객편의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다양한 외부제휴를 바탕으로 고객들에게 혜택과 가치를 제공하는 등 경쟁력 제고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상품 92.66%, 용역 7.34% 등으로 구성된다.


3. 신세계

  • 지배회사인 동사는 백화점 13개점 매장을 운영. 주요 종속회사들은 백화점사업, 의류 제조/판매 수출입사업, 면세점사업, 부동산 및 여객터미널업, 관광호텔업을 영위하고 있다.
  • 미래성장의 핵심 사업이 될 강남증축과 센텀시티몰, 김해점, 하남점, 대구점의 성공적 오픈으로 압도적 상권 1번점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였다.
  • 기존점의 경쟁력 강화 및 성장, 지속적인 신규점포 개발, 유통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컨텐츠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 2023년까지 SC & 메사 전문관 개발을 통한 ‘본점 타운화’ 마스터 플랜을 추진하고 있으며, ‘대전 충남지역 최고의 랜드마크’로 개발 예정인 대전 사이언스 2021년에 오픈할 계획이다.
  • 매출구성은 백화점부문 47.13%, 의류제조/판매 및 수출입업 28.55%, 면세점사업 23.77%, 부동산 및 자동차여객터미널업 4.9%, 관광호텔업 1.87%, 기타부문 및 내부거래제거 -6.21% 등으로 구성된다.


4. 대구백화점

  • 동사는 74년의 전통을 가진 지역 유통 전문기업으로서 고객제일주의, 현장제일주의, 인재제일주의라는 경영이념을 바탕으로 백화점 사업을 주력사업으로 하고 있다.
  • 지배회사인 대구백화점은 대구지역에 백화점 사업 및 인터넷 쇼핑몰, 체인 마트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연결종속회사인 대백저축은행은 저축은행업을 통한 금융부문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올라카일리`와 `로레나 안토니아찌` 브랜드를 2017년 전국8개 백화점 매장에 오픈하였으며 (주)대백아울렛은 대구 동구 신천동에 도심형 아울렛사업을 주력사업으로 2017년 4월 14일에 정식오픈했다.
  • 프라자는 스포츠 상품군의 리뉴얼과 섬유ㆍ계절 잡화 상품군을 지하1층에서 1층으로 이동하고 지하 1층 전체를 식품관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시니어 숍` 및 반려동물 시장의 확대에 대응할 예정이다.
  • 매출구성은 의류 외 86.3%, 임대료 외 13.7% 등으로 구성된다.


5. 광주신세계

  • 동사는 1995년 설립되었으며, 광주 및 호남지역을 상권으로 하여 식품, 의류, 잡화 등을 판매하는 백화점 및 대형마트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사업부문은 백화점과 이마트로 구성되며 경쟁력 강화, 비용 효율화 등 수익확대를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하고 있으며, 지역 대표 유통기업으로서 시장지배 및 선도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 백화점은 산업의 특성상 고도의 자금력과 영업력을 겸비해야 하는 자본집약적 장치 산업으로 신규 시장의 진입 장벽이 매우 높은 편이다.
  • 2007년 이후 대형 유통업체의 신규출점시 광주광역시 도시계획 심의 등의 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향후에도 안정적인 영업환경이 예견된다.
  • 매출구성은 백화점 64.35%, 이마트 35.65%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16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등산아웃도어 관련 주식정리, 롱패딩 열풍을 이을 또 다른 먹거리를 찾아야

2018/04/23 - [▶ 재밌는 금융이야기/경제 이슈 이해하기] - 新왕서방이 온다, 주링허우 세대의 중국을 이해하는 3가지 포인트

2018/04/06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중국발 FDI, 한중정상회담 관련 주식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823457



1. 코오롱머티리얼

  • 동사는 화학섬유의 제조, 판매 및 염색가공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경기도 과천시에 본사를 두고 김천, 구미, 대구 및 양주에 제조시설을 가지고 있다.
  • 원사 사업 부문에서는 경쟁력 없는 설비의 구조조정을 통한 정번품 비중의 축소, 기능성 및 산업용 제품의 개발 확대를 통해 국내 섬유산업의 경쟁력 확보에 상당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 원단 사업 부문은 스포츠, 아웃도어용 기능성 원단 부문을 중심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캐주얼, workwear용 원단 등으로 사업 분야를 확대하고 있다.
  • 양주공장 준공으로 원사(김천공장), 직물가공(대구공장), 니트가공(양주공장)에 이르는 섬유소재 전 영역의 개발 및 생산 기지를 확보하게 되었다.
  • 매출구성은 폴리에스터 47.22%, 나일론 28.8%, 우븐(Woven) 18.97%, 니트(Knit) 3.15%, 용역수익 2.28%, 가공 0.75%, 기타(충당금) -1.17% 등으로 구성된다.


2. 코오롱인더

  • 동사는 (주)코오롱의 제조사업부문이 2009년 12월 31일자로 분할되어 신설된 제조회사이다.
  • 산업자재군(자동차소재 등), 화학소재군(종합화학제품), 필름/전자재료군, 패션군(패션, 아웃도어 제품), 의류소재군의 5개 사업군으로 구성된다.
  • 산업자재부문은 타이어코오드를 비롯하여 에어백 원단 및 쿠션, 산업용사, SPB(부직포), 샤무드(인공피혁), 아라미드, MBR(멤브레인)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다.
  • 약 880억원을 투자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핵심부품인 윈도우 커버용 CPI필름 생산설비를 구축 중에 있다.
  • 매출구성은 산업자재군 37.31%, 패션군 23.81%, 화학소재군 18.98%, 필름/전자재료군 10.84%, 의류소재등군 9.06% 등으로 구성된다.


3. 효성

  • 동사는 1966년에 설립되어 1973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으며 화학섬유 및 수지, 전력설비, 산업재 등을 생산 및 판매하는 것을 목적사업으로 함. 노틸러스효성(주), 효성캐피탈(주) 등 85개 종속회사 보유중이다.
  • 사업부문은 변압기, 차단기 등 전력산업 핵심 설비를 생산하는 중공업 부문, 자동차용 원사 및 타이어보강재 등을 생산하는 산업자재 부문, 스판덱스 등 고부가가치 섬유소재를 생산하는 섬유부문을 포함한 7개 사업부로 구성된다.
  • 섬유부문과 산업자재 부문은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구축과 지속적 생산증대 노력에 따라 세계 1위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친환경 고분자 신소재인 폴리케톤을 세계 최초로 개발, 상용화하는 등 사업다각화 진행중이다.
  • 중공업과 건설 부문에서도 차세대 전력 IT 사업분야 확대와 신재생에너지 자원화, 수처리사업 등의 환경분야에 투자하는 등 사업부 전반의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역점을 두고 있다.
  • 매출구성은 산업자재 19.21%, 무역 18.18%, 중공업 17.92%, 섬유 17.04%, 화학 11.96%, 건설 9.19%, 기타 4.73%, 금융 1.77% 등으로 구성된다.


4. 휴비스

  • 동사는 폴리에스터(Polyester) 섬유인 장섬유(Filament Yarn, 이하 FY) 및 단섬유(Staple Fiber, 이하 SF)를 주력으로 생산, 판매하는 회사이다.
  • 주력제품으로 폴리에스터 제품인 FY(장섬유), SF(단섬유), CHIP과 폴리에스터 외의 신소재 제품이 있으며 휴비스워터는 발전소 및 산업용 플랜트에 필요한 수처리 시스템을 제작, 설치, 운영하고 있다.
  • 동사의 장섬유 사업부문은 전부 내수시장이나 국내 경제의 정체가 심화됨에 따라 성장 잠재력이 높은 해외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 동사는 2016년 1월 신규 연결대상 종속회사에 편입된 Huvis Water Vietnam은 휴비스워터의 베트남 수처리 사업 확대를 위해 출자 하였다.
  • 매출구성은 폴리에스터(휴비스) 77.56%, 폴리에스터(사천휴비스) 15.82%, 수처리 System 6.62% 등으로 구성된다.


5. 티케이케미칼

  • 2007년 11월 설립된 동사는 화학섬유 및 동 관련제품의 제조 판매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수익다각화차원에서 주택분양사업(시행 및 시공)을 영위하고 있다.
  • 주요 제품 및 상품으로는 화학부문의 PET Bottle Chip, 폴리에스터 원사, 스판덱스 원사와 건설부문의 아파트(우방아이유쉘) 등이 있다.
  • 화학부문에서 지속적인 연구 개발 및 시설 투자를 통해 스판덱스 신규 증설을 완료하였고 원가 및 품질 우위를 점하는 제품인 ARACHRA S2000을 생산, 출시하여 고 부가가치 시장으로의 판매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 건설부문에서 우방건설산업의 지분을 보유하였고 우방건설산업과 SM상선의 합병이슈가 최근 발생하였다.
  • 매출구성은 PET-Chip 폴리에스터 스판덱스 83.75%, 아파트 16.25% 등으로 구성된다.

화학섬유 시장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 함께하면 좋은 글

2018/05/16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등산아웃도어 관련 주식정리, 롱패딩 열풍을 이을 또 다른 먹거리를 찾아야

2018/03/23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아이돌 엔터테인먼트 관련 주식정리

2018/02/25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중국 이슈 관련 테마주 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무선충전 시장 규모가 2020년에 약 148억달러의 규모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무선충전용 송신기·수신기는 사실상(de-facto)의 표준화 기구가 제시하는 버전업에 부응하는 발전 속도를 보이는 동향이 관측되고 있어 소전력 무선충전기술은 현재 일상으로 자리 잡은 Wi-Fi나 Bluetooth와 같은 속도로 빠르고 폭넓게 일반에 보급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하네요. 


무선충전(무선전력전송)은 편리성, 에너지 소비 감소 및 배터리 수명 연장 등과 같은 다양한 이점을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호 연결 배선이 불가능하고 위험한 상황에서는 특히 유용합니다. 무선 연결성, 효과적인 충전 시스템의 필요성, 신뢰성, 효율성, 신속하고 낮은 유지 보수 비용과 같은 기능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는 시장의 성장 촉진 요인이지만 무선 전력 기술과 관련된 높은 비용과 인프라의 부족은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무선충전기술과 관련된 국내 상장기업들을 정리해보려합니다.


관련 이미지

1. 삼성전자

  • 1969년 설립 된 글로벌 기업으로, 주요사업은 CE부문(TV, 냉장고 등)과 IM부문(컴퓨터, HHP 등), DS부문(DRAM, 모바일AP, LCD, OLED 등), Harman(인포테인먼트 등)으로 구성된다.
  • 지역별로는 본사를 거점으로 한국 및 CE, IM부문 산하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산하 해외 5개 지역총괄의 생산, 판매법인 등 270개의 동종업종을 영위하는 종속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 IM부문은 프리미엄 브랜드 갤럭시를 필두로 소비자 친화적이며 혁신적인 제품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Samsung Pay와 같은 Mobile Payment, Cloud 등 미래 성장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 반도체 사업 부문에서 NAND의 경우, 경쟁사 대비 앞선 기술력을 확보한 Vertical NAND를 4세대 적층 제품을 본격 양산하고 있으며, 이를 고성능 SSD에 탑재하여 프리미엄 시장에 적극 진입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IM 44.42%, 반도체 30.92%, CE 18.79%, DP 14.35%, Harman 2.96%, 기타 -11.44% 등으로 구성된다.

2. LG전자

  • 동사는 2002년 4월 1일을 기준일로 분할 전 LG전자(주)의 전자 및 정보통신사업부문을 인적 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LG계열의 회사이고, 2017년 12월 31일 현재 LG계열에는 68개의 국내 계열회사가 있다.
  • 사업부문은 TV 등을 생산하는 HE사업본부, 이동단말을 생산하는 MC사업본부, 생활가전제품을 생산하는 HA사업본부, 자동차부품을 제조하는 VC사업본부, LED사업 등을 영위하는 엘지이노텍, 기타 등으로 6개로 구성된다.
  • Home Appliance는 핵심 부품 기술에 기반한 대용량, 고효율 중심의 제품 차별화와 지역 적합형 제품 개발 역량을 확보하였고, 원가 경쟁력 부분에서도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동종업계에서도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
  • TV에서는 차별화된 시장 선도 제품을 지속적으로 기획ㆍ개발ㆍ출시하여 기존 3D TV 시장 선도에 이어, 고화질 울트라HD TV의 보급형 모델을 출시하여 대중화를 리딩, 세계 최초 올레드TV 출시 및 판매 확대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HA사업부 31.31%, HE사업부 30.42%, MC사업부 19%, 이노텍 12.45%, VC사업부 5.68%, 기타 및 연결조정 1.14% 등으로 구성된다.



3. LS

  • 동사는 1962년 5월 15일 한국케이블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지주회사로서 주식의 소유를 통하여 국내회사의 사업내용을 지배하는 것을 주된 사업으로 하고 있다.
  • 속해있는 자회사의 주요제품으로는 전선부문에서 피복선, 산업용특수케이블, 권선 등이 있으며 산전부문에서는 저압기기, 고압기기, 계량기 등이 있다.
  • 주력사업부문은 전선부문, 산전부문, 엠트론부문, 글로벌부문, 아이앤디부문이 있으며 그 중 통신, 권선을 주요 제품 및 서비스로 하는 해외투자부문이 가장 큰 매출액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전선사업부문은 다시 전선/전력/통신으로, 산전사업부문은 전력/자동화/금속으로, 엠트론사업부문은 기계/부품으로 구분되며, LS상표권을 사용하는 회사로부터 상표권 사용료를 수취하였다.
  • 매출구성은 전선 37.29%, 아이앤디 26.56%, 산전 24.63%, 엠트론 10.79%, 기타 조정 0.73% 등으로 구성된다.

4. 알에프텍

  • 동사는 1995년 설립되어 현재 IT사업(모바일 기기의 부가장치 제조 및 판매)과 LED사업(LED 조명기기 제조 및 판매)을 영위하고 있다.
  • IT사업은 모바일 기기 부가제품을 연구개발, 생산, 판매하는 기업으로 당사의 기술적 우위 및 해외 현지화 전략을 통해 모바일기기 부가제품을 삼성전자에 주문자개발생산(ODM)방식으로 공급하고 있다.
  • LED조명사업은 정부의 지하철 역사 LED조명시범사업 선정을 통해 알려지게 되었고, 정부 주도의 과제 수행과 안정적 기술 및 설비, 다양한 수익모델 확보로 사업적 안정화와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였다.
  • 동사 Power의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SMPS 부품 공급시장에 진출하고자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사업 성과를 증대 시키고 있다.
  • 매출구성은 TA 47.77%, ACC 외 25.06%, DLC 16.83%, ANT·STY 6.83%, LED 1.81%, 기타 1.33%, BTC 0.36% 등으로 구성된다.



5. 켐트로닉스

  • 동사는 Touch IC, PCB 모듈 등 전자부품과 TG, 전자용 화학제품을 제조하는 업체이다.
  • 2세대부터 7세대에 이르는 LCD Panel 생산업체의 PR(Photo Resist) 및 CF(Color Filter)에 사용되는 전자용 화학제품을 생산중이다.
  • 동사 및 종속회사는 삼성전자, 동진쎄미켐, KCC, 삼화페인트 등 국내외 우량 기업에 화학 재료 및 상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 최근 화학 산업 분야 신규 재료 시장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시장점유율을 확대하였다.
  • 전도성 도료 등을 입혀 전자 제품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등 유해한 노이즈가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노이즈도 차단하는 EMC를 개발. 신규사업으로 V2X 통신 기술과 무선충전기에 투자중이다.
  • 매출구성은 Glycol류 37.12%, PBA Function Board 및 하네스 36.86%, Solvent류 24.3%, IC등 상품 1.41%, 태양광 0.31%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들

2018/04/15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자율주행 핵심기술 ADAS(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관련 주식 정리

2018/04/14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꿈의 나노물질 신소재 그래핀 관련 주식정리

2018/03/23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음성인식 AI 관련 주식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868635


삼성패션연구소에 따르면 아웃도어 시장은 지난 2014년 6조8439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후 줄곧 내리막을 걷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해 시장 규모는 약 4조8000억원으로 추산되는데요. 업계는 이런 추세로 가면 올해가 최근 5년 중 가장 힘든 시즌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아웃도어, 등산과 관련된 국내 상장기업들을 정리해보려합니다.


HIKING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1. 영원무역

  • 동사는 국내 본사를 비롯하여 해외현지법인 생산 공장과 원자재 조달회사, 의류판매 회사 등 총 67개의 동종 업종을 영위하는 종속회사로 구성된 글로벌 아웃도어 기업이다.
  • 해외에 소재한 약 40여개의 유명 아웃도어 및 스포츠 브랜드 바이어로부터 주문을 받아 방글라데시, 베트남, 중국 등에 소재한 동사 해외현지법인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 및 수출하고 있다.
  • 동사는 고기능성 원단 및 Down 제품의 특화와 무봉제접착 등의 차별화된 제조기술을 바탕으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 동사 원단 R&D센터인 대구공장을 통해 해외 공장에서의 제품 개발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고기능성 및 고부가가치의 원단개발 연구를 활발히 진행중이다.
  • 매출구성은 제조OEM 119.58%, 브랜드유통/기타 40.14%, 연결조정 -59.72% 등으로 구성된다.


2. LF

  • 동사는 2006년 11월 1일 LG상사로부터 분할 후 신설된 법인으로서, 분할 전의 패션부문을 승계 받아 핵심역량 및 전문성을 강화하여 패션 선두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
  • 닥스, 마에스트로, 헤지스, 라푸마, 질스튜어트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의류 소비시장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시장에서의 안정적인 성장을 도모하며 경쟁력 강화 예정이다.
  • 동사는 100% 외주 가공 생산을 하고 있으며, 국내사업장 및 중국, 이태리 등의 해외사업장에서 주요 제품의 기획, 영업, 마케팅 등의 사업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 미래성장동력 확보 및 매출 증대를 위해 매장 확대와 매장 설비 확충, 인프라 확충을 위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상제품매출액 92.68%, 기타매출액 4.38%, 수수료수익 2.94% 등으로 구성된다.


3. 코오롱머티리얼

  • 동사는 화학섬유의 제조, 판매 및 염색가공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경기도 과천시에 본사를 두고 김천, 구미, 대구 및 양주에 제조시설을 가지고 있다.
  • 원사 사업 부문에서는 경쟁력 없는 설비의 구조조정을 통한 정번품 비중의 축소, 기능성 및 산업용 제품의 개발 확대를 통해 국내 섬유산업의 경쟁력 확보에 상당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 원단 사업 부문은 스포츠, 아웃도어용 기능성 원단 부문을 중심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캐주얼, workwear용 원단 등으로 사업 분야를 확대하고 있다.
  • 양주공장 준공으로 원사(김천공장), 직물가공(대구공장), 니트가공(양주공장)에 이르는 섬유소재 전 영역의 개발 및 생산 기지를 확보하게 되었다.
  • 매출구성은 폴리에스터 47.22%, 나일론 28.8%, 우븐(Woven) 18.97%, 니트(Knit) 3.15%, 용역수익 2.28%, 가공 0.75%, 기타(충당금) -1.17% 등으로 구성된다.


4. 코오롱인더

  • 동사는 (주)코오롱의 제조사업부문이 2009년 12월 31일자로 분할되어 신설된 제조회사이다.
  • 산업자재군(자동차소재 등), 화학소재군(종합화학제품), 필름/전자재료군, 패션군(패션, 아웃도어 제품), 의류소재군의 5개 사업군으로 구성된다.
  • 산업자재부문은 타이어코오드를 비롯하여 에어백 원단 및 쿠션, 산업용사, SPB(부직포), 샤무드(인공피혁), 아라미드, MBR(멤브레인)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다.
  • 약 880억원을 투자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핵심부품인 윈도우 커버용 CPI필름 생산설비를 구축 중에 있다.
  • 매출구성은 산업자재군 37.31%, 패션군 23.81%, 화학소재군 18.98%, 필름/전자재료군 10.84%, 의류소재등군 9.06% 등으로 구성된다.


5. LS네트웍스

  • 동사는 신발류, 의류, 등산ㆍ운동경기 용품 등의 제조 및 유통, 판매 등을 목적으로 하여 1949년 12월 21일 설립, 현재 브랜드 사업, 유통사업, 임대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브랜드 사업부는 국내 스포츠 의류 브랜드인 PROSPECS를 보유중이며, 2016년 역신장한 브랜드를 정리하여 사업구조의 변화를 도모하고 있다.
  • 유통사업부는 러시아, 중앙아시아 등 지역에서 브랜드 상품의 수출입을 중개하는 등의 사업을 영위중이다.
  • 임대사업은 동사가 보유한 LS용산타워 등의 부동산을 통한 사무실 및 상가, 창고 임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브랜드 48.58%, 유통 44.28%, 임대 8.14%, 기타 1.68%, 연결조정 -2.68%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4/22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주5일제에 이은 주당 근로시간 52시간, 근로자 휴일증가 관련 주식정리

2018/03/03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반려동물 애완동물 관련주식 정리

2018/02/28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저가 항공 관련주식 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news.joins.com/article/22594681

지난해 역대 최악의 청년실업률을 기록했습니다. 지난 3월 실업률도 동기간 기준 17년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는데요.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과 기업 경영의 위축 역시 한국 고용시장을 더 얼어붙게 만들 전망입니다. 이른바 'J노믹스'에 대한 대대적인 재검토가 요구되는 실정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업률 관련 정책에 힘을 얻을 수 있는 국내 기업들을 알아보려합니다.


CAREER START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1. 사람인에이치알

  • 2005년 10월에 설립되었으며 주요사업으로는 인터넷을 통한 구인/구직사업, 온라인 정보제공업, 국내외 유료직업소개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 현재 순방문자수로 1위업체이며 동사의 모바일 매출액은 2015년~2017년 연평균성장률(CAGR) 98.2%의 성장을 기록, 향후 모바일 쪽이 매칭 플랫폼 사업의 성장을 주도해 나갈 것으로 예측된다.
  • 개인간 재능거래로 대표되는 C2C 서비스 거래 오픈마켓으로 진출하기 위하여 2015년 12월 재능마켓 업체인 `(주)오투잡`을 소규모 합병하였다.
  • 동사의 추정 자료에 따르면 매출액기준 2017년 동사의 시장점유율은 2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매칭플랫폼 64.53%, 인재파견 34.61%, 헤드헌팅 0.85% 등으로 구성된다.


2. 에스코넥

  • 동사는 설립 이후 휴대폰 내외장재 금속부품을 위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와 거래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 사업목적은 반도체 장비, 핸드폰 외장부품 정보통신, 컴퓨터기기 및 부품, 통신기기 개발 등의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것으로 이 중 핸드폰 외장부품 제조 및 판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수행하고 있다.
  • 고객사로부터 혁신사례, 품질에 대한 우수성을 인정 받아 2016년 품질최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연구개발 능력, 생산기술력 등을 발전시켜 가고 있다.
  •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앞서가는 기술을 바탕으로 휴대폰 응용 부품용 힌지(프론트 슬라이딩 힌지, 링크 유닛)를 이용하여 정체 성장을 보이고 있는 본사에서의 휴대폰 케이스 판매량을 재차 성장 궤도에 올려놓을 계획이다.
  • 매출구성은 휴대폰부품(제품) 87.53%, 금형 5.55%, 기타 3.28%, 상품기타 3.16%, 제품기타 0.45%, 휴대폰부품(상품) 0.03% 등으로 구성된다.



3. 윌비스

  • 동사는 1973년 3월 9일 설립되어 의복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고등고시 전문 학원인 한림법학원의 운영 사업을 함께 영위하고 있다.
  • 동사의 주요 섬유제품으로는 KNIT, SWEATER, WOVEN등이 있으며 모든 제품은 종속회사인 해외법인 생산지(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도미니카(공), 아이티 등)에서 생산하여 수출하고 있다.
  • 섬유사업에서 40년 이상의 노하우와 기술력을 가지고 있으며, TARGET, WALMART, OLDNAVY 등의 대형 바이어들에 OEM방식으로 수출중이다.
  • 한림법학원은 신림동 고시촌에 위치한 유명 학원으로 고등고시뿐 아니라 교원 임용고시나 7급 및 9급 공무원, 기타 자격증 등에 대한 교육도 함께 실시하고 있으며 온라인 교육 사업도 운영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섬유사업 75.33%, 교육사업 24.61%, 소프트웨어사업 0.06% 등으로 구성된다.


4. 메가엠디

  • 동사는 2004년 1월 설립되었으며 온라인교육서비스의 제공 및 오프라인 학원과 관련하여 `평생교육법` 및 `학원의 설립 ·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동사는 의, 치의학 교육입문 검사(MEET, DEET)로 시작하여 법학적성검사(LEET), 약학대학입문자격시험(PEET) 입시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 및 강화하고 있는 성인전문 교육기관이다.
  • 동사가 영위하고 있는 교육서비스업은 시험 일정에 따라 매출에 뚜렷한 계절성이 있으며 동사는 이에 따른 매출변동을 최소화하고자 시험 종료 후 논술 및 면접 대비 등 최종 합격까지 지속적인 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 동사는 전문직 교육시장과 대학편입시장에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고등부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교육 사업경험, 브랜드 인지도, 양질의 강사진 조달능력, 밀착 관리서비스 측면에서 경쟁 우위가 있다.
  • 매출구성은 강의 87.96%, 도서 8.11%, 기타 3.94% 등으로 구성된다.


5. DSC인베스트먼트

  • 2012년 1월 설립된 동사는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금융을 제공하는 벤처캐피탈(Venture Capital, VC)로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 등 조합결성을 통한 창업초기 기업 투자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경제 불확실성은 대외 의존도가 높은 국내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하며 국내 경기가 둔화될 경우 투자 대상기업의 영업환경 변화로 인해 벤처캐피탈 산업에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 동사가 영위하고 있는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에 대한 세제지원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투자조합 출자자인 LP(유한책임조합원)에 대한 세제혜택으로 투자조합의 출자자 모집 등 투자조합 설립 및 운영에 있어 많은 이점으로 작용중이다.
  • 유망한 초기 기업의 선제적 투자를 통해 수익률 향상 등을 꾀할 수 있으며 빠른 투자자금 집행을 통해 벤처기업에 자금지원 역할과 조합운영에 따른 관리보수 수익 및 투자수익 배분에 따른 추가이익 창출이 가능한 강점 보유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투자조합수익 84.44%, 기타영업수익 15.28%, 운용투자수익 0.25%, 사모투자전문회사수익 0.03%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3/31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청년 취업난 속에 일자리 창출과 관련된 주식정리

2018/04/14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일자리 문제 해결의 또 다른 방안 창업, 투자자문 관련 주식 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8/05/11/2018051100050.html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