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수출 역군’으로 불리다가 긴 침체기를 겪은 종합상사들이 재도약하고 있습니다. 포스코대우, SK네트웍스, 삼성물산, LG상사 등 ‘빅4’ 모두 올 1분기 나란히 흑자를 냈는데요.. 단순 트레이딩 사업을 넘어 해외 풍력·태양광발전 단지부터 가전제품 렌털까지 사업 다각화에 나선 게 특징입니다. 영업이익률이 1~2% 수준으로 국내 제조업 평균 영업이익률(5~6%)에 못 미치는 점은 풀어야 할 숙제로 꼽히지만 말입니다. 오늘은 국내 종합상사 관련 상장 기업들을 알아보려합니다. 





1. 포스코대우

  • 2000년 (주)대우의 무역부문이 인적 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포스코 기업집단에 속하여 수출입업 및 동 대행업, 중개업, 제조 및 판매, 자원개발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동사와 그 종속회사는 철강/금속, 화학/석유제품, 기계/운송장비 등의 무역부문과 해외 플랜트, 발전 인프라 구축 등을 담당하는 해외프로젝트부문, 국내외 석유, 가스 등의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자원개발부문으로 구분된다.
  • 해외지사 36개소, 32개의 무역/투자 법인 및 14개의 자원 개발 거점 등 해외 주요지점에서 네트워크를 유지중이다.
  • 2017년 3분기 동사의 매출 중 수출(삼국간 거래 포함, 이하 동일)은 87.7%에 달하고 있으며, 수출 실적의 지역별 비중은 중국 19.2%를 비롯, 아시아 지역이 전체 수출실적의 55.8%를 차지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무역부문 118.73%, 자원개발부문 2.73%, 기타 1.04%, 연결조정 -22.5% 등으로 구성된다.


2. LG상사

  • 1953년 설립되었고 LG계열 기업집단에 소속된 자원개발, Trading, 수입유통을 주력사업으로 하는 종합상사이다.
  • 현재 동사 사업 부문은 자원 부문(석탄, 석유, 금속, 식량자원 등), 인프라 부문(화공 Plant, 발전 및 산업인프라, 화학, 전기/전자 등), 물류 부문(해상운송, 항공운송, 창고 등)으로 구분된다.
  • 인프라부문은 기존 진출 국가에 대한 시장 영향력을 강화하고, 기존 경험 및 기반을 바탕으로 신규 시장 개발을 가속화하여 화공 플랜트, 발전 플랜트 및 인프라 개발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2018.6.30(예정) 인도네시아 신규 팜농장 지분 취득을 위한 GGL(동사가 `09년 인도네시아에 설립한 자회사) 向 출자 계획으로 안정적 신규 수익원 확보가 기대된다.
  • 매출구성은 인프라 64.16%, 물류 27.65%, 자원부문 8.18% 등으로 구성된다. 


3. 현대상사

  • 동사는 1976년 설립되어 현재 산업플랜트, 차량, 철강, 화학, 자원개발 등 5개의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사업부문은 수출입업, 삼국간 무역 및 해외자원개발 프로젝트를 영위하고 있다.
  • 2015년 10월 1일을 기준일로 하여 브랜드 및 신사업부문을 분할하였으며, 현재 동사를 포함하여 25개의 계열회사가 있음. 이중 상장사는 동사를 포함하여 2개사이다.
  • 자원개발부문은 베트남11-2가스사업, 오만LNG사업, 카타르LNG사업, 예멘LNG 사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위험 고수익 사업의 특성이 있다.
  • 글로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국가별 무역금융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제조사의 제3국 제조시설을 활용한 삼국무역 확대 및 이를 통한 연계사업 진출과 신규 아이템/사업구조 개발로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추진중이다.
  • 매출구성은 철강 43.79%, 차량 건설장비 34.79%, 화학 24.47%, 선박/플랜트/전기 10.96%, 기타 0.55%, 내부거래조정 -14.56% 등으로 구성된다.


4. SK네트웍스

  • SK네트웍스(주)는 1953년 4월 8일 창립하여 직물 분야로 출발한 후, 국내외 네트워크 거점, 우량 거래선, 물류능력 등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석유제품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 유통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 SK계열 기업집단에 소속되어 있으며,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SK핀크스(주), SK네트웍스서비스(주) 등 25개사이고 그 중 주요종속회사는 7개사이다.
  • 정보통신부문은 국내 1위 Mobile Device 유통 사업자로서 휴대폰, 태블릿, Wearable Device 등 ICT Device의 도매 유통을 중심으로 연간 700~750만대 규모의 단말기를 판매하고 있다.
  • EM부문은 전국 약 460개 주유소에 주력 상품인 석유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Car life 영역은 렌터카 사업을 중심으로 정비, 긴급출동, 부품 유통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철강, 화학 상품 42.69%, 휴대폰 등 34.02%, 일반석유제품 12.45%, 렌터카, 차량정비부품 등 5.82%, 가스기기 등 3.6%, 호텔, 면세점 1.42% 등으로 구성된다.


5. GS글로벌

  • 1954년 국제무역을 전문으로 하는 금성산업주식회사라는 이름으로 최초 설립되었으며 2009년 7월에 ㈜GS로 대주주가 변경되고, 주식회사 지에스 글로벌로 사명을 변경했다.
  • 무역 사업부문(철강금속, 석유화학, 시멘트, 석탄 등), 제조 사업부문(에너지 사업, 플랜트 사업) 총 2개의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 무역 사업부문에 속하는 시멘트, 석탄 부문에서 안정적인 판매 실적을 달성하고 있으며, 석탄의 경우 인도네시아 BSSR 석탄광산 지분인수를 통해 고정적인 Off-take 물량을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물량을 공급할 계획이다.
  • 제조부문에서 기기 제작에 중요한 용접 기술의 확대와 안정화에 노력하고 있으며 태양광 에너지 설비 등 고부가 가치 제품제작에 필요한 재질의 용접 기술 개발과 기존 용접방법의 생산성과 효율을 높이기 위한 개발을 병행중이다.
  • 매출구성은 산업재 112.95%, 제조부문 5.39%, 수입유통 3.13%, 연결조정 -21.47%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들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50651931


최근 3년간 쏟아졌던 3D 프린팅에 대한 대중적인 열기가 조금 수그러드는 분위기로 비쳐집니다. 그렇다고 이러한 분위기가 3D 시장 자체의 위축은 아닌 것 같은대요. 거품에 대한 논의가 빠지면서, 각 산업분야별로 실질적인 3D 시장이 내실을 다지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IDC에 따르면, 세계 3D 프린팅 시장은 올해 전년대비 20% 성장할 전망입니다. 여기에는 3D 프린팅 장비, 재료, 소프트웨어, 서비스 시장이 포함된 것으로 금액으로는 120억 달러 규모인데, 향후 2021년까지 연평균 20.5%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분석이입니다.





1. TPC

  • 1979년 설립되어 2001년 상장하였으며 주요사업부문으로 공압사업부, 모션사업부 및 신규사업으로서 3D프린팅 사업본부를 신설 운영하고 있다.
  • 사업군은 공압 액츄에이터와 방향제어기기 등 공장자동화 부품을 생산/판매하는 공압사업부와 전동 서보모터 및 리니어모터를 활용한 직교로봇, 리니어 로봇 등을 생산/판매하는 모션 사업부로 구성된다.
  • TPC 서보시스템 사업이 가격과 납기 등의 차별화로 FA산업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고 있어 매출 신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2013년 10월부터 3D프린팅 사업부를 신설하여 관련 제품 생산/판매를 진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공압제품 71%, 모션 24.45%, 기타 3.25%, 3D프린팅 1.3% 등으로 구성된다.


2. 스맥

  • 1996년에 설립되어 2009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으며 공작기계 및 산업용로봇의 제조, 정보통신장비의 개발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이다.
  • 2011년 합병으로 인하여 통신사업 외에 기계사업(공작기계 제조 및 판매, 산업용로봇의 제조 및 판매업)을 추가로 시작하게 되었다.
  • 고품질의 Machine center(MCT)와 CNC 선반, LCD 관련 로봇 등을 개발ㆍ제조하여 국내 영업소(김해, 경인, 대전, 대구)와 대리점, 해외딜러를 통해 국내외로 판매중이다.
  • 동사의 기 개발 장비인 IPsec Gateway, Small Cell Gateway 등의 장비를 NFV화 하는 작업도 병행하여 진행하고 있으며 NFV 기술에 대한 노하우를 축적하여 향후 도래할 NFV 시장 준비 중이다.
  • 매출구성은 기계사업 91.5%, 통신사업 8.5% 등으로 구성된다.



3. 세중

  • 동사는 1995년 설립되었고, 2006년 4월 (주)세중여행과 합병계약을 체결하고 2011년 07월 현재의 상호인 (주)세중으로 사명을 변경. 여행알선 및 항공권 판매, 화물운송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 법인 고객사 임직원의 해외출장 시 항공, 호텔, 렌터카 등 개별적인 출장 일정 안내, 발권 등을 담당하며 35년간 운영해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여러 법인 고객사의 상용부문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주요 법인 거래처별 전담 담당자의 선정으로 여권 및 비자수속, 항공권 예약 및 발권 등을 One-stop Service로 제공하고 있으며, 기업체 임직원의 해외 학회, 연수 등 맞춤여행 노하우로 영업처 확충하고 있다.
  • 일본 SEIBU GROUP의 PRINCE호텔 체인과의 업무제휴, 북해도 후라노 지역의 관광서울사무소 운영, 스타크루즈와의 PSA계약 등 고품격 상품을 출시 등 전략적 제휴를 통한 관광자원 확보력 강화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항공권매출 59.74%, 육상운송 29.69%, 여행알선 9.26%, 기타 1.31% 등으로 구성된다.


4. 한국테크놀로지

  • 동사는 1997년 7월 22일에 전기 및 전자부품, 통신기기 및 방송장비 제조 및 도소매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됐다.
  • 동사는 과열증기 및 재열증기 기술을 이용하여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저준위방사성폐기물을 탄화시켜 부피를 현저하게 감량시킬 수 있는 탄화기술을 연구 및 개발 중에 있다.
  • 런던협약이 발효된 2012년 1월1일부터 해양환경관리법 시행규칙(제12조 제1항) 개정에 따라 하수슬러지의 해양 투기가 전면 금지되면서 14,692 톤/일 만큼의 하수슬러지 처리문제에 직면해 있다.
  • 높은 산성도에 따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저급오일을 기존 연소시스템에 직접 적용하기 위한 전처리 장치를 개발하였다.
  • 매출구성은 기타 49.44%, 라이선스 36.84%, 제품 11.5%, 상품 2.22% 등으로 구성된다.


5. 하이비젼시스템

  • 동사는 비젼기술을 응용한 각종 검사 및 공정장비의 개발/제조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설립되어, 2012년 (주)하이비젼시스템과 합병, 상호를 (주)하이비젼시스템으로 변경하였다.
  • 주로 휴대폰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공정 및 검사의 자동화 장비의 개발 및 제조를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독보적인 비젼인식 기술과 카메라 모듈에 대한 프로세싱과 자동보정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 주요 고객사는 휴대폰 카메라모듈 제조사이며 카메라모듈 부문의 국내 최대 업체인 LG이노텍, 삼성전자(구,삼성광통신) 등에 납품이 이루어지고 있다.
  • 카메라모듈 부문의 국내 최대 업체인 LG이노텍, 삼성광통신 등에 납품이 이루어지고 있고 Cowell, Primax, Sharp 등 해외 대규모 카메라 모듈 제조 업체에도 동사의 장비가 일부 공급된다.
  • 매출구성은 CCM자동화검사장비 73.45%, 영상평가장치 및 기타 23.44%, 3D 프린터 등 3.11% 등으로 구성된다.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icnweb.kr/2018/3d-%ED%94%84%EB%A6%B0%ED%8C%85-%EC%8B%9C%EC%9E%A5-%EB%B4%84%EB%82%A0%EC%9D%B4-%EC%98%A8%EB%8B%A4/

컨택센터 시장은 몇 년 전부터 옴니채널 지원과 클라우드 기반 컨택센터(CCaaS, Contact Center as a Service)가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이전에는 ‘콜센터’로 불리던 컨택센터는 전통적인 음성전화를 위주의 고객 상담에서 IP 기반 인프라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수용하고 고객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방향으로 계속 진화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컨택센터 산업과 관련된 국내 상장기업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케이티스

  • 2001년 6월 ㈜케이티의 114번호안내서비스 사업이 분사하여 설립되었으며, KT 고객센터, 114전화번호안내사업, 지역광고사업(우선번호안내서비스) 및 컨택센터사업, 유통사업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114전화번호 안내서비스는 이용고객이 상호를 모르고 특정 업종의 전화번호를 문의할 시, 우선번호안내서비스에 가입된 업체의 전화번호를 우선적으로 안내해줌으로써 업체에 대한 홍보효과를 높여주는 서비스다.
  • 통신유통사업은 kt의 유/무선 통신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소매 및 온라인 유통채널 운용, kt 대면 고객접점서비스 올레플라자 운영, 생활거점형 Olleh홈매장 운영 등을 한다.
  • 현재 외국인관광객 대상 내국세 환급 사업인 KT Tax Refund 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운영중이며 경쟁사로는 ㈜글로벌블루코리아, ㈜글로벌텍스프리, ㈜큐브리펀드, 한국정보통신㈜ 등이 있다.
  • 매출구성은 업무위탁용역 45.91%, 유통사업 27.52%, 컨택센터사업 16.99%, 우선번호안내 6.35%, 기타사업 3.22% 등으로 구성된다.


2. KTcs

  • 2001년 (주)케이티의 114번호안내서비스 사업이 분사하여 설립되었으며, 전화번호안내사업, 생활정보 제공/안내/중개사업, DB마케팅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사업부문은 크게 컨택센터사업부문과 114사업부문, 유통사업부문, 컨설팅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 컨택센터사업부문은 kt의 유선 및 무선고객센터와 공공기관, 의료기관, 지자체, 일반기업 등 일반 오픈마켓 컨택센터서비스를 영위하고 있으며 컨택센터는 고객과 기업을 연결하는 접점역할을 한다.
  • kt계열사에 편입됨에 따라 기업 이미지 위상 및 kt컨소시엄 형태의 영업활동으로 일반, 공공기관 컨택센터 수주 전망이 밝을 것으로 예상된다.
  • 매출구성은 B2B매출 50.62%, 고객서비스 21.33%, 유통사업 11.58%, 컨택센터사업 7.39%, 우선번호안내 3.09%, 기타사업 2.78%, 114번호안내 2.63%, B2C매출 0.58% 등으로 구성된다.


3. KT

  • 동사는 1981년 12월 10일에 전기통신사업법에 근거하여 정보통신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전기통신업 전문업체로 설립되었으며 유무선전화, 초고속인터넷 등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주요 사업으로 정보통신사업, 뉴미디어사업 및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사업, 정보통신기기 매매, 광고업, e-금융업, 교육사업, 경비업, 경영컨설팅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 2017년 12월 기준 기준 동사의 전기통신업 시장점유율은 가입자수 기준으로 시내전화 80.5%, 이동전화 31.2%, 초고속인터넷 41.3%를 확보하고 있다.
  • KT연구 개발 조직은 융합기술원 산하 Infra연구소,Service연구소,Convergence연구소,Zap group 및 AI Tech Center, Block Chain center,연구사업담당 등으로 구성된다.
  • 매출구성은 서비스의제공 84.11%, 재화의 판매 15.89% 등으로 구성된다.


4. 효성ITX

  • 1997년 설립되어 2007년 상장된 효성그룹 계열사로서 컨택센터 서비스 부문, IT 부문, 디스플레이 솔루션 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 동사의 자회사는 금융(보험)상품 판매 사업, 사회복지 및 사업지원 서비스, 금융지원 서비스 등의 사업을 영위중이다.
  • 컨택센터 시장은 과거 20~30%의 고성장으로 활황을 구가하였으나 현재는 연 5% 내외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유통 분야에서 온라인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지속 성장이 예상된다.
  • 미국 보안관리 전문업체 태니엄과의 제휴로 동사가 개발한 엔드포인트 보안 솔루션 태니엄의 국내 총판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태니엄은 포브스 선정 사이버 보안 스타트업 1위 등 기업가치가 치솟고 있는 유망한 기업이다.

  • 매출구성은 컨텍센터서비스 72.16%, IT서비스 17.71%, Display Solution 6.29%, 기타서비스 3.85% 등으로 구성된다.


5. 브리지텍

  • 콜센터와 광대역 통합망 기반의 인터넷전화 멀티미디어 부가서비스 장비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 공급하며 보유한 제품을 구축하여 약정기간 동안 사용하게 하는 임대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업체이다.
  • 콜센터 구축 및 유지보수 서비스, 센터 솔루션을 구축한 후 임대해주는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사업과 법인고객을 대상으로 전화통화관리 프로그램 임대사업 등을 제공하고 있다.
  • 음성, 영상의 통화 부가서비스와 IP Phone으로 증권정보, 날씨, 교통 등 실시간 정보와 전화번호 안내서비스 등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스마트폰에서 음성과 데이터가 동시에 이용되는 컨버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웹 솔루션을 제1금융권에 최초로 상용화됐다.
  • 매출구성은 콜센터 솔루션 72.06%, 유지보수 20.05%, IP기반 유무선멀티미디어서비스 4.13%, 클라우드 콜센터 3.75% 등으로 구성된다.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세상이 변하는 만큼 혼수도 변하고 있습니다. 혼수로 어떤 가전제품이 인기인지를 알아보면, 가전제품 시장의 트렌드를 알 수 있다고 하는데요. 최근에는 LG스타일러스와 같은 의류관리기나 세탁물 건조기, 공기청정기, 제습기 등이 인기라고 합니다. 냉장고나 TV보다 저렴한 가격대에 실속적인 제품들이라서 그런걸까요. 오늘은 이 중에서도 제습기와 관련된 국내 상장 기업들을 알아보려합니다.



1. 위닉스

  • 1986년 설립되었으며, 2000년에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제습기, 공기청정기, 정수기, 에어워셔 등을 제조하고 있는 기업이다.
  • 본사와 연결대상 종속회사로서 중국, 태국에 소재하는 해외법인에서는 제습기, 에어컨, 냉장고 등의 핵심부품인 열교환기를 제조, 판매하고, 미국과 유럽에 소재하는 해외법인은 본사의 생활가전 완제품을 현지에 판매하는 기업이다.
  • 제습기를 비롯하여 공기청정기, 에어워셔, 정수기 등 기존 제품들에 대하여, 매년 다양한 신모델과 차별화된 기능을 부가한 신제품을 출시 함으로써, 시장확대 및 매출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 2015년 제습기의 미국수출이 재개하였으며, 공기청정기는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중국시장을 비롯하여 미국, 유럽 등으로 수출이 진행 중이다.
  • 매출구성은 공조기군 70.6%, Evaporator 8.88%, 기타 6.74%, 정수기군 6.23%, 상품 3.08%, 에어컨부품 2.67%, 기타매출 1.8% 등으로 구성된다.

2. 신일산업

  • 동사는 1959년 설립되어 1975년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으며 선풍기, 난방제품 등의 소형가전 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 동사는 국내 선풍기 시장에서 현재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계절 상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연간 매출액의 81% 이상을 차지한다.
  • 소형가전제품이 내구재에서 소비재로 전환되고, 1인가구의 증가 등으로 매년 동일 규모(선풍기의 경우 약 380~400만 대) 이상의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 해외의 중저가제품이 밀려오면서 저급의 상품 판매 경쟁력을 떨어지나, 국내 생활수준의 상승에 따라 앞선 기술과 다양한 디자인의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
  • 매출구성은 선풍기 57.12%, 난방 22.18%, 기타 19.96%, 밥솥 0.74% 등으로 구성된다.


3. LG전자

  • 동사는 2002년 4월 1일을 기준일로 분할 전 LG전자(주)의 전자 및 정보통신사업부문을 인적 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LG계열의 회사이고, 2017년 12월 31일 현재 LG계열에는 68개의 국내 계열회사가 있다.
  • 사업부문은 TV 등을 생산하는 HE사업본부, 이동단말을 생산하는 MC사업본부, 생활가전제품을 생산하는 HA사업본부, 자동차부품을 제조하는 VC사업본부, LED사업 등을 영위하는 엘지이노텍, 기타 등으로 6개로 구성된다.
  • Home Appliance는 핵심 부품 기술에 기반한 대용량, 고효율 중심의 제품 차별화와 지역 적합형 제품 개발 역량을 확보하였고, 원가 경쟁력 부분에서도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동종업계에서도 높은 수익성을 유지중이다.
  • TV에서는 차별화된 시장 선도 제품을 지속적으로 기획ㆍ개발ㆍ출시하여 기존 3D TV 시장 선도에 이어, 고화질 울트라HD TV의 보급형 모델을 출시하여 대중화를 리딩, 세계 최초 올레드TV 출시 및 판매 확대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HA사업부 31.31%, HE사업부 30.42%, MC사업부 19%, 이노텍 12.45%, VC사업부 5.68%, 기타 및 연결조정 1.14% 등으로 구성된다.


4. 삼성전자

  • 1969년 설립 된 글로벌 기업으로, 주요사업은 CE부문(TV, 냉장고 등)과 IM부문(컴퓨터, HHP 등), DS부문(DRAM, 모바일AP, LCD, OLED 등), Harman(인포테인먼트 등)으로 구성된다.
  • 지역별로는 본사를 거점으로 한국 및 CE, IM부문 산하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산하 해외 5개 지역총괄의 생산, 판매법인 등 270개의 동종업종을 영위하는 종속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 IM부문은 프리미엄 브랜드 갤럭시를 필두로 소비자 친화적이며 혁신적인 제품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Samsung Pay와 같은 Mobile Payment, Cloud 등 미래 성장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 반도체 사업 부문에서 NAND의 경우, 경쟁사 대비 앞선 기술력을 확보한 Vertical NAND를 4세대 적층 제품을 본격 양산하고 있으며, 이를 고성능 SSD에 탑재하여 프리미엄 시장에 적극 진입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IM 44.42%, 반도체 30.92%, CE 18.79%, DP 14.35%, Harman 2.96%, 기타 -11.44% 등으로 구성된다.


5. 코웨이

  • 1989년 설립되어 2001년 상장된 기업으로 정수기, 공기청정기, 비데 등 환경가전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환경가전 전문기업이다.
  • 1998년 혁신적인 마케팅기법인 렌탈비즈니스 개념을 업계 최초로 도입하고 서비스 전문가인 코디(CODY)를 통해 사전서비스라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 2010년 9월부터 국내 화장품 사업에 진출하였으며 최근 기존 회원들에게 판매제품을 확대 할 수 있는 아웃소싱 부문(커피메이커 등)과 테팔, 필립스, 삼성전자 등의 브랜드 제품 제조사의 방문판매 대행사업을 시작했다.
  • 동사는 업계 최대의 생산시설과 R&D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우수한 제품개발 역량을 통해 소비자의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에 부합하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 생산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렌탈 79.51%, 일시불 17.67%, 기타 2.82% 등으로 구성된다.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에너지 저장 장치 (ESS) 시장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ESS는 발전소에서 과잉 생산된 전력을 비축해두었다가, 일시적으로 전력이 부족할 때 송전해주는 저장장치이며, 전기를 모아두는 배터리와 배터리를 관리해주는 관련 장치들이 핵심 기술인데요. 또한 기후나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아 출력 변동이 심한 신재생 에너지원의 전력 안정화에도 효과가 있어 성장이 기대됩니다. 오늘은 ESS와 관련된 국내 상장기업들을 알아보려합니다.




1. LS산전

  • 동사는 1974년 7월 24일 설립되어 전기, 전자, 계측, 정보 및 자동화기기의 제조, 판매 및 유지보수를 주요 목적사업으로 하고 있다.
  • 주요제품으로 전력 송배전 관련 기기 및 시스템 용도로 쓰이는 저압기기, 고압기기, 계량기 등이 있으며 관련 제품들의 단위당 가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 주요사업부문은 전력부문, 자동화부문, 금속부문으로 구성되며 전력부문의 경우 지난 3년간 매년 생산실적이 증가하였다.
  • 동사는 고압직류송전(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ystem)시스템 수요 증가에 따라 한국전력과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추진중에 있다.
  • 매출구성은 산전부문 77.12%, 메탈부문 13.77%, 기타부문 11.5%, 무석부문 4.87%, 연결 조정 -7.26% 등으로 구성된다.


2. 삼화전기

  • 동사는 1974년 12월에 설립되어 전해콘덴서, 콘덴서(칩형), Hi-Cap, Green-Cap, Power Inductor, 기타상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삼화콘덴서그룹은 삼화전기를 포함한 3개의 제조업 상장사와 9개의 비상장 제조업 회사, 7개의 비상장 무역업 회사로 구성되어 있다.
  • 국내 전해콘덴서시장은 동사와 삼영전자공업 등에서 생산을 하고 있으며 콘덴서 시장은 동남아시아와 중국의 저가 제품도 수입되어 글로벌 경쟁체제하에 있다.
  • 진행중인 연구로는 극한온도에서 성능이 우수한 고출력 VSS, 승강기 안전을 위한 회생전력저장시스템 등을 개발중이다.
  • 매출구성은 콘덴서류 65.11%, 콘덴서외 30.34%, SMD 2.74%, Green-Cap 1.12%, Trans, Coil 0.71%, MPC 0.2%, 내부거래 -0.22%로 구성된다.


3. 알에스오토메이션

  • 2009년 12월 설립된 동사는 로봇 모션 제어기, 드라이브 및 에너지제어장치의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제품은 MMC-E 로봇 모션제어기, 에너지저장시스템(ESS)용 전력변환장치(PCS) 등이 있다.
  • 동사는 로봇 모션 제어 및 에너지 제어 장치를 제품군으로 보유한 국내 유일의 기업이며 4차 산업혁명 및 이의 근간이 되는 IoT, 로봇, 스마트 팩토리 등의 핵심장치이다.
  • 로봇 모션 제어 사업 부문에서 22bit급 광학식 엔코더를 독자 개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총 35건의 국내외 특허를 출원하는 등 강한 IP-Portfolio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 케이블로 인한 이동 거리 제한을 해결하는 Moving Magnet 이동시스템은 국내에서 동사의 제품만 보유하고 있으며 동사의 연구소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우수기술연구센타(ATC)로 선정되는 등 높은 연구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드라이브 44.54%, 에너지제어장치 38.11%, 모션제어기 17.36% 등으로 구성된다.


4. 삼화콘덴서

  • 동사는 종합콘덴서(축전기) 제조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56년 8월 14일에 설립, 1976년 6월 상장, 연결회사는 3개가 존재한다.
  • 사업영역별로 보면 MLCC, DCC, EMI필터 및 BEAD, INDUCTOR, CHIP POWER INDUCTOR 를 생산ㆍ판매하는 회로부품사업과 FC를 생산ㆍ판매하는 기기용사업으로 구성된다.
  • 향후 추진하려는 사업은 하이브리드부품 개발-전기자동차용 세라믹 커패시터 모듈, 슈퍼콘덴서 - EDLC부품 개발, 내장형 캐패시터용 고신뢰성 복합체 개발 등 총 6가지가 있다.
  • 콘덴서는 총생산의 60% 이상을 수출하는 전형적 수출산업이며 연결회사의 매출액 중 수출비중은 15년 60.2%, 16년 61.8%, 17년에는 61.4% 를 차지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MLCC 43.69%, 기타 17.65%, FC 16.45%, DCC 10.23%, DC-LINK 6.93%, CI 5.04% 등으로 구성된다.


5. 피엔티

  • 동사는 2003년 12월 설립되었으며 Roll to Roll 기술을 바탕으로 IT용 소재, 2차 전지의 음극 및 분리막 소재, Copper 등의 코팅 및 슬리터 장비의 제작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 각종 디스플레이 소재용 필름 및 전자전기와 소형 및 ESS용 중대형 2차 전지의 분리막/음극/양극 소재, 그리고 회로소재 및 2차 전지용 극박 등 생산하는 장비 등을 개발 및 생산하고 있다.
  • 현재 동사의 주요 매출처들의 경우 과거에는 일본 및 독일의 롤투롤 장비를 사용하였으나, 장비의 국산화 필요성을 인지하여 기술력에서 외산 장비에 뒤쳐지지 않는 동사의 롤투롤 장비로 외산 장비를 대체하는 추세이다.
  • Copper 부문에서 동사의 장비는 국내 Copper 생산업체(LS엠트론, 일진머티리얼즈) 중 LS엠트론에 독점적으로 전량 공급되고 있으며 중국 대규모 동 매장지역 중심으로 신규 매출처를 발굴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제품매출 99.99%, 기타매출 0.01% 등으로 구성된다.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코네틱 인포그래픽스

(3) 한겨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