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온라인+모바일) 광고 시장은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8년 디지털 광고 시장 규모는 4.3조원(+8.2% YoY)이 예상되는대요. 성장의 원동력은 모바일입니다. 2018년 모바일 광고 시장은 2.3조원(+15.0% YoY)까지 확대가 기대됩니다. 디지털 광고 시장 내 모바일의 비중은 51%로 이미 온라인을 추월했습니다. 스마트폰의 보급, 통신 속도의 발전으로 향후에도 모바일 주도의 성장세는 지속될 전망인대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몇 종목 살펴보겠습니다.


 


1. 인크로스

  • 2007년 8월 설립된 동사는 광고주와 광고대행사를 대신하여 매체 전략을 수립하고 광고를 집행하는 디지털 광고 미디어렙 사업과 국내 최초 동영상 광고 네트워크 플랫폼인 다윈(Dawin)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다.
  • 다윈은 곰TV, 아프리카TV, 판도라TV, 엠군 등 국내 주요 동영상 매체들과의 제휴 월 순방문자수(UV) 2,300만 명을 확보하며 성공적으로 사업기반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 온라인 디스플레이 광고 부문에서 주력으로 판매하는 상품은 높은 트래픽으로 대형 광고주들이 선호하는 시간고정 광고 상품 NAVER 타임보드 이며 이외에도 DAUM 브랜드스테이션, NATE 브랜딩샷 등이 있다.
  • 모바일 디스플레이 광고 부문에서 국내 최초로 구글의 모바일 애드 네트워크인 애드몹을 집행하여 다양한 성공사례를 발굴하였으며, SK플래닛으로부터 Syrup AD를 양수했다.
  • 매출구성은 미디어렙 56.76%, 광고플랫폼 29.89%, 운영사업 13.31%, 기타사업 0.04% 등으로 구성된다.


2. 나스미디어

  • 동사는 2000년 3월 13일에 설립되었으며, 디스플레이광고를 중심으로 한 인터넷 및 모바일, IPTV, 옥외광고 매체판매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광고매체 판매 대행을 통한 렙수수료가 주 수익원으로, 인터넷 포털 및 기타 중소 인터넷 매체사, IPTV, 모바일 네트워크사, 옥외 매체사 등의 광고상품을 판매하고 광고 캠페인 집행 관리의 역할을 하고 있다.
  • 국내 광고시장의 특성에 맞게 자체적으로 개발한 `Nsmart`, `ReMix`, `oasis`, `wave`, `nthology` 등의 광고 솔루션을 구축하여 최적화된 뉴미디어 광고 전략 수립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업계 최초로 동영상 통합 효과솔루션인 `ReMix`를 출시하여 모바일을 중심으로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동영상 광고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경쟁력을 강화했다.
  • 매출구성은 온라인디스플레이 68.28%, 디지털사이니지 21.73%, 디지털방송 9.88%, 금융리스 0.11%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29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게임/컨텐츠) 하반기 신작 게임과 중국 컨텐츠 시장 개방

2018/05/25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하반기 턴어라운드를 기대하는 OLED 디스플레이 주식 정리

2018/05/17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SNS 관련 주식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신한금융투자 "디지털 광고 성장에 주목"



철강업종에 하반기 투자에 대한 긍정적 의견이 보이고 있습니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은데요. 1) 하반기에도 중국 및 선진국의 철강수요는 견조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연초 우려와 달리 중국의 부동산과 인프라투자 지표는 양호하며 하반기에 시작될 슝안신구 개발도 긍정적입니다. 2) 하반기 철광석과 철스크랩 가격상승으로 철강가격 인상이 예상되어 철강업종에 대한 투자심리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3) 중국 구조조정의 결과, 중국은 역사적으로 높은 스프레드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이기에 철강업종에 대한 가치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는 전망입니다.


 



1. 현대제철

  • 동사는 1953년 대한중공업사로 설립되어 현대자동차그룹에 속한 회사로서 전기로 제강을 통하여 철근, H형강 등 각종 봉형강류와 고로제강을 통한 열연코일 및 후판 등의 판재류를 생산하고 있다.
  • 동사의 사업부 구성은 지배회사인 현대제철이 봉형강, 판재, 중기계 등을 생산하며, 종속회사인 청도현대기계유한공사는 중국에서 건설기계를 생산하고 있다.
  • 2010년 4월 1기 고로의 상업생산을 시작으로 고로 및 전기로 제품을 모두 생산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갖추었으며, 매출액 및 순이익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매진하고 있다.
  • 2015년 7월 부로 현대하이스코의 잔존 사업부문과 합병하면서 해외SSC와 강관 및 자동차부품 사업 또한 영위하게 되어 해외시장에서의 전략적 대응 능력을 확보하였고 글로벌 종합 철강회사로의 도약을 위한 성장 동력확보를 했다.
  • 매출구성은 판재 71.97%, 봉형강 31.01%, 반제품, 부산물 외 7.48%, 중기계 외 1.71%, 강관 1.6%, 중기계 0.35%, 연결조정 -14.11% 등으로 구성된다.


2. 동국제강

  • 동사는 1954년 설립되어 1988년 상장되었고 동사를 포함한 20개의 계열회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철강 제조/판매, 운송/하역/창고, 중계무역, 기타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철강 부문의 주요 제품은 건충, 구조용 봉형강, 가전, 건자재용 컬러강판, 가전, 자동차용 도금강판 등이 있으며 운송 부문은 항만하역, 육상운송, 무역 부문은 냉연 등이 주요제품이다.
  • 철강산업은 건설, 조선, 자동차, 가전, 방위산업 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유럽 경제위기, 중국발 공급과잉, 조선경기 하락 등 세계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 속에서도 세계 조강 생산량은 꾸준한 증가를 보인다.
  • 철강 부문의 주요 수요업체는 조선사, 건설사, 가전사, 기계 제조사 등이며 이들 산업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히 봉/형강사업은 건설산업으로 국내 건설경기 및 정부의 부동산 정책 등에 영향을 받았다.
  • 매출구성은 철강 97.48%, 운송 8.61%, 무역 7.72%, 내부거래 -13.81%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13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페인트 관련 주식정리, 친환경 소재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

2018/04/07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한러기업협의회 본격 가동 시작, 다시 보는 러시아 가스관 관련 주식정리

2018/04/09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우리나라 상장에 성공한 중국 기업 1탄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IBK투자증권 "하반기 철강산업 전망: 주가 상승요인 충분"



2018년 선박 발주 전망은 770척으로 2017년 발주량 712척과 비교해 8.1% 늘어날 전망입니다. 770척의 발주 전망은 탱커 265척, 벌크선 300척, 컨테이너선 95척, LNG선 40척, LPG선 60척, 자동차 운반선 10척인데요. 특히 물동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LNG선 분야와 노후선 비중이 높으면서 글로벌 수주잔량이 선박량과 비교해 역사적 최저 수준인 VL탱커, MR탱커와 LPG선, 케이프사이즈급 벌크선, 중형 컨테이너선, 자동차 운반선이 2018년 선박 발주의 중심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탱커를 중심으로 중고선의 해체량은 1970년 이후 최대치에근접하는 수준으로 늘어나고 있다. 중고선박의 해체량 증가는 신조선 발주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또한 2020 SOx규제와 저유황 사용에 따른 선박엔진 손상을 고려하면 LNG추진선에 대한 투자 속도는 한층 더 빨라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몇가지 종목 살펴보려합니다.




1. 삼성중공업

  • 동사는 1974년 8월 설립되어 선박, 해양플랫폼 등을 판매하는 조선해양부문과 건축 및 토목공사를 주로 담당하는 E&I부문으로 나뉘어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조선부문은 세계경제 및 해운 경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E&I 부문은 건설업체 급증으로 업체당 평균수주액이 격감하고 있고, 공공부문의 턴키시장에 중견업체 참여가 많아져 업체간 수주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 현재 고부가가치 선박 및 해양 설비에 특화된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고품질의 제품,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수익형 사업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 세계 조선업계 최초로 획득한 ISO14001 인증규격의 지속적인 유지발전을 통해 사업장의 환경관리는 물론 인근지역의 환경정화 활동,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신기술개발 등에 집중하는 중이다.
  • 매출구성은 조선해양 112.04%, E and I 0.8%, 연결조정 -12.84% 등으로 구성된다.


2. 대우조선해양

  • 동사는 종합 조선·해양 전문회사로서 LNG선, 유조선, 컨테이너선, LPG선, 자동차운반선 등 각종 선박과 FPSO, RIG선, 고정식 플랫폼 등 해양제품과 잠수함, 구축함, 잠수함 구난함, 경비함 등 특수선을 건조한다.
  • 사업부문은 선박, 해양사업, 건설사업, 기타사업(에너지, 식품사업, 풍력사업, 서비스사업, 해상화물운송사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선박, 해양산업은 초기 막대한 시설자금의 투입이 수반되는 기간산업으로 자본집약적이며 선박 및 해양 제품의 건조는 전 공정에 걸쳐 인간의 섬세한 감각과 기술을 필요로 하여 노동집약적 특성도 지니고 있다.
  • 국내 함정산업은 무기체계의 특수성과 한정된 시장수요에 비해 참여기준이 완화되어 공급자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연구개발 투자, 국산화 노력 등이 사업 수주를 위한 중대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선박 66.1%, 해양특수선 35.22%, 건설 1.78%, 기타 1.55%, 연결조정 -4.65% 등으로 구성된다.


3. 현대미포조선

  • 동사는 1975년 창사 이래 다양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중형선박 건조부문에서 세계수준의 업체로 거듭났으며 1996년 베트남에 합작 설립한 현대-비나신 조선소를 통해 조선부문을 확장했다.
  • 동사의 사업부문은 선박건조의 조선부문과 금융서비스의 금융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지주회사 행위제한 규정 준수하기 위해 2017년 11월 종속기업인 하이투자증권㈜ 지분 전량을 매각했다.
  • 17년 말 한국 조선해양플랜트협회의 자료 기준으로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뒤를 이어 5.2%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여 5위에 위치하고 있다.
  • 동사는 지식경제부가 인증하는 세계일류상품을 총 8개(중형 석유제품 운반선, 중형 컨테이너 운반선 등)와 LPG TANK CHOCK SUPPORT HOLE NC MARKING 자동화 프로그램 등을 보유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조선 100% 이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25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하반기 턴어라운드를 기대하는 OLED 디스플레이 주식 정리

2018/05/10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주식정리

2018/03/28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풍력 발전 에너지 관련 주식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하나금융투자 "2018년 선박 발주량 770척 전망"



당국의 정책적 효과가 시장에 반영되기 시작하면 정책 관련 수혜 기업이 주목을 받으면서 실제 성장하는 기업을 찾기는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신한금융투자에서는 정책 기대감에 가려져 있지만 실제로 성장하고 있는 기획 리포트를 작성해주었는데요. 신한금융투자는 올해 KOSDAQ EPS 증가율을 20.1%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IT와 소재 그리고 산업재 순으로 이익 증가가 전망되며, 사회 기조 변화로 내수 및 서비스 부문 성장과 한-중 관계 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죠. 이에 따라 하반기 성장 수혜 기업으로 선정하기 위한 3가지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중국 소비 수혜 기업에 대한 관심입니다. 대(對) 중국 관계 개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중국인의 소득 증가에 따라 소비 패턴이 변화하고 있고, 이에 따른 수혜 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인데요.




둘째는 내수 및 서비스 부문 성장 기대에 따른 수혜 종목입니다. 1) 일과 생활의 균형(워라밸)이 강조되는 사회 기조 변화, 2) 소득 주도 경제 성장 정책 효과, 3) 원화 강세 등이 내수 및 서비스 부문의 성장을 지지하는 내용들입니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 변화에서 수혜 가능한 기업에 주목하자는 의견입니다.


셋째는 Big Cycle이 지속되는 반도체 소재 기업에 주목하자는 것입니다. 반도체 수요는 과거와 달리 산업구조의 변화가 성장을 견인하는데요. 구조적 변화 요인으로 1) 서버 수요 증가, 2) 스마트폰 메모리 탑재 용량 증가, 3) HBM, CIS용 DRAM 및 가상화폐 등 신규 수요가 상당하할 전망입니다. DRAMexchange에 따르면 올해 DRAM B/G 22.2%, NAND B/G 40.1%가 예상됩니다. 수요 증가가 이끄는 성장에 반도체 소재 기업의 수혜가 기대됩니다.


이와 관련된 종목들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1. 글로벌텍스프리

  • 2005년 12월 설립된 동사는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내국세 환급대행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외국인의 국내 소비에 대한 부가세를 환급해주면서 일정 부분을 환급대행사인 동사가 수수료로 수취하면서 매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공항, 항만 등에 설치된 환급창구, 무인자동환급기기 등을 통해 환급대행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중국인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중국 최대 핀테크인 알리페이와의 업무제휴를 통해 알리페이 계좌로 택스리펀드 환급금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 유니온페이와의 제휴를 통해 세계 최초로 유니온페이 온라인 실시간 환급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7년 1월 UnionPay International(UPI) 전세계 최우수 택스리펀드 협력사에 선정된 바 있다.
  • 매출구성은 부과세환급 100% 이다.


2. 현대리바트

  • 동사는 1999년 6월 2일 설립되었으며 가정용, 사무용, 아파트용 가구 등을 제조, 판매하는 종합가구회사로 2012년 2월 현대백화점 그룹에 편입됐다.
  • 품질경영을 최우선으로 실천하여 ISO 9001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다양한 소비자의 Needs 충족과 토탈인테리어 가구라는 개념에 부합하고자 2000년 디자인 연구소와 2006년 환경기술연구소 설립했다.
  • 2014년에는 자체 쇼핑몰을 리뉴얼오픈하고 모바일 구매환경을 구현하는 등 온라인 시장에서의 성장에 힘쓰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 주요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 2017년 3분기말 서울, 수원을 비롯한 수도권에 10개, 대전 및 광주, 울산에 각 1개를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핵심상권 별로 확대시켜 나갈 예정이다.
  • 매출구성은 빌트인 38.22%, 가정용 27.5%, 기 타 19.6%, 사무용 9.47%, B2B 5.2% 등으로 구성된다.


3. 원익QnC

  • 동사는 쿼츠, 세라믹, 램프, 세정의 4개 부문으로 제조 생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쿼츠부문은 해외 3개(미국, 대만, 독일)의 종속기업을 보유하고 있다.
  • 반도체용 석영유리(QUARTZ WARE)는 반도체 제조공정 중 산화, 식각, 이온주입, 화학증착공정에서 Wafer를 불순물로 부터 보호하거나 이송하는 용기로 사용되며 시장규모는 반도체 산업의 발전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 세정사업부문은 2011년 하반기 세정 SAMPLE LINE 구축 후 삼성전자로부터 품질 승인을 완료하였다.
  • 2017년은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른 제조사들의 DRAM 공장가동률 상승 및 대규모 공장투자 및 가동으로 인하여 쿼츠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전년대비 매출액은 31.8% 증가했다.
  • 매출구성은 반도체용 석영유리 79.84%, LCD 등 세라믹제품 13.69%, 반도체소재 부품 등 세정 10.86%, 기타 0.82%, 내부거래 -5.21%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4/20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인천공항의 새로운 면세사업자는 누구, 면세점 관련 주식정리

2018/02/27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카지노 관련 주식 총정리

2018/05/20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시스템반도체 관련 주식정리,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을 위한 반도체의 세대교체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신한금융투자 "하반기 중소형주 랠리는 계속된다"



2018년 통신산업은 이익 정체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마케팅비용/감가상각비 감소에도 이동전화 ARPU 감소가 예상되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2019년 이후 통신산업 실적 전망은 낙관적입니다. 이동전화 서비스 매출액이 다시 증가할 전망이기 때문입니다. 예상 인당 트래픽을 감안할 때 5G 주력 요금제는 LTE보다 최소 20%이상 높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주파수관련상각비용/유형자산상각비용/마케팅비용 증가를 감안해도 5G 통신산업 실적 전망은 밝다는 것인데요. 2021년 통신산업 영업이익은 2018년대비 70%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종목들 살펴보겠습니다.



1. LGU+

  • 동사의 사업 부문은 한국표준산업분류에 의거하여 전기통신업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이동 통신 사업, 전화(국내, 국제, 부가전화 등), TPS(초고속인터넷, VoIP, IPTV 서비스)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2017년 동사의 총 누적 가입자 중 LTE 누적 가입자 비중이 약 92%을 차지 하여 대부분의 가입자가 LTE가입자로 전환, 이를 통해 동사 LTE가입자들의 무선데이터 사용량 역시 증가할 전망이다.
  • 주요종속회사인 미디어로그는 미디어 콘텐츠 사업, ICT 서비스 및 LG유플러스의 이동통신망을 임대하여 합리적인 요금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MVNO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기타 회선을 포함한 국내 총회선기준 가입자 수는 63,658,688명이며 17년 기준 동사의 시장점유율 추이는 전체의 20.7%이다.
  • 매출구성은 통신 및 관련 서비스 76.6%, 단말기 판매 23.4% 등으로 구성된다.


2. KT

  • 동사는 1981년 12월 10일에 전기통신사업법에 근거하여 정보통신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전기통신업 전문업체로 설립되었으며 유무선전화, 초고속인터넷 등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주요 사업으로 정보통신사업, 뉴미디어사업 및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사업, 정보통신기기 매매, 광고업, e-금융업, 교육사업, 경비업, 경영컨설팅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 2017년 12월 기준 기준 동사의 전기통신업 시장점유율은 가입자수 기준으로 시내전화 80.5%, 이동전화 31.2%, 초고속인터넷 41.3%를 확보하고 있다.
  • KT연구 개발 조직은 융합기술원 산하 Infra연구소,Service연구소,Convergence연구소,Zap group 및 AI Tech Center, Block Chain center,연구사업담당 등으로 구성된다.
  • 매출구성은 서비스의제공 84.11%, 재화의 판매 15.89% 등으로 구성된다.

3. SK텔레콤

  • 동사의 사업 부문은 이동전화, 무선데이터, 정보통신사업 등의 무선통신사업과 전화, 초고속인터넷, 데이터 및 통신망 임대서비스 등을 포함한 유선통신사업, 플랫폼 서비스, 인터넷포털 서비스 등의 기타사업으로 구별된다.
  • 14년 상반기에는 광대역 LTE-A 서비스가 상용화되었으며, 17년 6월부터는 5band CA 상용화를 통해 700Mb~900Mbps급 4.5G 서비스를 제공,17년 말 기준 동사의 LTE 가입자 비중은 75.7%이다.
  • 17년 동사의 가입자 평균 해지율은 1.4%대이며 현재 기준 가입자는 전년 대비 60만 명 증가한 3,020만 명(MVNO 가입자 포함), 스마트폰 가입자 수는 전년말 대비 111만 명 증가한 2,299만 명을 기록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료 기준으로 17년 말 시장점유율은 초고속인터넷(SKT재판매 포함) 부문에서 25.6%, 시내전화(인터넷전화 포함) 부문에서 16.9%, IPTV부문에서 30.6%를 점유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무선통신사업 75.7%, 유선통신사업 15.55%, 기타 8.75%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29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게임/컨텐츠) 하반기 신작 게임과 중국 컨텐츠 시장 개방

2018/05/17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SNS 관련 주식정리

2018/05/17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테마주 다시보기) MVNO(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제4이동통신사 관련 주식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하나금융투자 리포트 "규제 리스크 소멸, 이제 5G 기대감으로 통신주 상승할 것"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