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항암제

항암제는 의약품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입니다. 특히, 면역항암제가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오는 5월 초에 "바이오코리아 세션"에서 관련 기술들의 최신 동향과 시장 흐름을 소개하는 자리가 마련된다고 합니다. 면역항암제는 암 자체를 공격하는 기존 항암제와는 달리 인공면역 단백질을 체내에 주입하여 면역체계를 자극함으로써 면역세포가 선택적으로 암세포만을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치료약제입니다.

 

이번 세션에서 국내 프레젠터로써 앱클론의 김규태 이사와 에이비엘바이오의 이상훈 대표가 면역항암제 기술 연구 개발 현황 발표를 준비하고 있으며, 유틸렉스 사업개발이사인 아구스틴 델라카야(Agustin de la Calle)가 해외로 진출하고 있는 T-cell 기반 기술을 소개할 예정인데요. 바이오코리아 세션을 계기로 면역항암제 이슈가 나온 김에 관련 기업들을 정리해보려합니다.




1. 유한양행

- 1926년 설립되었으며 주요사업으로 약품사업부문, 생활건강사업부문, 해외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 약품사업부문의 주요 품목으로는 B형간염치료제 비리어드 외에도 트라젠타, 트윈스타, 아토르바, 프리베나, 종합비타민제 삐콤씨 액티브 등이 있다.

- 생활건강사업부문의 주요 품목으로는 유한 락스와 칫솔, 치약, 살충제 해피홈, 표백제 유한젠 등이 있음. 해외사업부문은 유한화학에서 생산된 원료의약품을 국내외에 공급하고 있다.

- 연구개발부문에서 전년 매출액대비 6.7%로 727억원을 연구개발비로 집중 투자하였으며 현재 국내 192건, 해외 431건으로 총 623건에 달하는 특허를 보유 중에 있다.

- 매출구성은 약품사업본부 73.05%, 해외사업부 18.18%, 생활건강사업부 7.94%, 기타 0.82% 등으로 구성된다.


2. 신라젠

- 2006년 3월 설립된 동사는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감염/사멸시키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유전자재조합 항암 바이러스에 기반한 면역항암치료제의 연구 및 개발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독자 개발 또는 독점적 라이센스를 부여받아 개발중인 항암바이러스는 펙사벡(JX-594), JX-900 시리즈 등이 있으며, 간암, 신장암, 대장암 등 다양한 암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 및 전임상연구를 진행중이다.

- 2015년 4월 미국 FDA로부터 동사의 선도물질인 펙사벡에 대하여 전세계 약 20여개국 600여명의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글로벌 임상 3상시험의 허가를 받았으며 글로벌 임상 3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 추가 파이프라인으로서 펙사벡과 면역관문억제제의 병용치료법 개발 및 적응증 확대, 차세대 항암 바이러스의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공동연구개발수익 53.95%, 마일스톤수익 32.21%, 기타수익 12.28%, 라이선스수익 1.56% 등으로 구성된다.



3. 큐리언트

- 동사는 의약품 연구개발을 주사업으로 2008년 7월 설립되어 2016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다.

- 경기도 성남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의약품 연구개발은 약제내성 결핵치료제 등의 개발단계 프로그램과 5LO 저해 천식 치료제 등의 연구단계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 주요 포트폴리오로 약제내성 결핵 치료제 Q203,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 Q301, 항암면역/내성암 치료제 Q701이 있으며, 연구단계 프로그램인 5LO 저해 천식 치료제, CDK7 저해 항암제를 보유하고 있다.

- PEAT 및 WMC, 연구개발 관리 시스템인 FLEx DDS(개발 효율화 기술)를 활용하여 2개의 임상 프로그램과 1개의 비임상 프로그램을 수행중이다.

-Q203의 미국 FDA와의 협의를 통해 디자인된 임상 1B상 투여를 성공적으로 완료, 미국 FDA 임상 2A상 진입 허가를 동시에 득하여 임상 2A상 진입을 결정했다.


4. 제넥신

- 동사는 1999년 설립된 신약 연구개발 기업으로, 항체융합단백질 제조 및 유전자 치료백신 제조 원천기술을 국내 제약사에 이전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치료백신은 고효능 발현벡터를 이용하여 체내에서 특정 항원 유전자와 면역증강 유전자를 발현시켜 암과 같은 만성 질환을 치료하는 새로운 기술로 현재 자궁경부전암 등 난치성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중이다.

- hybrid Fc 원천기술은 호르몬, 펩타이드, 사이토카인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지속형 제품개발에 적용이 가능한 기반기술로, 다양한 단백질치료제에 폭넓게 적용되어 연구개발 및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 2017년 12월 31일 기준 성장호르몬 결핍증 치료제인 GX-H9 (hGH-hyFc)의 한국, 유럽 임상 2상 완료와 빈혈치료제인 GX-E2 (EPO-hyFc)의 한국 임상 2상 완료 등의 실적이 있다.

- 매출구성은 기술이전 50.14%, 연구용역 46.86%, 기타상품매출 2.56%, 기술재산권 0.45% 등으로 구성된다.



5. 이수앱지스

- 2001년에 설립되어 2009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으며 바이오의약품을 연구, 개발하여 제조 및 판매하며 동사 포함 27개의 계열회사가 소속된 이수 기업집단에 소속된다.

- 혈전형성을 억제하는 항체치료제인 클로티냅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유전성 희귀질환인 고셔병과 파브리병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효소치료제로서 애브서틴과 파바갈을 판매 하고 있다.

- 바이오제약 생산공정 기술의 주요 3단계 기반기술을 자체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항체치료제 의약품 개발을 위한 필수 기술인 단클론 항체치료제 특성분석관련 뛰어난 기술 보유중이다.

- 바이오의약품 개발 사업 외에 새로운 분야의 사업으로 세계의 희귀의약품을 국내도입과 판매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페부레인은 동사가 2015년 국내 식약처의 허가를 취득하여 2016년부터 매출이 발생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애브서틴 53%, 클로티냅 23.07%, 파바갈 20.45%, 페부레인 3.36%, 기타 0.11%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01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타겟 암세포를 노리는 표적 치료, 표적항암제 관련 주식 모음

2018/04/15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한미약품 올리타 개발 중단을 계기로 살펴보는 신약 바이오 관련 주식 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s://www.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19203&MainKind=B&NewsKind=5&vCount=12&vKind=1



1. 아시아종묘

- 2004년 06월 설립된 동사는 국내외 작물 재배자 들을 대상으로 종자를 개발,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2018년 2월 코넥스시장에서 코스닥시장으로 이전상장하였다.

- 현재 약 1,020종의 채소종자와 기타종자 270종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중 품종보호등록수는 14개 채소작물, 90품종이다.

- 유전적으로 다른 종자끼리 교배해 우수한 형질을 나타내는 교배종을 개발해 상용화하는 기술인 `채소 F1(1대 잡종)종자` 개발기술로 나이스평가와 이크레더블에서 모두 기술평가 AA를 받았다.

- `스위트베이비 자색 소형무`, `적자색 웰빙채소 레드킹덤`, `컬러수박 골드인골드` 등은 미국종자협회(AAS)의 우수품종상을 수상했다.

- 매출구성은 종자 98.71%, 상품 1.29% 등으로 구성된다.


2. 알리코제약

- 1992년 12월 설립된 동사는 제네릭 의약품(전문의약품, 일반의약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완제의약품업체로서 제네릭의약품 국내판매, CMO사업, 동남아 및 중남미로의 제네릭 해외수출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제네릭 의약품 국내 판매 부문은 특허가 만료된 의약품을 동일한 성분 및 함량, 제형, 효능으로 제조 또는 위탁생산하여 CSO를 통해 전국 종합병원 및 의원, 도매업체에 판매하고 있다.

- 신규 사업으로 천연물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 및 판매를 위한 사업로드맵을 구축하고 있으며 항우울증 약효군의 세인트존스워트정, 간장질환 약효군의 리버두스캡슐 등이 있다.

- 기존 의약품의 제형 개선을 통한 개량 신약 개발과 천연물을 이용한 기존 의약품의 부작용을 줄인 신약 개발을 진행중이며 건강기능식품은 간기능 개선과 눈 건강에 관련된 제품을 KIST 강릉분원과 공동 연구 진행중이다.

- 매출구성은 기타 처방약 58.49%, 소화기용제 11.99%, 순환계약 11.68%, 소염진통제 10.22%, 고혈압용제 7.58%, 상품기타 0.04% 등으로 구성된다.


3. 동구바이오제약

- 1983년 6월 설립된 동사는 전문의약품 생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피부과와 비뇨기과 치료제 부문의 오랜 강점을 기반으로 다년간 피부과 시장 처방 1위를 지속하고 있다.

- 2015년 세계 최초 줄기세포 추출키트 SmartX를 출시하고 2016년 줄기세포 배양액 추출 성분 화장품 Cell Bloom를 런칭하는 등 Total Healthcare Leader를 지향하는 회사로 거듭나고 있다.

- 피부외용제에 적용하고 있는 MLE기술은 피부 장벽 복원 및 약물 방출속도를 제어하는 Drug Delivery System으로서 약물의 효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대표제품으로는 더모타손MLE 크림/로션이 있다.

- 희귀질환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들이 치료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수입품 및 경쟁품과 비교하여 동등 내지 우수한 효과를 갖는 고프로락틴혈증의 치료제인 카버락틴 정을 직접 제제 연구하여 생산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CMO 31.8%, 의약 기타 21.72%, 외피용약 9.01%, 비뇨생식기관 및 항문용약 8.14%, 알레르기용약 7.84%, 항생물질제제 7.24% 등으로 구성된다.


4. 엔지켐생명과학

- 1999년 7월 설립된 동사는 원료의약품 의약화학(Medicinal Chemistry)을 기반으로 합성신약을 연구, 개발하고 기술이전 등을 통해 사업화를 수행 중이며 2018년 2월 코넥스에서 코스닥시장으로 이전상장했다.

- 원료의약품 부문에서 세파계 항생제, 일반 원료의약품, MRI/CT 조영제를 개발, 생산, 판매 중이며 주력제품인 Cefbuperazone등 세파항생제를 비롯한 항염치료제, 진해거담제, 항응고제제 등이 매출을 주도하고 있다.

- 2017년부터 전략적으로 판매를 시작한 MRI&CT 조영제 품목 중 Gadoterate, Gadobutrol과 Gadoteridol 등은 1st Generic 제품으로 오리지널 제품을 제외하고는 경쟁사가 없는 상태이다.

- 동사의 세파 항생제 합성기술은 저온반응에서 건조까지 모든 공정을 직접 진행하고 있으며 오리지널보다 5~10% 이상의 고수율 제품으로, 세포페라존 등 3개품목은 2016년 일본 품질인증 통과 후 수출을 시작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원료의약품 제품 91.86%, 원료의약품 상품 6.77%, 임가공비 외 1.38% 등으로 구성된다.


5. 오스테오닉

- 2012년 3월 설립된 동사는 골접합용 판 및 나사를 개발 및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2018년 2월 코넥스시장에서 코스닥시장으로 이전상장하였다.

- 티타늄 금속소재(Metal) 두 개, 구강악안면(CranioMaxilloFacial) 제품군에 대한 미국 FDA 승인과 유럽 CE마크 등의 품질인증을 획득하였으며 중남미, 유럽, 아시아, 중동 등에 제품을 판매 중이다.

- 글로벌 의료기기업체인 비브라운 코리아와 신경외과용 두개골 고정장치인 `Optimus Neuro Plating System`에 대한 오픈 이노베이션 협약식을 진행하여 글로벌시장 확장진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 세라믹 합성 기술, 마이크로 구조화 기술, 유무기 혼성화 기술, 분해특성 제어기술 등을 활용하여 소재의 제조, 합성, 제품화에 이르는 수직화된 공정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금속 Trauma, Extremities 40.08%, 금속 CMF 38.18%, 생분해성 Sports Medicine 10.28%, 생분해성 CMF 5.01%, 생분해성 기타 4.31%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02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2018년 신규상장 주식 리스트 (1)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핀리입니다. 이전에는 가상화폐의 원천기술인 '블록체인'과 관련된 기업들을 정리했었는데요. 오늘은 가상화폐와 관련된 기업들을 정리해보려합니다. 가상화폐는 지난 해 최고점을 찍고 이후 쭉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달 초 투자의 전설 조지 소로스가 가상화폐에 투자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는데요. 워낙 고점에서 매수하신 분들이 많아서 어떻게 될지 상상이 잘 안됩니다. 하지만 언제나 위기 속에 기회가, 호재 속에 악재가 존재하는 것일테니 지속적으로 관찰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1. 매커스

- 동사는 비 메모리 반도체인 PLD 반도체와 Analog IC 등을 기술영업, 기술 지원하는 비 메모리 반도체 솔루션 업체이다.

- 해외의 유수한 반도체 업체인 자일링스(Xilinx), 인 더실(Intersil), 히타이트(Hittite) 등을 파트너로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약 400여 전자 제품 업체에 납품하고 있다.

- 종속회사로 구조조정 대상 기업에 대한 투자 및 인수업을 영위하는 (주)매커스인베스트먼트와 스토리지 및 서버 유통업을 영위하는 (주)매커스시스템즈가 있다.

- 매출구성은 비메모리 반도체 등 98.36%, 스토리지 등 1.04%, 영업수익 0.6% 등으로 구성된다.


2. 제이씨현시스템

- 동사는 컴퓨터 관련 제품 및 카 인포테인먼트 제품을 공급하는 사업부문과 기업용 정보 보안 솔루션, 통합배선 솔루션을 판매하는 부문을 주요 사업영역으로 영위하고 있다.

- 전체 메인보드 유통시장의 22~23%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래픽카드는 3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 CI 사업본부는 제이씨현 기술 연구소를 설립하여 카 인포테인먼트 기기를 연구, 개발하고 있고 자체 기술로 개발한 카 인포테인먼트 제품을 자사 브랜드인 RunZ로 현재 국내외 시장에 공급하였다.

- 매출구성은 기타 35.11%, 그래픽카드 34.78%, 메인보드 12.6%, 리스사업 8.99%, 모니터 8.53% 등으로 구성된다.


3. SGA

- 1997년 11월에 설립되었으며 주요 사업으로는 Virus백신, 패치관리시스템(PMS)의 PC보안, 방화벽을 비롯한 네트워크 보안 등 주요 정보보안솔루션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

- 또한 정부부처를 비롯한 공공기관 및 금융기관, 기업 등의 보안 시스템 통합(SI)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MS의 윈도우 임베디드 OS 국내 공급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동사는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자 2016년 6월 바이러스체이서와의 합병을 통해 본격적으로 엔드포인트보안 사업영역에 진출하였다.

- 종속회사인 에스지에이솔루션즈(주)는 보안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서버보안, 전자서명(PKI)을 기반으로 한 응용 보안 및 전자문서 솔루션 사업, 엔드포인트 보안의 정보보안 사업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OS등 52.68%, 서비스 37.3%, 보안솔루션 10.02% 등으로 구성된다.


4. 한일네트웍스

- 동사는 서비스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ing)와 IT 장비유통 부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서비스 ASP는 전산아웃소싱서비스와 컨택센터 등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 또는 관련 장비 및 시설물의 임대서비스를 제공하며, IT 장비유통 부문 서비스는 네트워크 장비 및 솔루션의 컨설팅, 판매, 유통을 제공하고 있다.

-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ing)는 자체 인프라구축이 어려운 기업에게 이미 구축되어 있는 사업자의 자원(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등)을 임대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서비스이다.

- IT장비유통 사업은 IT서비스 운용 시 필요한 각종 HW 및 SW를 판매하는 사업으로, 클라우드 환경의 구현과 데이터센터 가상화 수요가 확대되면서,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관리 솔루션 등을 제공한다.

- 매출구성은 IT 장비유통 40.55%, 기타부문 34.3%, 서비스 ASP 25.16% 등으로 구성된다.


5. 이루온

- 동사는 이동통신 솔루션 및 부가서비스 전문기업으로 1998년 창업된 이래 통신산업에서 핵심 솔루션 및 관련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 주요 사업분야는 유무선 통신솔루션 사업, 유무선 통신서비스 사업, 해외사업 등으로 나누어진다.

- 특히 모바일 컨버전스의 대표적인 서비스로 평가 받는 모바일 무선인터넷의 필수 장비인 PDSN, PDG, ISG를 비롯, 관련 주요 시스템을 공급 중이다.

- 대리운전, 콜택시, 물류택배 등의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사업을 계획하고 있으며, 특히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등 스마트폰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사업전개 중이다.

- 매출구성은 통신 솔루션 57.57%, 기타 시스템 42.43%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