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 영향으로 2018년 강관 쿼터는 4월말 기준 65% 소진되었습니다. 이를 국내 기업의 수출 시점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5월에는 이미 쿼터가 대부분 소진되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 와중에 북미 정상회담, 그리고 러시아와의 정상회담 등 북한 비핵화 가능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러시아 가스관 프로젝트를 통해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는 몇 종목에 대해 적어보려합니다.
1. 현대제철
- 동사는 1953년 대한중공업사로 설립되어 현대자동차그룹에 속한 회사로서 전기로 제강을 통하여 철근, H형강 등 각종 봉형강류와 고로제강을 통한 열연코일 및 후판 등의 판재류를 생산하고 있다.
- 동사의 사업부 구성은 지배회사인 현대제철이 봉형강, 판재, 중기계 등을 생산하며, 종속회사인 청도현대기계유한공사는 중국에서 건설기계를 생산하고 있다.
- 2010년 4월 1기 고로의 상업생산을 시작으로 고로 및 전기로 제품을 모두 생산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갖추었으며, 매출액 및 순이익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매진하고 있다.
- 2015년 7월 부로 현대하이스코의 잔존 사업부문과 합병하면서 해외SSC와 강관 및 자동차부품 사업 또한 영위하게 되어 해외시장에서의 전략적 대응 능력을 확보하였고 글로벌 종합 철강회사로의 도약을 위한 성장 동력확보중이다.
- 매출구성은 판재 71.97%, 봉형강 31.01%, 반제품, 부산물 외 7.48%, 중기계 외 1.71%, 강관 1.6%, 중기계 0.35%, 연결조정 -14.11% 등으로 구성된다.
2. 세아제강
- 동사는 강관, 판재 등의 제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60년 설립되었으며, 세아그룹 내 21개 계열사 중 하나이다.
- 동사는 본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본사를 거점으로 생산, 판매법인 및 투자법인 등 13개의 연결대상회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강관제조 및 판재제조 등 두 개의 사업부문을 영위중이다.
- 강관산업은 건설, 조선, 자동차, 기계, 에너지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으며, 기존 업체들의 증설 및 중소기업들의 시장 진입으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 동사는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해서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기존설비의 개선에도 투자 지속중이다.
- 매출구성은 강관 64.65%, 해외 60.73%, 판재 15.8%, 연결조정금액 -41.18%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31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철강) 중국 인프라투자와 철강 가격상승 이슈를 통해 재평가
2018/04/27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북한 천연광물 지하자원 관련 주식 정리
2018/04/07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한러기업협의회 본격 가동 시작, 다시 보는 러시아 가스관 관련 주식정리
※ 참고자료
(1) 이베스트증권 리포트 "즐거운 상상, 러시아 가스관이 연결된다면"
(2)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 왕초보 주식 공부 > 산업섹터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건설) 중국 굴삭기 시장 판매 호조 (0) | 2018.06.09 |
---|---|
(IT/제조) 주52시간 근무제에 대처하는 기업의 재투자 가능성 (0) | 2018.06.07 |
(화장품) 유커 중국 관광객 증가 양상 속에서 결정적 모멘텀 필요 (0) | 2018.06.01 |
(미디어/IT) 디지털 광고 성장의 원동력, 모바일 (0) | 2018.06.01 |
(철강) 중국 인프라투자와 철강 가격상승 이슈를 통해 재평가 (0) | 2018.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