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남북정상회담 이후로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북한 비핵화에 오히려 당황스러울 정도입니다. 기밀이었던 연구소를 밝히고, 북한쪽에서 더 적극적으로 비핵화를 위한 자료공유와 일정을 잡는 것처럼 보이네요. 북한이 핵을 포기하겠다고 나서다니 트럼프가 정말 노벨평화상을 받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원자력발전소와 관련되서 떠오르는 사건이 있습니다. 11년도 후쿠시마 원전사고인데요. 당시에는 방사능 피폭 우려로 인해서 방사능 치료 관련주들이 테마를 형성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이 테마로 다시 주목받은 일은 없는 것 같지만 기억이 난김에 정리해보려 합니다.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1. 대정화금

- 일반, 분석, 진단, 특수 시험용약품 및 원료의약품을 생산하여 국내 및 일부 시약을 해외에 수출하는 화학회사이다.

- 사업부문은 크게 시험용 약품 부문과 원료의약품 부문으로 구성되며 시약은 기업, 병원, 학교 등의 연구소에서 사용하는 시험용 약품을 말하며, 철강산업부터 바이오산업까지 쓰이지 않는 곳이 없는 사업분야이다.

- 동사가 제조하는 시약은 거의 전 산업에 활용되나 특히 기업, 병원, 학교 등의 연구소에서 주로 사용되며 국내 시약산업은 3개 사가 과점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 HPLC 및 고순도 용매의 경우 동사가 해외에 수출하는 물량은 Sample order에 불과한 실정이었으나 증류설비가 준공 및 정상 가동됨으로써 인해 국내는 물론 해외 수출 물량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ACETONE 18L 59.03%, ACETONE 4L 40.95%, 기타 0.02% 등으로 구성된다.


2. 유나이티드제약

- 동사는 1987년 설립되어 코스닥에 1999년, 코스피로 2007년에 이전 상장함. 전문치료제 의약품업체로 꾸준한 매출성장과 영업이익률을 유지하며 고성장 중인 제약기업이다.

- 주요 제품으로는 순환기 치료제(실로스탄 CR, 클라빅신듀오캡슐 등), 소화기계 치료제(가스티인 CR, 뉴부틴서방정 등) 등이 있다.

- 현재 R&D 비율 13%로써 국내 최상위권 수준으로 개량신약 개발에 집중하며 국제 경쟁력을 갖춘 연구중심 제약기업으로 나아가는 중이다.

- 2010년 클란자CR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6개의 개량신약(클라빅신듀오캡슐,실로스탄CR,칼로민정,가스티인CR,레보틱스CR)을 출시 추가적인 개량신약 발매를 통해 우수의약품을 바탕으로 해외 라이선스 아웃을 적극 추진 중이다.

- 매출구성은 기타의약품 61.05%, 실로스탄 14.27%, 항암제 등 11.26%, 가스티인 5.85%, 클란자 4.28%, 뉴부틴 3.29% 등으로 구성된다.



3. 오르비텍

- 동사는 1991년 3월에 설립되었으며 사업부문은 현재 원자력 사업본부, ISI 사업본부, 항공 사업본부로 구성되어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원자력사업본부는 원자력 발전소의 방사선안전관리, 방사성폐기물 규제해제, 방사선 계측사업 및 관련제품 생산/판매 등, ISI 사업본부는 원자력 발전설비 가동전/중 검사 및 비파괴기술검사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한다.

- 항공우주산업에 필수적인 AS 9100 국제 품질인증획득, 자체 신규공장 준공, 기술 이전 등 독립적인 생산능력을 빠르게 확보하며 사업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 중이다.

- 2009년 자회사 한국이씨앤유를 흡수합병하여 ISI사업본부를 별도 구성하였으며, 현재는 동 사업본부를 통해 가동중검사 용역을 수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항공 45.23%, 원자력(기술용역) 43.85%, ISI 10.42%, 기타 0.39%, 원자력(제품) 0.12% 등으로 구성된다.


4. 쎄트렉아이

- 동사는 위성시스템 개발 및 관련 서비스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9년 12월 29일 설립되었으며 주로 소형 인공위성 완제품 및 부품을 개발·생산하고 있다.

- 사업부문은 소형위성시스템, 중형 및 소형위성의 탑재체와 부품을 개발ㆍ제조하는 위성사업, 소형/중형/대형위성의 관제 등을 하는 지상사업, 위성영상판매사업과 방사선감시사업 등을 하는 파생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 동사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인공위성 시스템 개발의 3대 핵심기술인 위성본체, 탑재체, 지상체 관련 기술을 모두 보유한 기업으로 2017년 9월말 기준 해외 92개, 국내 4개의 국내외 reseller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 영상사업은 자회사를 통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 아리랑 3A호의 위성영상 판매권을 획득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위성영상을 해외에 판매할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하였다.

- 매출구성은 위성사업 79.85%, 에스아이아이에스 13.82%, 기타 6.34% 등으로 구성된다.




5. 영인프런티어

- 1994년 설립되어 1999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항체 제조 및 항체신약개발, 과학기기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는 기업이다.

- 항체 생산 및 판매, 항체신약개발 등의 바이오사업부와 생명공학 관련 과학기기 및 소모품을 공급하는 과학기기사업부로 구분된다.

- 과학기기 사업은 기초 과학장비의 대부분을 수입하는 국내의 현실적 여건에 따라 글로벌 Maker들의 독점권을 보유한 동사는 높은 진입 장벽을 구축함으로써 높은 경쟁력 보유중이다.

- Thermo Fisher, Restek 등의 글로벌 다국적 기업의 제품을 국내에 공급하고 있으며, 일부 제품은 이미 국내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과학기기 81.08%, 바이오상품 11.41%, 바이오제품 7.09%, 기타 0.41% 등으로 구성된다.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7일 남북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끝났습니다. 업데이트되는 그 날의 사진들을 보면 훈훈한 분위기가 느껴집니다. 올해 안에 종전 선언을 하고, 비핵화에, 이산가족 상봉까지 기대되고 있으니 역사적인 시기네요. 이제 '만약 통일이 된다면'이라는 가정이 유머가 아닌 현실적인 상황들에 적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만약 통일이 된다면 개발이 덜 된 북한의 토지들이 가장 먼저 자본가들의 눈에 들어오겠죠? 신축될 건물들도 많을 거구요. 어떤 회사들이 이 만약의 상황에 이익을 얻을 수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시멘트 관련 기업들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1. 아세아시멘트

- 동사는 2013년 10월 01일에 인적분할을 통하여 시멘트의 제조, 판매 등을 주 영업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사업의 성격에 따라 아세아시멘트(주)와 아세아산업개발(주)의 시멘트 부문과 ASIA ADVANCED MATERIALS SDN.BHD, 우신벤처투자(주)와 농업회사법인 아농(주)의 기타 부문으로 구분된다.

- 동사는 시멘트 제조에 필수인 석회석을 향후 145여년 이상 채광할 수 있는 풍부한 매장량과 양질의 석회석 광산을 보유하고 있고, 초고층 건물에 적합한 고유동 시멘트의 생산으로 기술과 품질 우위에 있다.

- 동사는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해 향후 높은 성장이 예상되는 신규사업으로 메탈실리콘 사업에 진출하였음. 동사의 사업은 시멘트, 창업투자, 메탈실리콘 농작물 재배로 구성된다.

- 매출구성은 시멘트사업 99.48%, 기타사업 0.52% 등으로 구성된다.


2. 현대시멘트

- 동사는 현대건설(주) 시멘트사업부에서 독립하여 1969년 12월 30일에 설립되었으며 시멘트 제조 및 판매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시멘트는 철강, 석유화학 등과 더불어 국가경쟁력 제고에 필수적인 기간산업으로서 건설투자의 기초소재로 사용된다.

- 시멘트 원료 중 약 90%를 차지하는 석회석은 전량 국내에서 조달하며, 소성과정에서 필수적인 열에너지원인 유연탄은 전량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 물류비용을 줄이기 위한 생산지와 소비지의 수송효율성 제고 문제와 원가 구조상 높은 에너지 비용의 절감문제가 주된 경쟁요소이다.

- 매출구성은 시멘트(제품) 97.33%, 기타 2.67% 등으로 구성된다.



3. 고려시멘트

- 2012년 07월 설립된 동사는 시멘트 및 레미콘 제조 및 판매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제품은 시멘트, 레미콘이 있다.

- 동사의 시멘트산업 부문은 충남 이남 지역의 유일한 포틀랜드 제조사로서 전라권을 주 영업권역으로 하고 있으며, 지역적 특화시장을 형성하여 근거리 판매정책을 통해 물류비를 최소화하고 있다.

- 광주광역시, 나주혁신도시, 전북혁신도시, 새만금 간척사업지 등 전라권 수요유발지역의 최근거리에 소재하고 있어 신속한 시장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품질 및 물류비 부문에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 레미콘사업부문은 광주광역시의 공장을 운영중이며 전남 광양공장을 2016년 12월 준공하여 시멘트는 장성공장, 골재는 광양지역 소재 ㈜강동산업, 혼화제는 특수관계인 ㈜미래에서 안정적으로 공급이 가능해 경쟁우위에 있다.

- 매출구성은 시멘트 77.9%, 레미콘 22.1% 등으로 구성된다.


4. 한일시멘트

- 동사는 1961년 12월에 설립되었으며 시멘트 및 그 2차 제품의 제조,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종속회사를 포함한 주요사업부문으로는 시멘트부문, 레미콘부문, 레미탈부문, 기타사업부문이 있다.

- 동사는 계열회사를 포함하여 단양, 영월에 포틀랜드시멘트 생산공장 3곳과 평택, 당진, 포항에 슬래그시멘트 생산공장 3곳을 운영하며 전국 각지의 16개 출하공장 및 저장소를 통해 효율적인 전국 유통망을 보유중이다.

- 2017년 한국품질만족지수 조사에서 포틀랜드 시멘트 부문 1위 기업으로 8년 연속 선정되었으며, 2018년까지 15년 연속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에 선정되는 등 연구개발 및 환경경영 등의 분야에서 인정받았다.

- 석회계 다기능성 팽창재 제조 기술을 개발 중에 있으며 화력발전소 부산물 응용제품을 통해 신규 시장 창출에 힘쓰고 있다.

- 매출구성은 시멘트 32.22%, 레미콘 26.11%, 레미탈 24.36%, 기타 17.3% 등으로 구성된다.



5. 유니온

- 동사는 백시멘트 및 각종 특수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와 용융알루미나 제품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1964 1월 11일 설립되었음. 종속회사들은 부품소재사업, 호환성공구의 제조와 판매 등을 영위한다.

- 백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 등 내화재, 터널시공자재 등 특수시멘트를 판매하는 시멘트제조부문과 희유금속부문, 페라이트사업, 세라믹사업, 호환성 공구사업 5가지사업을 진행중에 있다.

- 특수시멘트를 기반으로 한 기존의 건축, 토목재료는 물론 폐자원 활용, 희유금속 및 금속산화물 등의 신소재분야로 연구영역을 확장하여 친환경적인 고부가가치제품을 개발하고 연구역량 확충을 추구하고 있다.

- 기존의 에폭시/타일시멘트 공법을 대체할 수 있는 무수축 폴리머계 타일접착제를 개발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킨 제품을 출시하였다.

- 매출구성은 시멘트 제조 39.93%, 페라이트사업 32.48%, 세라믹사업 14.95%, 희유금속 등 10.8%, 호환성공구사업 1.84%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4/27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북한 천연광물 지하자원 관련 주식 정리

2018/04/21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종전 언급으로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 고조, 남북SOC사업 관련 주식정리

2018/04/11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PD수첩 남북정상회담 관련 보도 기념으로 정리해보는 개성공단 관련 주식



※ 참고자료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남북정상회담 당일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판문점으로 이동중이라는 소식을 들으며 포스팅을 적고 있는데요. 남북경협주 테마주 아주 뜨겁습니다. 통일 이후의 시장까지 바라보는 전망들도 속속 나오고 있구요. 통일 기대감으로 가장 큰 영역은 뭐니뭐니해도 북한 지하자원에 관한 것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북한의 금 매장량은 2000t으로 남한(44t)의 약 45배라고 합니다. KB증권은 "북한 내 주요 광물의 잠재가치는 약 4200조원에 달한다"고 밝혔지만 다소 과소평가한 추정일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2016년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북한 지하자원의 경제가치가 10조달러(약 1경1700조원)로 한국의 20배에 이른다고 추계했습니다. 이 중 매장량이 40억t으로 추정되는 마그네사이트는 전 세계 매장량의 50%를 차지할 정도고 말이죠. 


그렇다고 해서 북한이 한반도판 엘도라도일 순 없습니다. 수㎞ 지하 막장으로 내려가 캐내야 하는 저품질의 석탄처럼 대부분의 북한산 광물이 가성비가 낮은 게 문제로 지적됩니다. 북한은 희토류 광산만 22개를 갖고 있지만 채굴뿐 아니라 정제기술 낙후로 그림의 떡인 상황입니다. 매장량 세계 2, 3위인 미국과 호주조차 추출 과정에서 엄청난 공해물질을 배출한다는 이유로 희토류 생산을 보류하다시피 하고 있는 마당이니 말이죠. 오늘은 북한의 지하자원, 천연자원과 관련된 기업들을 한번 정리해두려합니다.


1. 수산중공업

-  1984년 설립되어 1991년 상장하였으며 건설중장비의 유압브레이크와 트럭크레인 및 유압드릴을 생산하고 있다.

- 주요제품으로 유압브레이커, 유압드릴, 트럭크레인 등이 있으며 구체적인 용도로 암반파쇄, 굴착, 상하차로 사용된다.

- 주력사업부문은 유공압기계제조부문, 크레인사업부문이 있으며 관련된 생산실적은 경기악화로 인해 매년 감소하고 있다.

- 유압브레이카의 경우 건설경기 침체 지속 및 향후 건설경기 불확실성으로 건설장비 신규 투자가 감소하면서 경쟁사와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 매출구성은 유공압기계사업 53.67%, 크레인사업 46.33% 등으로 구성된다.


2. 혜인

- 1960년 10월 17일 혜인상사(주) 로 설립되었으며, 1969년 12월 26일에는 혜인중기(주) 로, 1986년 5월 31일에는 주식회사 혜인 으로 상호를 변경하였음. 1988년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 사업부문은 상품매출수입 부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에 오파수입, 정비수입, 임대수입, 공사수입, 전력매출, 제품매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 건설기계 및 부품사업부문과 오파수입부문은 건설기계 완제품 및 Caterpillar 엔진과 부품이 주종을, 정비부문은 건설기계 및 엔진정비가 주종, 임대부문은 건설기계 임대로 구성되어 있다.

- 건설기계, 엔진 등의 주요 사업은 건설 경기 등 전방산업의 수요 변동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사업 분야로서 전반적인 국내경기 상황, 정부의 사회간접자본 투자정책과 해외경제동향 등에 따라 수요가 좌우된다.

- 매출구성은 상품매출 72.15%, 제품매출 18.03%, 정비수입 4.93%, 임대수입 3.46%, 오파수입 0.98%, 전력매출 0.45% 등으로 구성된다.


3. 대창솔루션

- 1953년 회사 설립 후 1977년 10월 26일 대창주강공업(주)로 법인으로 전환하였으며 생활안전구조재, 자원채굴설비품, 에너지변환장치품, 수송 및 산업기기부품소재, 초저온산업 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주요사업부문은 생활안전구조재, 자원채굴설비품, 에너지변환장치품 수송 및 산업기기부품소재, 초저온산업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 과거 선박용 내연기관구조재와 선박용 주강품에 매출비중이 높았으나, 사업구조의 다양화를 통해 생활안전구조재, 자원채굴설비품, 에너지변환장치품 등 다양한 산업군의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영역을 확대해가고 있다.

- 종속기업인 ㈜크리오스는 초저온시스템 및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기업으로 중점 육성하고 있으며 크리오스는 국내 및 아시아 최초로 LNG 연료추진선인 에코누리호의 선박용 LNG 연료공급시스템을 납품하였다.

- 매출구성은 에너지변환장치품 50.66%, 수송 및 산업기기부품소재 30.97%, 초저온산업 10.99%, 자원채굴설비품 5.22%, 생활안전구조재 2.16% 등으로 구성된다.


4. 유니온

- 동사는 백시멘트 및 각종 특수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와 용융알루미나 제품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1964 1월 11일 설립되었음. 종속회사들은 부품소재사업, 호환성공구의 제조와 판매 등을 영위한다.

- 백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 등 내화재, 터널시공자재 등 특수시멘트를 판매하는 시멘트제조부문과 희유금속부문, 페라이트사업, 세라믹사업, 호환성 공구사업 5가지사업을 진행중에 있다.

- 특수시멘트를 기반으로 한 기존의 건축, 토목재료는 물론 폐자원 활용, 희유금속 및 금속산화물 등의 신소재분야로 연구영역을 확장하여 친환경적인 고부가가치제품을 개발하고 연구역량 확충을 추구하고 있다.

- 기존의 에폭시/타일시멘트 공법을 대체할 수 있는 무수축 폴리머계 타일접착제를 개발하여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킨 제품을 출시하였다.

- 매출구성은 시멘트 제조 39.93%, 페라이트사업 32.48%, 세라믹사업 14.95%, 희유금속 등 10.8%, 호환성공구사업 1.84% 등으로 구성된다.


5. 에스아이리소스

- 동사는 1987년에 설립되어 현재 7개의 계열회사가 있으며, 주된 사업은 고부가가치사업인 석탄 채굴, 운송 및 판매사업 영위중이다.

- 동사는 총 3개의 종속회사를 통해 에너지사업부를 신설하여 유연탄 생산, 판매에 집중하면서, 우수한 섬유 원단 제품을 제작하여 국내 및 해외에 공급하고 있다.

- 유연탄의 경우 국내에 매장된 광구가 전혀 없기 때문에 전량 해외에서 조달하고 있으며, 동사가 영위하는 에너지사업은 환율, 자원가격 등 세계 경기변동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다.

- 국가/기업간 자원 확보 경쟁이 날로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동사는 러시아에서 유연탄 생산 판매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유)우글레고르스크우골, (유)씨알에스를 주요 종속회사로 편입하였다.

- 매출구성은 에너지사업부 92.23%, 기타 7.77% 등으로 구성된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18/04/11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PD수첩 남북정상회담 관련 보도 기념으로 정리해보는 개성공단 관련 주식

2018/04/21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종전 언급으로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 고조, 남북SOC사업 관련 주식정리

2018/04/26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남북경협을 넘어 통일까지, 외국인의 눈으로 본 통일 테마주 정리


참고자료

http://www.fnnews.com/news/201804241722340430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가 점점 고조되고 있습니다. 종전에 대한 가능성도 시사하면서 증시 역시 이 기대감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상승효과를 누리고 있는데요. 정치와 금융계 모두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는 큰 이슈가 되었네요.


큰 이슈인 만큼 북측 통일각에서 4·27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의전·경호·보도분야 2차 실무회담을 갖고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간 첫 악수부터 생방송으로 전 세계에 알리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는 이번 정상회담이 공동경비구역(JSA) 내 남측 지역인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열린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사실상 김정은 위원장이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오는 순간부터 전파를 타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동아일보)


특히 강원도는 남북을 잇는 동해북부선을 시작으로 도로·항공·해운 등 남과 북을 잇는 땅길·하늘길·바닷길 개척에 나서, 정부에 동해북부를 연결하는 SOC건건설을 위한 자금을 신청한다고 합니다. (출처: 강원도민일보) 관련된 기업들은 어떤 곳들이 있을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도화엔지니어링

- 1957년 설립된 도화종합설계사무소를 모태로 1962년 도화종합기술공사로 설립되어 2011년 도화엔지니어링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 상하수도, 수자원개발, 도시계획, 조경, 도로교통, 교량, 터널, 항만, 철도, 환경 등 엔지니어링 전 분야 업무를 수행하는 종합 엔지니어링 컨설팅 회사이며 플랜트 사업과 EPC 사업 등도 영위하고 있다.

- 개발도상국의 인프라 투자 확대에 힘입어 해외시장의 잠재성이 높으며 동사는 국내뿐 아니라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필리핀, 네팔 등 국내외의 기술용역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다.

- 부문별로 2개의 연구실을 두고 있음. 최근 연구 개발 실적으로는 노후도로 표면 보수 사업화 등이 있다.

- 매출구성은 설계 82.08%, 감리 14.97%, 공사 2.79%, 전력판매 0.16% 등으로 구성된다.


2. 에코마이스터

- 1982년 8월 설립된 동사는 금속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래그를 재활용하는 환경사업과 철도차량 유지 보수하는 철도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환경사업의 장비부문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한 친환경 슬래그 처리 특허기술인 SAT를 적용한 슬래그 처리설비(SAP)를 제작 및 설치, 운영하여 사업장폐기물 배출자인 금속제조사의 슬래그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 슬래그 처리설비(SAP)를 통해 생산된 PS Ball(슬래그 가공제품)을 폐기물인 아닌 유가물로 제조하여 산업 소재로 판매하고 있다.

- 철도차량 차륜 검사 및 가공을 위한 철도차량 차륜가공기계와 철도차량 계측 및 검수 장비를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 유일의 철도차량 차륜가공기계 메이커로서 공작기계 중 고유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CNC 전삭기 등 50.83%, 슬래그처리비 23.24%, PS Ball 16.17%, 환경기타 8.70%, 철도기타 0.98%, SAP 0.08% 으로 구분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북한과의 관계 개선이 기대되는 시점입니다. 4월예 예정된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5월에는 불가능해보였던 북미정상회담까지 이어진다고 하니, 만약 두 개 회담에서 북한의 폐쇄정책이나 핵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가 오간다면 우리나라의 방위 산업에는 조금의 타격이 있겠죠. 최근에 김정은이 '북한 비핵화를 댓가없이 이루겠다.'라고 하였으니 이에 대해서도 기대해볼만하네요. 오늘은 이와 관련해서 국방이나 방위 관련 주식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1. 스페코

- 1979년 설립되어 1997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특수목적용 건설기계 제조 및 철구조물 제작 및 판매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 동사의 주요제품으로 아스팔트믹싱플랜트, 콘크리트배쳐플랜트, 풍력타워가 있으며 구체적 용도는 플랜트임. 관련 원재료의 경우 내수구매로 이루어진다.

- 주요사업부문은 플랜트사업부, 풍력부문, 방산설비부문으로 구성되며 생산실적은 매년 하락하고 있다.

- 동사는 총 2957만불을 투자하여 스페인 Gamesa에 플랜트 10대를 납품하였으며, 멕시코의 3,000MW 규모 시장과 북미시장의 선점을 위해 2MW 급 1일1기 생산을 원칙으로 매출 증가 모습을 보이고 있다.

- 매출구성은 풍력 42.7%, 플랜트부문 42.28%, 함안정기외 14.4%, 임대수입외 0.62% 등으로 구성된다.


2. 퍼스텍

- 동사는 1975년 설립된 후성그룹 계열사로서 유도무기, 항공우주, 해상수중무기 등을 생산하는 방위사업과 출입통제기 시스템, 근태관리기 등 얼굴인식 응용 솔루션을 공급하는 시스템사업을 영위한다.

- 무기체계 전분야의 국내 핵심 부품업체로서 국내 방위산업의 성장과 동반 성장하고 있으며, 한국항공우주, LIG넥스원, 한화테크윈, 현대로템, 두산인프라코어 등의 완제품 업체에 핵심 부품을 공급한다.

- 화포분야에서 20미리 발칸포 사격제어부 공급을 시작으로 정부주도개발(국방과학연구소)에 참여하여 1975년 방산업체 및 방산물자지정(산자부, 국방부)을 받으며 현재까지도 육·해·공 각 군에 납품 중이다.

- 공항 직원관리 시스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생체인식 여권 사업 동의 정부 단위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동시에 민간 기업의 근태관리 시스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등을 기반으로 한 어플리케이션 납품을 진행한다.

- 매출구성은 무기 및 총포탄 제조업 99.24%, 보안서비스 개발 0.76% 등으로 구성된다.


3. 풍산

- 1968년 설립되었으며 동합금소재와 가공품을 제조하는 신동사업 부문과 각종 탄약류를 생산하는 방산사업 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 신동사업 부문에서는 동 및 동합금 판ㆍ대, 리드프레임재, 건축용 동관, 공업용 동관 및 합금관, 동 및 동합금 봉ㆍ선, 주화용 소전 및 동 지붕재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방산사업 부문에서는 각종 탄약 및 단조품을 생산한다.

- 동사의 신동사업은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된 소전, Leadframe 소재, 동합금관 등의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우위를 확보하고 있고, 제품 전반에 걸쳐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했다.

- 비철금속 제품은 기초산업에서부터 첨단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산업용 소재로 쓰이기 때문에 신동제품 매출은 IT, 반도체, 자동차, 건설 등 연계산업의 경기변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매출구성은 신동부문 66.78%, 방산부문 33.22% 등으로 구성된다.


4. 한화테크윈

- 동사는 1977년 8월 설립되어 고도의 정밀기계분야의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항공기 및 가스터빈 엔진, 자주포 장갑차, CCTV, 칩마운터 등의 생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엔진부문 사업은 항공기 엔진 및 부품, 발전설비사업, 터보압축기 등을 생산 및 정비하는 사업이며 주요 고객으로는 PW, GE, 국방부가 있다.

- 2015년 6월 29일 기존 최대주주였던 삼성전자 외 특수관계인 4인이 보유지분을 (주)한화로 매각하여 2015년 6월 29일 한화테크윈주식회사로 상호변경했다.

- 방산부문 사업은 국내에서 장기계약을 통해 꾸준히 K9 자주포, K10 탄약운반차 등을 납품하고 있으며 해외로는 필리핀, 폴란드, 인도, 이집트 등에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방산사업 46.66%, 엔진사업 25.01%, 시큐리티 16.65%, 산업용장비 6.91%, 에너지장비산업 4.77% 등으로 구성된다.


5. 한국항공우주

- 동사는 항공기 부품, 완제품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1999년 설립된 항공기 체계 종합업체이다.

- 한국 공군 고등훈련기, 한국 공군 기본훈련기 양산 및 수출 사업, 위성사업 등을 영위하는 방산 및 완제기수출 부문과 Boeing, Airbus 등을 영위하는 기체구기체부품 및 민수, 수출 기타부문으로 구분된다.

- 국내 유일의 종합 항공체계 제조업체로서 정부와의 지속적인 거래를 통해 독점적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지식경제부 항공산업발전 기본계획 등 정부의 산업육성정책의 지원을 받고 있다.

- 신규사업으로 KF-X 한국형 전투기 개발사업, 소형무장헬기 및 민수헬기 개발사업 등 군용기 사업을, 한국형 중형항공기 사업 등 민항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기체부품 및 민수, 수출 기타 53.1%, KUH/LAH계열 25.15%, T-50/KF-X계열 15.85%, 정부방산 기타 등 5.33%, KT-1계열 0.57%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