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환자가 큰 폭으로 늘고 있습니다. 2015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치매환자 수는 64만8000명(유병률 9.8%)으로 집계됐는데요. 현재 68만 명으로 늘어났고, 2050년에는 271만 명(유병률 15.1%)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치매환자 문제는 더 이상 이웃의 이야기가 아니게 됐습니다. 



1. 명문제약

- 1983년 설립되어 2008년 한국거래소에 상장하였으며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 목적사업으로 하고 있다.

- 주요제품으로 골관절염치료제(명문아트로다캅셀), 소염진통제(디크놀주사), 소화기용제(씨앤유캡슐)등이 있으며 가장 인지도가 높은 제품으로 멀미약인 키미테가 있다.

- 신규사업으로 고지혈증 치료 복합제인 로젯정, 마약성 진통제인 도미덴주, 항암제(위암/두경부암/췌장암) 3제 복합제인 테고캡슐을 발매할 예정이다.

- 동사는 14억원 가량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하였으며 보유하고 있는 7개의 특허권 중 2-(2-프탈이미도에톡시)아세트산의 제조방법을 최근 취득하였다.

- 매출구성은 의약품 96.99%, 서비스부문 3.01% 등으로 구성된다.


2. 메디프론

- 동사는 1997년 03월 18일에 설립되었으며 컨텐츠 제공 서비스 사업, 유통사업부문의 IT사업부문, 신약사업부문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컨텐츠 서비스 및 모니터, 공유기, 마우스 등을 판매하고 비마약성 강력진통제, 치매치료제, 치매진단키트 등을 개발 판매하고 있다.

- 뇌 신경세포를 죽이는 독소의 형성을 차단하는 기전의 효과적인 치매 치료제 후보물질을 확보하였으며 대웅제약과 공동으로 2011년 식약청으로부터 국내 임상 1상 시험허가를 득하였다.

- 알츠하이머 치료제에 대한 국내에서 임상시험을 실시하였고 현재는 글로벌 임상을 당사와 다국적제약사가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한 해외 임상파트너 선정작업 중이다.

- 매출구성은 모니터/마우스 외 93.79%, 컨텐츠제공 5.76%, 연구용역 외 0.45% 등으로 구성된다.



3. 환인제약

- 동사는 질병 퇴치를 통해 건강한 사회에 이바지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의약품을 제조하여 병원 등에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다.

- 주력 제품으로는 리페리돈(정신신경용제), 아토르빈(순환계용약), 유란탁(소화성궤양용제)등이 있다.

- 주요사업부문은 의약품의 제조 및 판매 단일부문이며 매년 관련 생산실적이 증가하고 있다.

- 연구본부 내에 개발실과 제제연구팀, 천연물연구팀, 신약기획팀을 두고 아리피졸정제 연구, 도네페질정 연구 등을 수행하고 허가를 취득했다.

- 매출구성은 정신신경용제 77.97%, 순환계용약 7.02%, 소화성궤양용제 6.15%, 골다공증 치료제 3.61%, 기타 2.81%, 해열소염진통제 2.44% 등으로 구성된다.


4. 씨트리

- 동사는 1998년 4월 설립되었으며 주요 목적사업은 완제의약품과 원료의약품의 개발 및 제조이다.

- 펩타이드 의약품인 씨트렐린 구강붕해정은 국내에서 동사가 유일하게 원료의약품과 완제의약품의 생산기술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

- 주요 제품은 의사의 처방에 의한 전문의약품인 ETC에 속하는 `씨트리시메티딘정`, `로자틴정`, `라베피아정` 등과 약국에서 판매되는 일반의약품인 OTC에 속하는 `지노베타딘질좌제`, `씨트리피록시캄겔` 등으로 구성된다.

- 한달지속형 항암제 주사제, 1주형 펩타이드 주사제, Spongy-like porous PLGA microspher 등의 연구개발이 진행중이다.

- 매출구성은 ETC 41.22%, OTC수탁 21.38%, OTC 14.58%, ETC수탁 14.25%, 상품매출액 5.97%, 기술용역료수입 1.35%, 기타제품 1.23%, 기타매출액 0.01% 등으로 구성된다.



5. 대웅제약

- 동사는 2002년 10월 주식회사 대웅이 사업부문을 인적 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2002년 11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다.

- 종속회사는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주요종속회사인 한올바이오파마를 포함한 총 14개 회사로 구성된다.

-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지배적 단일사업부문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제품은 `우루사`, `알비스`, `올메텍`, `임팩타민`, `넥시움` 등 다양한 용도의 의약품으로 구성된다.

- 2017년 9월 HL161 및 HL036의 중국지역 기술이전 계약, 2017년 12월 HL161 자가면역질환 항체신약 기술이전 계약 체결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 매출구성은 제품기타 33.94%, 상품기타 21.05%, 우루사 9.5%, 크레스토 7.73%, 알비스 7.71%, 세비카 7.52%, 넥시움 4.62%, 올메텍 3.23%, 임팩타민 2.63% 등으로 구성된다.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www.sisapress.com/journal/article/174939

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5월 첫 주 3일간의 연휴 다들 즐겁게 보내고 계시나요? 지난 달 말에 (4월 말)정부가 항공기 부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는 소식에 항공산업계에 호불호의 목소리들이 들여오고 있습니다.


항공기 부품을 수입하는 항공운송업계는 현재 관세가 면제되고 있는 항공기 부품에 세금이 부과될 경우 경쟁력이 크게 떨어질 것이라고 분석하고 무관세 유지를 위해 WTO(세계무역기구) TCA(민간항공기협정) 가입을 꾸준히 요구 중입니다. 하지만 항공제조업계는 보조금 정책 등을 이유로 TCA 가입에 반대하고 이번 관세 부과 정책이 국내 항공기부품 시장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하는 것 같네요.


오늘은 국내에 있는 항공 부품 관련 기업들을 정리해보려합니다.



1. 한국항공우주

- 동사는 항공기 부품, 완제품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1999년 설립된 항공기 체계 종합업체이다.

- 한국 공군 고등훈련기, 한국 공군 기본훈련기 양산 및 수출 사업, 위성사업 등을 영위하는 방산 및 완제기수출 부문과 Boeing, Airbus 등을 영위하는 기체구기체부품 및 민수, 수출 기타부문으로 구분된다.

- 국내 유일의 종합 항공체계 제조업체로서 정부와의 지속적인 거래를 통해 독점적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지식경제부 항공산업발전 기본계획 등 정부의 산업육성정책의 지원을 받고 있다.

- 신규사업으로 KF-X 한국형 전투기 개발사업, 소형무장헬기 및 민수헬기 개발사업 등 군용기 사업을, 한국형 중형항공기 사업 등 민항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기체부품 및 민수, 수출 기타 53.12%, KUH/LAH계열 22.68%, T-50/KF-X계열 17.87%, 정부방산 기타 등 5.84%, KT-1계열 0.5% 등으로 구성된다.


2. 하이즈항공

- 2001년 11월 설립되었으며 목적사업으로는 항공기 및 항공기 관련 부품 제조업, 항공기관련 기술용역 서비스업, 항공기관련 정비 및 개조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 항공산업은 단순히 자본력과 기술력만으로는 진입이 거의 불가능하며, 장기간의 거래실적에 따른 검증과 신뢰를 중요시 하기 때문에 어느 산업보다도 진입장벽이 높다.

- 동사는 높은 원가경쟁력 및 기술력과 그 동안 축적해온 적기 납품 실적을 바탕으로 최근 2012년 이후 수주하는 프로그램의 대부분을 1차공급자와 2차공급자의 형태로 계약을 진행하고 있다.

- 항공기 부품회사가 갖추어야 할 기계가공, 판금가공, 표면처리, 조립공정에 대한 종합 설비투자를 완료하였으며 2015년 기준 국내 중소기업 최초로 항공기 전 공정을 자체 수행 가능한 항공종합 업체로 성장하였다.

- 매출구성은 조립사업부 64.69%, 부품사업부 35.31% 등으로 구성된다.



3. 아스트

- 2001년 4월 항공기 부품제작, 항공기 부분품 조립 및 관련 치공구류의 생산, 판매를 주요사업 목적으로 하여 설립되었다.

- 동사의 설립 배경은 IMF 직후 국내 항공산업 합리화 조치의 일환으로 삼성, 대우, 현대의 항공사업부문을 통합해 한국항공우주산업이 출범하며 생산이 안정화된 대형항공기 골격재인 Stringer 사업부문의 분사를 결정했다.

- 항공규격 및 인증을 통해 대형 항공제조사에 납품 자격 및 공정인증을 획득하였고, 기존의 납품 실적을 통해 품질 및 납기준수를 통해 신뢰성을 확보함에 따라 고객사와 지속적인 거래가 발생하고 있다.

- 해외 시장 개척 및 기존 고객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영업 및 사업 관련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들로 구성한 해외 영업팀을 운영하여 지속적인 On/Off 홍보 활동 등으로 해외에서 동사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있다.

- 매출구성은 기타 71.77%, Bulkhead 19.53%, Sec48 18.02%, U/L Deck 7.55%, Stringer 등 6.01%, 내부제거 -22.89% 등으로 구성된다.


4.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동사는 1977년 8월 설립되어 고도의 정밀기계분야의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항공기 및 가스터빈 엔진, 자주포 장갑차, CCTV, 칩마운터 등의 생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동사는 한화그룹에 속한 계열회사로서 2017년 9월 말 기준 한화그룹은 동사를 포함한 국내 70개 계열회사와 해외 325개 계열회사가 소속되어 있다.

- 2015년 6월 29일 기존 최대주주였던 삼성전자 외 특수관계인 4인이 보유지분을 (주)한화로 매각, 2018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상호 변경했다.

- 방산부문 사업은 국내에서 장기계약을 통해 꾸준히 K9 자주포, K10 탄약운반차 등을 납품하고 있으며 해외로는 핀란드를 비롯한 북유럽지역과 인도, 이집트 등 아ㆍ중동지역 마케팅을 추진중에 있다.

- 매출구성은 방산사업 53.13%, 엔진사업 22.37%, 시큐리티 13.77%, 산업용장비 6.01%, 에너지장비산업 4.72% 등으로 구성된다.



5. 대한항공

- 1962년 6월 설립, 1969년 3월 민영화되어 45개국 118개 도시(2016.9.30기준)에 여객 및 화물 노선을 개설하여 항공운송사업을 수행 중이다.

- 사업부문은 항공운송사업(여객 사업, 화물 사업), 항공우주사업, 기타사업(기내식 등), 호텔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음. 동사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2017년 여객 기준 21.7%, 화물 기준 31.7%이다.

- 항공운송사업은 각 노선별 수요 변동 및 항공사 동향을 고려한 탄력적 공급 조정을 실시. 화물 사업은 우편물, 신선화물, 생동물, 의약품 등 고수익 품목의 영업을 확대하여 수익을 제고할 계획이다.

- 2017년 6월 23일, 당사는 델타항공과의 태평양 노선 조인트벤처 협정을 체결하고 7월 국토교통부는 공정위와의 협의를 거쳐 2018년 3월 28일 부 당사와 델타항공 태평양 노선 조인트벤처 협력을 조건부 인가 조치했다.

- 매출구성은 항공운송 91.82%, 항공우주 6.02%, 기타 1.43%, 호텔사업 0.73%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4/20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인천공항의 새로운 면세사업자는 누구, 면세점 관련 주식정리

2018/02/28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저가 항공 관련주식 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news.mt.co.kr/mtview.php?no=2018042716574737561#popup

애플의 아이폰X 판매 호조

얼마전에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불거진 아이폰X 판매부진설에 일침을 가했습니다. 쿡은 1일(현지시간) 2018 회계연도 2분기 실적 발표 직후 컨퍼런스콜에서 “3월 분기 동안 아이폰X은 매주 가장 많은 인기를 누린 모델이었다”고 강조했는데요. 최근 들어선 삼성전자, TSMC 등 관련 부품 공급업체들의 실적 부진을 이유로 아이폰X 판매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많았었는데 이를 전면 부정하는 것이었죠. 애플은 3월 마감된 분기에 아이폰 5천220만대를 판매, 지난 해 같은 기간에 비해 3% 가량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1. LG이노텍

- 동사는 1970년 금성알프스전자(주)로 설립되었으며, 전기전자부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종합 전자부품업체임. 2009년 LG마이크론(주)와 합병하였다.

- 현재 광학솔루션 사업부문, 기판소재 사업부문, 전장부품 사업부문, LED 사업부문의 4개 사업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모바일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 자동차, LED 조명 등의 주요 부품을 생산, 판매했다.

- 국내외 주요 거점 별로 11개 생산기반과 10개 판매거점을 구축하여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보하였으며, 국내와 일본에 R&D 캠퍼스와 연구소를 운영하며 혁신기술과 시장선도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글로벌 TOP 지위를 확보한 Display 부품 사업군은 신기술 개발 및 신제품 선 제안을 통한 시장선점으로 안정적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2. 인터플렉스

- 동사는 1994년 07월 설립되었으며 동사와 종속회사 화하선로판(천진)유한공사(중국)와 INTERFLEX VINA CO.,LTD.(베트남)는 FPCB 제조업 단일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 FPCB는 전자제품의 소형화, 경량화에 따른 적용 제품군의 확대로 PCB시장에서의 점유율도 증가하고 있음. 99년에 국내 최초로 폴더형 FPCB를 양산했고 그 이듬해에는 Rigid FPCB 양산을 시작하였다.

-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전자,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팬택 등 국내 우량 기업과 Motorola, Apple, Sharp, Flextronics 등 해외 글로벌 기업이 있다.

- 현지에 진출한 Big Customer의 요구에 따라 중국 및 베트남 출자회사에 생산 CAPA 증설투자를 진행하였으며, Multi FPCB LINE 구축을 통한 현지 생산 및 공급량 확대 등으로 매출 증대에 기여 중이다.

- 매출구성은 제품 56.06%, 상품 43.94% 등으로 구성된다.




3. 삼성SDI

- 1970년 1월에 설립되어 소형전지, 중,대형전지 등을 생산/판매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판매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영위중이다.

- 동사는 리튬이온 2차 전지 사업부문에서 2010년에는 세계 전지시장에서 M/S 1위를 차지한 이래로 현재까지 지속유지하고 있다.

- ESS 사업은 차별화된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력과 양산기술로 제품 경쟁력을 제고하는 한편 한국, 미국, 유럽, 일본 등지의 유통채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 향후 ESS 산업은 발전설비 분산화와 신재생 발전 성장에 따른 수요 확대, 경제성 확보에 따른 도입 증가로 연간 50% 이상의 고속 성장이 전망이다.

- 매출구성은 소형전지 등 68.09%, EMC 외 31.91% 등으로 구성된다.


4. 삼성전기

- 동사는 1973년에 설립해 각종 전자부품의 제조ㆍ판매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 삼성그룹에 속한 계열회사이다.

- 카메라모듈, 통신모듈 등을 생산/판매하는 모듈솔루션, 수동소자 등을 생산/판매하는 컴포넌트솔루션, 반도체패키지기판, 고밀도다층기판 등을 생산/판매하는 기판솔루션 사업부문으로 구성된다.

- 수원사업장은 본사, R&D, 마케팅 및 지원기능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세종/부산 사업장은 기판, MLCC, 칩 인덕터 등 고부가 제품 생산, 천안 사업장은 Fo-PLP개발로 운영하고 있다.

- 현재 동사는 소재광학, 다층박막성형, 고주파 회로설계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카메라모듈, 통신모듈, 칩부품, 기판 등을 세계 일류 사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모듈솔루션 44.04%, 컴포넌트솔루션 34.47%, 기판솔루션 21.49% 등으로 구성된다.




5. LG디스플레이

- 동사는 TFT-LCD 및 OLED 등의 기술을 활용한 Display 및 관련 제품의 연구, 개발, 제조, 판매를 하고 있으며, TFT-LCD 및 OLED 제품의 생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OLED는 2013년 1월 55인치 OLED TV를 세계 최초로 공급한 데 이어, UHD OLED TV, 플렉서블 OLED 스마트폰, Wearable용 원형(Round) OLED 패널 등을 지속적으로 출시했다.

- 노트북과 모니터 제품 등 전통 IT 제품 시장은 성장 정체 혹은 역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빠르게 진화 중인 e생태계 환경에 발맞춰 Smartphone 등 중소형 Display 시장이 꾸준하게 성장 중이다.

- LCD에서는 IPS 기술 기반의 초대형/고해상도 UHD TV 및 대형/IPS/21:9 Curved 모니터 등 차별화 제품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in-TOUCH 기반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생산 체계를 구축했다.

- 매출구성은 Display 패널 100% 이다.


※ 참고 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502104727&type=det&re=




마이크로LED

애플이 점찍어 집중 투자한 마이크로 LED(Micro LED) 디스플레이 기술이 올해부터 상용화될 수 있을까요? 마이크로 LED 대량 양산의 최대 걸림돌이었던 전사(Transfer·마이크로 단위의 칩을 정확하고, 손상 없이 기판에 장착하는 공정) 기술이 고도화한 것도 상용화의 청신호라는 설명이 작년 하반기부터 이어져오고 있는데요. 


LED시장조사업체인 "LED인사이드"는 “애플이 인수한 럭스뷰(LuxVue)를 비롯해 이럭스(eLux), 소니 등 이 분야의 대표적인 업체들이 5~6가지의 다양한 전사 기술을 개발 중이며 조만간 웨어러블 등의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마이크로 LED는 기존 LED와 구조는 비슷하지만, 칩 사이즈를 가로⋅세로 각각 100마이크로미터(µm) 이하로 줄인 제품을 뜻합니다. 현재 작은 상용 플립칩 LED의 한 변 길이가 800µm 정도지만, 마이크로 LED는 가로⋅세로 길이를 지금보다 최소 8분의 1 이하로 줄인 것이다. 




1. 루멘스

- 동사는 1996년 6월 17일 설립되어 LED소자를 비롯하여 LED소자를 이용한 일반조명군, 모듈제품군 등의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생산판매. 2006년 8월 8일 코스닥시장 상장이다.

- 지배회사인 루멘스와 종속회사인 곤산류명광전유한공사 등이 영위하는 LED개발, 제조사업 및 Topaz LGP s.r.o.가 영위하는 도광판 등 개발 및 생산 사업부문이 있다.

- Strategies Unlimited 에 따르면 LED시장은 연간 30%씩 성장하며 LED 시장은 조명용 LED 시장의 개화와 함께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 micro LED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제품대비 고해상도, 고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한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 헤드업디스플레이(HUD), 피코프로젝트 등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LED 모듈 외 제품 86.42%, LGP사업부 10.25%, LED 상품 2.67%, LED 기타 0.65% 등으로 구성된다.


2. 루미마이크로

- 동사는 화합물 반도체 제조 및 판매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2002년 08월 22일 설립. 2005년 11월 18일 코스닥시장 상장했다.

- 동사는 LED(Light Emitting Diode) 사업(Package, Module 및 완제품) 및 부동산임대업을 영위하고 있다.

- 수직계열화 형성에 따른 시너지 효과 창출의 결과로 동사의 최대주주이자 주요고객인 (주)금호전기에 TV용 LED 및 조명용 LED를 납품하게 되면 금호전기가 완성품을 판매하는 협력을 통한 영업 경쟁력 강화 전략 추구하고 있다.

- 조명용 고효율 Power LED와 조명용 고출력 COB(Chip on board) Type LED 개발 및 양산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Module,기타 81.03%, LED PKG 18.97% 등으로 구성



3. 삼성전자 

- 1969년 설립 된 글로벌 기업으로, 주요사업은 CE부문(TV, 냉장고 등)과 IM부문(컴퓨터, HHP 등), DS부문(DRAM, 모바일AP, LCD, OLED 등), Harman(인포테인먼트 등)으로 구성된다.

- 지역별로는 본사를 거점으로 한국 및 CE, IM부문 산하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산하 해외 5개 지역총괄의 생산, 판매법인 등 270개의 동종업종을 영위하는 종속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 IM부문은 프리미엄 브랜드 갤럭시를 필두로 소비자 친화적이며 혁신적인 제품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Samsung Pay와 같은 Mobile Payment, Cloud 등 미래 성장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 반도체 사업 부문에서 NAND의 경우, 경쟁사 대비 앞선 기술력을 확보한 Vertical NAND를 4세대 적층 제품을 본격 양산하고 있으며, 이를 고성능 SSD에 탑재하여 프리미엄 시장에 적극 진입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IM 44.42%, 반도체 30.92%, CE 18.79%, DP 14.35%, Harman 2.96%, 기타 -11.44% 등으로 구성된다.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24/2017072402718.html

남북정상회담 여파가 정말 강하네요. 삼성전자 액면분할 앞두고 대거 빠져나갔던 외국인 자본이 다시 코스피로 돌아오고 있다는 뉴스를 봤습니다. 비핵화선언이 여러가지 테마도 형성하면서 증권시장에 훈풍을 불어주네요. 함께 돈을 버는 상승장이 되면 참 좋을텐데요. 북한 관련하여 또 하나의 테마인, DMZ재개발 관련과 관련되어 있는 회사들을 한번 추려보았습니다. 정확하지는 않으니 참고만 하시기를 항상 당부드립니다...



1. 퍼스텍

- 동사는 1975년 설립된 후성그룹 계열사로서 유도무기, 항공우주, 해상수중무기 등을 생산하는 방위사업과 출입통제기 시스템, 근태관리기 등 얼굴인식 응용 솔루션을 공급하는 시스템사업을 영위한다.

- 지상무기분야에서 한국형 전차(K1, K1A1), 구난/교량전차, 자주포(K55, K9) 및 자주포 지휘차량(K77), 상륙돌격장갑차(KAAV)의 생산, 정비 및 유지부품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 화포분야에서 20미리 발칸포 사격제어부 공급을 시작으로 정부주도개발(국방과학연구소)에 참여하여 1975년 방산업체 및 방산물자지정(산자부, 국방부)을 받으며 현재까지도 육·해·공 각 군에 납품 중이다.

- 공항 직원관리 시스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생체인식 여권 사업 동의 정부 단위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동시에 민간 기업의 근태관리 시스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등을 기반으로 한 어플리케이션 납품을 진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무기 및 총포탄 제조업 99.36%, 보안서비스 개발 0.64% 등으로 구성된다.


2. 코리아에스이

- 동사는 1995년 1월 27일 SEEE 공법을 이용한 제품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한ㆍ일 합작법인(지분율 50% : 50%)으로 설립되었다.

- 영구앵커라 함은 토목공사에서 토압에 의한 위험이 예상되는 곳에 고하중의 인장력을 가하여 위험요인을 영구히 제거하여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시공되는 토목자재이다.

- 동사는 NEO블록, SA-FANCE의 매출신장을 위해 시장개척을 강화하고 있으며, 캠핑트레일러(카라반) 사업 및 부동산개발에 새롭게 진출하였다.

-동사는 부동산개발업, 강재, 강구조물 및 강제품의 제작 판매 수리업에 새롭게 진출 하였으며, 플랜트제작을 위한 당진공장은 가동을 시작하였다.

- 매출구성은 공사 53.22%, 제품 21.93%, 분양공사 20.63%, 기타 4.23% 등으로 구성된다.



3. 누리플랜

- 1994년 3월에 설립되어 경관조명, 경관시설제품을 생산, 판매, 설치하는 도시경관전문회사이며 주요 생산 제품은 방음벽, 차량방호울타리, LED조명등기구, 난간휀스, 보도육교 등이다.

- 사업부문은 경관조명, 경관시설이 있으며 사업다각화를 위해 안개/백연 피해방지,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 부문 등의 신규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 2016년 파워글라스 사업을 영위하는 파워글라스글로벌의 지분을 인수하였으며 기존 영업네트워크를 활용해 본격적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파워글라스 제품판매 및 적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 동사는 경관조명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이 점차 늘려가고 있으며, 실외 건축조명에 특화하여 지자체나 정부기관에서 발주하는 공모전에 높은 당선율로 국내 경관조명시장의 선도 역할을 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제품 60.31%, 공사 30.14%, 상품 7.24%, 용역료 수입 외 2.31% 등으로 구성된다.


4. 자연과환경

- 1999년 설립되었으며 지배회사인 동사는 환경생태복원사업, 조경사업, 환경플랜트사업, 친환경 PC사업, 기타 건축공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종속회사는 조림사업, 조경 자재 생산 및 수출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 오염된 토양을 지정된 장소(반입시설)로 이동하여 정화할 수 있는 시설을 보유한 업체가 약 20여개 사로 반입장 보유에 따른 경쟁력을 확보하며 보유시설 허가기준(환경부)으로 전국 4위에 종속회사가 위치한다.

- 조경/원예 부문의 주요 매출처는 국가기관인 국토관리청, 서울시청 등 공공기관이며 국가의 정책적인 방향에 영향을 받아 경기변동에 비탄력적이며, 안정적인 매출과 수익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 동사의 지오그린 다공성 식생블록은 자동화공장 대량생산 체계를 확립하여 기존의 콘크리트 제품에 비하여 가격우위의 제품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매출구성은 녹화공사, 수질정화 외 63.43%, 호안블록 및 투수블록 등 28.01%, 토양오염복원 5.84%, 조경원예 종자 및 자재 2.65%, 기타용 0.08% 등으로 구성된다.



5. 유진로봇

- 1993년 설립되어 2001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으며 청소 로봇, 유비쿼터스 홈 로봇, 군사용 로봇, 엔터테인먼트 로봇과 완구 및 캐릭터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주)유진로보틱스와의 합병 이후 지능형 로봇 등을 직접 제조해서 시장에 출시했다.

- 로봇 기술 개발이 공장의 생산 자동화에 주로 사용되는 산업용 로봇 대상이었으나 향후의 발전 방향은 일반 소비자들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지능형 서비스로봇이 그 주요 대상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 2011년도부터 필립스에 ODM(제조업자 개발생산방식)공급계약을 체결하여 현재 유럽 등 수출을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미국, 중국 등 전세계시장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매출구성은 완구부문 도소매 54.12%, 지능형 서비스 로봇 제조 45.62%, 기타 0.27% 등으로 구성된다.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