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 관련 주식은 참고만 하시고, 적극적으로 매매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1. 디지틀조선

  • 동사의 사업부문은 크게 인터넷 사업부문, 전산사업부문, 영상사업부문, 기타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 최근에는 미디어 환경변화에 발맞춰 조선일보와 공동으로 아이패드용 앱과 갤럭시탭용 앱(조선일보 뉴스 앱) 기획, 개발의 중요한 축을 맡고 있다.
  • "뉴스 기반의 지식네트워크"를 지향하는 조선닷컴은 랭킹닷컴 및 코리안클릭 등 제공하는 데이터에서 꾸준히 온라인뉴스분야 1위를 지키고 있다.
  • 동사는 CTS 즉, 컴퓨터를 이용한 신문제작과 정보시스템 개발 운영 및 컨설팅(SI) 사업, 거리의TV인 시티비전 사업 등 차별화된 전략으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인터넷사업 40.43%, 전산사업 29.37%, 영상사업 16.29%, 기타 14.13%, 연결조정 -0.22% 등으로 구성된다.


2. 전방

  • 동사는 1953년 2월 23일에 면,모,화합섬 및 각종 섬유사, 포 제조 가공과 의류 제조판매 등을 주 영업목적으로 설립했다.
  • 동사는 원가 절감 및 생산성의 증대를 위해 새롭게 익산공장을 준공하여 방적설비 101,184추의 신설비를 도입하여 가동하고 있다.
  • 섬유 제품의 경기는 소비자의 의류 선택 성향에 의하여 제품 특성이 변화하는 민감한 부문이기는 하나, 기본 품목인 면사에 대해서는 계절적 특성에 의하여 수요 패턴이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 동사는 고부가가치 특수사 및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신상품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시장을 확장하여 나갈 예정.설비부분에서 고생산성을 추구하고,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설비로 지속적으로 교체 보완중이다.
  • 매출구성은 섬유제품 제조 98.7%, 중고자동차 판매 1.3%으로 구성된다.


3. 유유제약

  • 동사는 1941년 2월 28일 유한무역주식회사로 설립되어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하고 있는 전문의약품 주력 회사이다.
  • 신약/개량신약/제네릭 의약품을 국내 병, 의원에 공급하며, GMP생산시설을 확보함으로써 국내 유수의 제약기업에 제품을 납품하는 수탁 사업과 동남아시아 등에 완제 전문 의약품을 수출하고 있다.
  • 주력제품으로는 타나민(뇌, 말초순환장애), 유크리드(혈전, 색전), 맥스마빌(골다공증), 유판씨 등이 있다.
  • 기술혁신과 제품개발, 선진제약업체와의 기술제휴, KGMP, KGSP제도, 의약분업제도, 실거래가 상한제, 약가 관리 등과 같은 정책상의 변화에 영업실적이 크게 영향을 받는 구조이다.
  • 매출구성은 의약품 85.24%, 건강기능식품 14.92%, 내부거래제거 -0.17% 등으로 구성된다.


4. 엔케이

  • 1984년 설립되어 2008년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었으며 주요 사업은 소화장치(고정식)부문, 밸러스트 수처리장치 부문, 해양플랜트 기자재 부문, 고압가스 용기부문이 있다.
  • 동사의 주요제품은 소화장치(고정식)이며 이는 선박건조에 소요되는 선체의장부의 부품 중 화재의 진압을 위하여 필요한 장치이다.
  • 환경규제와 관련한 IMO협약에 따라 선박의 배기가스 저감장치 및 순환식 배기가스세정시스템 장착 의무화로 신규 시장 매출 증가 기대된다.
  • 동사는 차세대 선박 추진연료인 LNG의 선박 대 선박 주유를 위한 설계 핵심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선박용 소화장치 55.82%, 고압 가스용기 20.93%, 밸러스트 수처리장치 20.1%, 해양플랜트 기자재 1.98%, 기타 1.17% 등으로 구성된다.


5. 조일알미늄

  • 1975년 설립되어 1988년 상장하였으며 Foil Stock과 Fin Stock 등 다양한 종류의 광폭 알미늄 압연제품을 생산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단일 사업부로 구성된다.
  • 현재 폭 1,750㎜의 광폭 압연제품을 생산하여 알미늄의 다양한 특성을 살린 각종 Foil재, Fin재, Condenser Case재, P.P Cap, 건축 내ㆍ외장재, 자동차용 소재, 전자부품 등의 소재로 공급중이다.
  • 제품 생산에 필요한 AL-INGOT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며 수입가격은 LME(런던금속거래소)가격과 환율에 의해 결정되고 있으며 동사는 국내 하이호 금속 등으로부터 제품 생산에 필요한 알미늄괴를 구입하고 있다.
  • 연속주조 라인과 슬래브(Slab)주조, 열간압연 라인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제품을 생산해 시장수요에 대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비 상의 장점을 바탕으로 신합금 개발과 접목시켜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알미늄판 99.94%, 알미늄판 임가공 0.06%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디스플레이 산업의 가장 큰 이슈는 OLED 대 QLED의 경쟁구도일 것입니다. 디스플레이 크기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모두 차세대 디스플레이 타이틀을 얻기 위해 고군분투중입니다.


국내에서 LCD TV를 주력으로 판매하는 기업은 삼성전자입니다. 삼성전자의 프리미엄 TV 브랜드 QLED TV는 LCD에 퀀텀닷 소재를 사용한 제품인데요. 반면 LG전자는 OLED TV 진영을 이끌면서 삼성과 대립 구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QD LCD 디스플레이의 주요 채용 영역은 TV, 컴퓨터 모니터, 태블릿, 마이크로LED 등입니다. 반면 OLED 적용 분야는 TV, 모바일, 플렉시블 및 커브드 디스플레이 등이죠. 두 기술의 각기 다른 이점으로 인해 컴퓨터 모니터는 LCD, 스마트폰은 OLED 채용이 늘며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지만 TV는 두 기술의 채용이 고루 이뤄지는 분야입니다. 


전문가는 "점유율을 봤을 때 고가 제품에서는 OLED TV가 퀀텀닷 제품을 앞서고 있다. 하지만 중저가 영역에선 QLED가 가격이 더 낮은데다 75인치 이상 제품에서 강점이 있다"며 "두 기술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는데요. 이전에 살펴본 OLED 관련 기업들에 이어서 오늘은 QLED관련 기업들을 살펴보려 합니다.


 


1. 삼성전자

- 1969년 설립 된 글로벌 기업으로, 주요사업은 CE부문(TV, 냉장고 등)과 IM부문(컴퓨터, HHP 등), DS부문(DRAM, 모바일AP, LCD, OLED 등), Harman(인포테인먼트 등)으로 구성된다.

- 지역별로는 본사를 거점으로 한국 및 CE, IM부문 산하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산하 해외 5개 지역총괄의 생산, 판매법인 등 270개의 동종업종을 영위하는 종속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 IM부문은 프리미엄 브랜드 갤럭시를 필두로 소비자 친화적이며 혁신적인 제품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Samsung Pay와 같은 Mobile Payment, Cloud 등 미래 성장 투자를 지속하고있다.

- 반도체 사업 부문에서 NAND의 경우, 경쟁사 대비 앞선 기술력을 확보한 Vertical NAND를 4세대 적층 제품을 본격 양산하고 있으며, 이를 고성능 SSD에 탑재하여 프리미엄 시장에 적극 진입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IM 44.42%, 반도체 30.92%, CE 18.79%, DP 14.35%, Harman 2.96%, 기타 -11.44% 등으로 구성된다.



2. 상보

- 동사는 디스플레이용 필름 사업, 윈도우필름 사업, 미디어/필름, 신소재 사업 등을 영위. 1977년 7월에 설립. 2007년 10월 코스닥시장 상장했다.

- LCD광학필름 사업군, 차량용/건축용 윈도우필름 사업군/ 미디어, 산업재필름 사업군/ 양자점필름, 투명전극 필름, 그래핀배리어 필름 등을 생산 및 판매하는 첨단나노소재 사업군으로 구분된다.

- TV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가 점차 대형화되고 고화질, 고선명을 요구하는 시대적 추세와 더불어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은 고성능 모바일기기의 등장으로 광학필름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30년 동안 축적되어온 프린팅 및 코팅기술은 동사의 큰 자긍심으로 미디어제품용 필름의 색상 재현성 및 품질 안정도는 메이저 회사들로부터 그 신뢰성을 인정받아 전세계 시장에서 시장 선두기업으로 자리잡았다.

- 매출구성은 광학필름 75.05%, 윈도우필름, 미디어필름, 산업재 필름 20.95%, 기타 3.99% 등으로 구성된다.


3. 한솔케미칼

- 동사는 라텍스, 과산화수소, 요소수지, PAM(고분자응집제), 차아황산소다 등의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는 업체로 1980년 3월 13일 설립되었으며 동사 포함 67개의 계열사 보유중이다.

- 주요 제품은 제지, 반도체용 정밀화학제품, 제지/환경제품, 전극보호용 전자소재 제품, 목재접착용 기타제품, 가성소다 상품이 있다.

- 과산화수소는 과거 주 수요처였던 제지(신문용지), 섬유 부문은 관련 산업의 침체로 인해 수요가 정체되어 있으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부문의 수요 증가에 의해 꾸준히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다.

- 동사는 라텍스 부문에서 43%, 차아황산소다 부문에서 64%, BPO 부문에서 65%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 매출구성은 정밀화학 47.02%, 제지/환경 25.95%, 전자소재 19.01%, 상품 5.56%, 기타제품 2.05%, 기타 0.41% 등으로 구성된다.



4. 아이컴포넌트

- 동사는 평판디스플레이용 부품 제조 및 관련된 연구 및 개발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2000년 5월 12일에 설립. 2008년 12월 16일 코스닥시장 상장했다.

- 부품소재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현재는 코팅부문에서 배리어코팅 필름제품과 일반기능성 코팅 제품을 생산 중이며, 압출생산 분야에서는 도광판, 박판 PC Film, PMMA Film 등 광학필름을 생산중이다.

- 동사가 영위하는 부품소재산업은 기술력을 확보하는데 상당 기간이 필요하고 한번 축적된 기술 역량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 확장성이 높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압출 도광판 분야에서는 꾸준하게 성장하는 긍정적인 흐름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선행 연구개발을 꾸준히 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PC 61.31%, COATED(COP,PET) 23.16%, COATED(PC,PMMA) 8.74%, 제품기타 3.51%, PMMA 2.58%, 기타 0.69%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03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애플이 집중하는 차세대 기술, 마이크로 LED 관련 주식 모음

2018/03/13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OLED 관련 주식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daily.hankooki.com/lpage/ittech/201804/dh20180419145538138240.htm



2018년 주요 낸드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제조사의 3차원(3D) 제품 생산 비중이 절반 이상을 넘어섰습니다. 현재 주력인 4세대(64~72단)를 넘어 5세대(96단) 낸드플래시 기술 개발 및 양산 경쟁이 본격적으로 펼쳐질 전망인데요. 


기존 낸드플래시는 평면(2D) 구조에서 미세공정을 발전시켜 같은 공간에 더 많은 데이터를 담을 수 있도록 발전해왔습니다. 하지만 반도체 미세공정이 10나노미터(㎚, 10억분의 1m)대에 접어들면서 좁은 면적에서 집적도를 높이는 데 한계에 봉착했죠. 3D 낸드플래시는 평면 구조의 반도체를 수직으로 쌓아 올려 집적도를 높이는 방식을 따릅니다. 회로를 쌓아 올리는 단 수가 많아질수록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것이죠. 


2D 낸드플래시가 1층 주택이라면, 3D 낸드플래시는 아파트인 셈인데요. 층수가 높을수록 같은 공간 대비 더 많은 용량을 담을 수 있고, 성능과 전력 효율도 높아집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클라우드, 빅데이터, 가상현실(VR) 등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에서 낸드플래시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3D 낸드플래시가 고부가 제품으로 급부상했습니다.  오늘은 이 3D 낸드플래시와 관련된 기업들을 알아보려 합니다.



1. 삼성전자

- 1969년 설립 된 글로벌 기업으로, 주요사업은 CE부문(TV, 냉장고 등)과 IM부문(컴퓨터, HHP 등), DS부문(DRAM, 모바일AP, LCD, OLED 등), Harman(인포테인먼트 등)으로 구성된다.

- 지역별로는 본사를 거점으로 한국 및 CE, IM부문 산하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산하 해외 5개 지역총괄의 생산, 판매법인 등 270개의 동종업종을 영위하는 종속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 IM부문은 프리미엄 브랜드 갤럭시를 필두로 소비자 친화적이며 혁신적인 제품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Samsung Pay와 같은 Mobile Payment, Cloud 등 미래 성장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 반도체 사업 부문에서 NAND의 경우, 경쟁사 대비 앞선 기술력을 확보한 Vertical NAND를 4세대 적층 제품을 본격 양산하고 있으며, 이를 고성능 SSD에 탑재하여 프리미엄 시장에 적극 진입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IM 44.42%, 반도체 30.92%, CE 18.79%, DP 14.35%, Harman 2.96%, 기타 -11.44% 등으로 구성된다.


2. SK하이닉스

- SK그룹에 속한 동사는 DRAM과 NAND Flash 및 MCP(Multi-chip Package)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 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는 글로벌 종합 반도체 회사이다.

-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저 용량부터 고용량까지 다양한 단품 및 응용 복합 제품을 기반으로 고객의 수요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응용 분야별 선택과 집중을 통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고 시장 지배력을 확대 중이다.

- 서버 메모리는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의 성장세 유지로 지속적인 수요 증대가 전망 되며 AI와 머신 러닝의 성장이 본격화되면서 High Bandwidth 및 High Density 메모리 수요 증대가 전망된다.

- HBM 2세대 제품 개발에 성공 2018년 하반기 대량 생산, 세계 최고 속도의 20나노급 8Gb GDDR6 그래픽 D램을 개발하여 최고급 그래픽 카드 예상 출시 시점인 2018년초에 맞춰 제품을 양산할 계획이다.

- 매출구성은 반도체 부문 100% 이다.



3. 원익IPS

- 동사는 인적분할로 설립된 신설회사로 2016년 5월 재상장하였으며, 분할 전 회사인 원익홀딩스가 영위하던 사업 중 반도체, Display 및 Solar 장비의 제조사업부문을 담당하고 있다.

- 반도체 기술의 발전속도 및 반도체의 세대 교체가 주기적으로 진행되므로 장비의 평균 기술 수명은 약 5년 정도이며, 지속적으로 차세대 디바이스의 생산에 적합한 장비의 개발이 필요하다.

- 동사는TFT-LCD 공정 중에 TFT-Array 공정에 Dry Etcher 장비를 주로 납품하며,TFT Backplane 공정상 필요한 Dry Etcher 장비의 경우 양산장비로 납품을 진행하고 있다.

- 대체에너지 및 청정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태양광전지 양산장비를 생산하는 Solar 사업부문은 시장확대에 따라 인력 및 시설을 확충하고 있으며 국내 태양광전지 양산업체와 JDP 등을 통한 제품 다양화를 준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제품 92.1%, 상품 및 용역 7.9% 등으로 구성된다.


4. 피에스케이

- 동사는 현재 반도체장비(전공정 및 패키징 장비)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1990년 6월 11일 설립되었으며, 1997년 1월 7일 KRX코스닥시장 상장, 동사를 포함한 계열회사는 총 8개이다.(비상장7개, 상장1개)

- 국내에서는 반도체장비를 제조, 판매 및 부품 판매, 기술서비스를 총괄하며, 해외에서는 미국 지역과 동남아시아 지역, 일본지역에서 반도체장비 분야 마케팅, 부품판매, 기술서비스를 제공중이다.

- Dry Strip장비분야 세계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을 확고히 하면서, 세계 시장 점유율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2012년 19%, 2016년 37%)중이다.

- 동사의 주력 장비인 Dry Strip 시장은 2014년부터 성장률은 3D Device 기술 도입에 따라 전체 반도체장비 시장 성장률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 매출구성은 Post etch treatment 류 외 79.26%, 기타 20.74% 등으로 구성된다



5. 유진테크

- 동사는 반도체의 박막을 형성시키는 전공정 프로세스 장비를 개발, 생산하는 반도체 전공정 장비 업체로 동사의 제품은 화학기상증착 기술 분야에 쓰인다.

- 전세계 반도체증착장비 시장에서 국내장비업체의 국산화율이 현저히 낮은 상황에서 세계 굴지의 반도체 소자업체의 검증을 받아 핵심 장비로 사용된다.

- 하이닉스반도체, 삼성전자 외 대만과 미국 등에도 매출처를 보유하고 있으며, 반도체장비 사업영역확대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원자층증착장비(ALD)/화학기상증착장비(CVD) 사업부문을 양수하여 현지법인을 두고 있다.

- 주력 제품으로 개발 중이거나 개발이 완료되어 반도체 웨이퍼 제조기술에 적용하고 있는 분야는 화학기상증착기술로,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핵심을 담당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LPCVD장비 외 85.63%, 상품 및 기타 14.37% 등으로 구성된다.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it.chosun.com/news/article.html?no=2850757

정치테마주는 인물과 주가 사이에 명확한 연결고리가 없는 만큼 재미삼아 참고 자료 정도로 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1. 국일신동

- 1993년 설립되어 2014년 코스닥에 상장된 이구산업 계열의 동합금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비철금속 업체이다.

- 주요 생산품은 황동봉이며, 그 외 철동합금코일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축적된 기술과 연구개발을 통해 저원가 생산체제를 구축하여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 기존 동합금제품과 관련한 품목다양화를 위해 동볼, 무연 및 고력황동, Ni Strike Plating 및 Sn Plating 개발 등의 고부가 제품을 개발했다.

- 2016년 11월 "고내마모성 동합금 소재 및 그 제조기술"개발 및 기술 이전계약을 체결 하였으며 "고강도 내마모성 다용도 동(Cu) 합금의 이형중공봉 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 매출구성은 황동제품 77.5%, 압연외 10.6%, SLAB 5.82%, 철동합금코일 5.67%, 동제품 0.43% 등으로 구성된다.


2. 인터엠

- 동사는 산업용 음향기기(P.A. SYSTEM) 및 프로 음향기기(S.R. SYSTEM)등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 산업용 음향기기는 호텔, 관공서, 빌딩, 체육관, 학교 등에서 사용하며 종류로는 Power Amp, Sound Source, Effector, Speaker 등이 있다.

- 프로 음향기기는 콘서트 홀, 강당, 방송국, 대형 교회 등에서 사용하며 종류로는 Professional Amp, Professional Mixer, Professional Speaker 등이 있다.

- PA(전관방송시스템) 부문에서의 인터엠 시장 점유율은 약 60%로서 독보적이며, 산업용 음향영상기기 부문의 상장기업은 동사가 유일하다.

- 매출구성은 P.A SYSTEM 34.37%, 공사 32.27%, 임대료외 15.24%, 상품 7.74%, S.R SYSTEM 7.57%, 기타(영상기기외) 2.81% 등으로 구성된다.



3. 솔고바이오

- 동사는 1995년 설립되어 척추, 골절, 인공관절용 생체용금속(임플란트), 외과용 수술기구, 온열전위자극기 및 온열매트 등 헬스케어 제품을 제조ㆍ판매하는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 병원에서 의료 및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료장비 및 각종 의료기기를 제조 및 판매하는 메디칼 사업부문과 수소수기, 건강기능 및 증진식품, 건강보조 용품 및 기구 등을 제조, 판매하는 헬스케어 사업부로 구분된다.

- 생체용금속은 동사의 주력사업으로 주로 정형외과 및 신경외과를 대상으로 미세골절을 포함한 일반골절용, 척추고정장치, 고관절, 슬관절제품을 제조 및 수입하여 공급하고 있다.

- 수소수의 경우 수소수생성기를 포함하여 정수기타입까지 총 10여종을 개발 및 시판하고 있으며, 정수기타입의 수소수기 리스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약 1천개 이상의 리스계약을 유지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헬스케어 53.72%, 메디칼 46.28% 등으로 구성된다.


4. 디젠스

- 자동차부품 등의 제조 및 판매업을 주사업으로 영위하고 2006년 2월 1일 디에이치코리아 주식회사의 자동차부품 제조 부문의 물적 분할 방식으로 설립, 2012년 5월 동원테크주식회사에서 디젠스주식회사로 회사명을 변경했다.

- 주요 사업은 자동차의 환경 유해 배기가스를 정화하고 소음 및 진동을 줄이는 배기계시스템(Exhaust System)의 주요 구성품인 소음기(Muffler)의 개발 및 제조이다.

- 동사는 한국지엠, 르노삼성, 한국닛산 등을 주요 매출처로 두고 있다.

- 완성차업체의 신차종 개발 단계와 동시에 개발이 이루어져 해당 차종의 단종 시까지 완성차업체로 납품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한번 수주가 결정되면 공급업체의 변동이 있을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 매출구성은 Muffler 100% 이다.



5. 제이티

- 동사는 1998년 7월 7일 설립되었으며, 반도체 검사장비 관련 사업과 산업용 특수가스 및 가스설비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다.

- 번인소터(burn-in sorter)의 경우는 국내시장에서는 전량 납품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100%에 가까운 시장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 반도체 디스플레이 구동 칩 (DDI) 자동 분류 장비와 출하 전 반도체의 최종 외관검사 System 영역으로도 기술력과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 향후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FOWLP, WLCSP 및 범용 Handler 장비, LASER 영역으로 본사 R&D 역량을 집중하여 전개해 나가고 있다.

- 매출구성은 반도체장비 93.76%, 산업용 특수가스 등 6.18%, LED장비 0.06% 등으로 구성된다.

올 1분기 세계 생명공학 및 제약 벤처 투자 가운데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 개발 업체가 특히 흥행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피밴티지에 따르면 지난 분기 세계 생명공학 제약 분야에 벤처 자금은 총 43억달러 규모로 신기록을 갱신했다고 하네요. 금액은 커졌지만 건수로는 97건으로 감소해 투자에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나타냈습니다. 이에 따라 평균 자금조달 규모도 4570만달러로 작년의 2990만달러에 비해 불어났습니다. 1분기 세계적인 투자이슈로 선정된 '유전자 치료'와 관련된 기업들을 정리해보려합니다.




1. 바이로메드

- 1996년에 설립되어 2005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으며 바이오의약품 사업과 천연물의약품 사업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바이오의약품 사업부문과 천연물의약품 사업부문에서 국내/외 제약사에게 기술이전을 통한 수익, 의약품 판매 로열티, 제품의 직접판매, 기능성 원료의 판매 활동 등을 통해 수익 발생한다.

- 동사는 바이오신약과 천연물의약이 개발중이며 건강기능식품(알렉스, 무르핀, 공신보감 등)에 대한 직/간접판매(약국, 자사 온라인 쇼핑몰 및 제휴쇼핑몰 등) 실적이 주요 상품매출로 인식된다.

- 바이오의약품 사업부문에서 DNA 기술을 기반으로 한 VM202, VM206과 재조합 단백질을 기반으로 한 VM501이 현재 임상시험 단계에서 개발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기술이전 55.14%, 건강식품상품 40.74%, 연구용역 4.12% 등으로 구성된다.


2. 코오롱생명과학

- 2000년에 설립되어 2009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원료의약, 의약중간체, 항균제, 화학소재, 수처리제 등의 생산 및 바이오신약 연구개발 등을 영위하는 코오롱그룹 계열사이다.

- 케미컬 합성 기술을 바탕으로 의약사업과 환경소재사업, 워터솔루션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업의 견조한 성장을 바탕으로 회사의 신성장동력인 바이오신약사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 세포유전자 치료기술을 바탕으로 골관절염 치료제인 `티슈진-C`(브랜드명 인보사케이주)의 임상3상을 완료하고 2017년 7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품목 허가를 획득하여 본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 암과 관련하여 암백신 치료제(KLS-1010), 암통증치료제(KLS-2010), 항암제(KLS-3010)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체 개발 이외에도 향후 임상 단계에 있는 유전자치료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 매출구성은 환경소재사업 58.71%, 의약사업 40.6%, 바이오사업 0.7% 등으로 구성된다.



3. 제넥신

- 동사는 1999년 설립된 신약 연구개발 기업으로, 항체융합단백질 제조 및 유전자 치료백신 제조 원천기술을 국내 제약사에 이전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치료백신은 고효능 발현벡터를 이용하여 체내에서 특정 항원 유전자와 면역증강 유전자를 발현시켜 암과 같은 만성 질환을 치료하는 새로운 기술로 현재 자궁경부전암 등 난치성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 hybrid Fc 원천기술은 호르몬, 펩타이드, 사이토카인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지속형 제품개발에 적용이 가능한 기반기술로, 다양한 단백질치료제에 폭넓게 적용되어 연구개발 및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 2017년 12월 31일 기준 성장호르몬 결핍증 치료제인 GX-H9 (hGH-hyFc)의 한국, 유럽 임상 2상 완료와 빈혈치료제인 GX-E2 (EPO-hyFc)의 한국 임상 2상 완료 등의 실적이 있다.

- 매출구성은 기술이전 50.14%, 연구용역 46.86%, 기타상품매출 2.56%, 기술재산권 0.45% 등으로 구성된다.


4. 진원생명과학

- 동사는 의류용 심지 전문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의약품 개발 및 제조, 판매의 사업도 함께 영위중이다.

- 바이오의약품 CMO 사업은 유전자치료제 및 플라스미드 DNA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지점인 VGXI USA를 통해서 판매 중이며 신약개발사업은 DNA백신사업과 플라스미드 기반 차세대 바이오 신약사업으로 나뉜다.

- 동사는 바이오의약품 CMO 시장이 2012년 30억 달러 규모로 추정되며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연평균 9.4%의 성장률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어 동기간의 바이오의약품이 시장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 이노비오로부터 에볼라 DNA백신의 후보 물질과 비임상연구 관련 결과물을 제공받았고 시료생산 및 비임상 연구를 완료하는 중에 15년 4월, 2년간 최대 611억원을 지원하는 미국 국방부 지원 에볼라 퇴치프로젝트에 참여했다.

- 매출구성은 각종 심지의 제조 및 판매 41.74%, 의약품,원료의약품 제조 및 판매 38.52%, 각 사업에 관련된 사업 16.75%, 로열티등 3% 등으로 구성된다.



5. 랩지노믹스

- 2002년 설립되어 2014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체외진단서비스 및 체외진단제품의 개발 및 공급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이다.

- 동사가 보유하고 있는 높은 수준의 유전자 분석기술을 바탕으로 DNA칩, 바이오센서, POCT, 진단 kit 등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는데 기업의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 국내 최초로 개발한 20여 종의 첨단 분자 진단검사 외에도 암, 유전질환 등 여러 분야에 이르는 진단검사법을 개발하고 있으며 검사에 소요되는 각종 키트를 자체 제조하여 가격경쟁력도 갖추고 있다.

- 삼성서울병원과 제휴하여 국내 최초로 셋업한 열성유전질환 5종 검사는 5가지 호발 열성 유전질환의 스크리닝검사를 MALDI-TOF MS 및 Real time PCR 기술을 이용하여 산전, 산후 검사로 제공중이다.

- 매출구성은 일반진단 검체분석 등 용역 49.46%, 분자진단검사서비스 32.22%, 유전자분석 18.25%, 건강기능식품외 0.07%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258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