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재무제표를 읽는 법을 공부하고자 이 카테고리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저와 같은 초보분들과 함께 공부하는 공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모두들 열공하시고 부자되세요^^





1. 재무제표 vs. 재무상태표 vs. 손익계산서

  • 재무제표: 기업의 재무상태나 경영성과 등을 보여주는 문서. 기본적인 재무제표로는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가 있다. 
  •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재무제표의 한 종류

2. 재무제표의 종류(1) - 재무상태표



3. 재무제표의 종류(2) - 포괄손익계산서



4. 재무제표의 종류(3) - 자본변동표




5. 재무제표의 종류(4) - 현금흐름표





※ 함께보면 좋은 글


※ 참고자료

(1) https://ko.wikipedia.org/wiki/%EC%9E%AC%EB%AC%B4%EC%A0%9C%ED%91%9C

(2) http://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dongguk/ohjongmoon1/3-2.pdf



1. 주가수익률 (PER) 의미

  • Price Earnings Ratio
  • 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


2. PER(주가수익률) 공식 이해하기

  • PER = 주가 ÷ EPS
  • = 주가 ÷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수 )




3. PER(주가수익률)의 기본적 해석

  • 특정 기업이 얻은 순이익 1원을 증권 시장이 얼마의 가격으로 평가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수치
    • PER = 1.0 일 경우 순이익 1원이 주가 1원으로 시장에서 평가되고 있다고 해석가능
  • 해당기업의 순이익이 주식가격보다 크면 클수록 PER가 낮게 나타난다.
  • 따라서 PER가 낮으면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다는 것이므로 그만큼 기업 가치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돼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 반대로 PER이 높으면 이익에 비하여 주가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 업종별로 차이가 있고 절대적인 기준이 없지만 일반적으로 PER가 10 이하(주가가 1주당 순이익의 10배이내)일 경우 저PER주로 분류된다.


4. PER이 높은 경우의 해석 (고PER)

①주당순이익은 평균수준이지만 주가가 높은 경우

  • 현재 이익보다 주가가 높다는 뜻
  • 시장에서 장래성을 인정받고 성장하는 기업
  • 주로 첨단기술주

②주가는 평균수준이지만 주당순이익이 낮은 경우

  • 경영에서 이익(주당순이익)이 낮기 때문에 PER가 높아진 경우


5. PER이 낮은 경우의 해석 (저PER)


모든 저PER 종목이 좋은 저평가 주식이 아니라는 관점에서...

①주당순이익은 평균수준이지만 주가가 낮은 경우

  • 전자의 경우 모기업 부도 등 외부요인이 많음


②주가는 평균수준이지만 주당순이익이 높은 경우 경우로 나눌 수 있다. 

  • 주식발행 물량이 적은 경우
  • 성장에 한계가 있거나 업계 경기 부진예상(예상수익률) 등의 영향이 있는 경우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6/12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용어) EPS(주당순이익) 란 무엇인가

2018/05/25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용어) 컨센서스란 무엇인가

2018/06/02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모멘텀(Momentum)의 의미와 보조지표의 해석



※ 참고자료

(1) https://ko.wikipedia.org/wiki/%EC%A3%BC%EA%B0%80%EC%88%98%EC%9D%B5%EB%A5%A0

(2)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4741&cid=43667&categoryId=43667


per RATIO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요즘 재무제표를 이해하는 것에 대해 관심이 많은데요. 각종 줄임말로 가득한 재무제표를 보면 어디서부터 이해해야할지 갈 길이 멀게 느껴집니다. 제가 하나씩 이해해가는 용어들을 이곳에도 정리해둘테니, 저와같은 초보자님들은 한번 살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EPS부터 시작하겠습니다^^





1. 주당순이익(EPS)의 의미

  • Earnings Per Share
  • 기업이 1주당 얼마의 순이익을 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2. EPS 공식 이해하기

  • EPS = (순이익 - 우선주배당금) / 가중평균유통 주식수
  • 즉, EPS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수


3. EPS 해석

  • EPS가 높을수록 주식의 투자 가치는 높다고 볼 수 있다. EPS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경영실적이 양호하다는 뜻이며, 배당 여력도 많으므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EPS는 당기순이익 규모가 늘면 높아지게 되고, 전환사채의 주식전환이나 증자로 주식수가 많아지면 낮아지게 된다. 
  • 최근 주식시장의 패턴이 기업의 수익성을 중시하는 쪽으로 바뀌면서 EPS의 크기가 중요시되고 있다. 또한 주당순이익은 주가수익비율(PER)계산의 기초가 되기도 한다.

※ 함께보면 좋은 글들

2018/02/22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확실한 종목이 없을때는 지수를 따라가는 인덱스펀드 추천

2018/06/02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모멘텀(Momentum)의 의미와 보조지표의 해석

2018/05/14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MFI(Money Flow Index) 보조지표, 가격과 거래량을 동시에 반영



※ 참고자료

(1) https://ko.wikipedia.org/wiki/%EC%A3%BC%EB%8B%B9%EC%88%9C%EC%9D%B4%EC%9D%B5

(2) http://www.itooza.com/common/iview.php?no=2008032621054523490

(3) http://snowasset.tistory.com/4

(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4510&cid=43667&categoryId=43667


EPS RATIO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1. 모나코의 발행

법인명 : Monaco Technology GmbH

소재지 : 홍콩

설립일 : 2016년 6월

코인 최초발행 : 2017년 6월


2. 실물 VISA 카드 결제 매체로써의 모나코 코인

ㅇ 전 세계 4천만개 이상 비자카드 가맹점에서 암호화폐로 결제 지원

ㅇ 모나코 앱을 통해 가상 화폐를 구매·교환·소비 가능

ㅇ 여러 암호화폐 중 사용자가 골라서 결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멀티커런시 월렛을 지원

*현재 비트코인, 이더리움, 모나코 지원

ㅇ 사용자가 선택한 암호화폐 거래 시세에 따라 실시간 결제가 이뤄지는 방식

ㅇ 환전 수수료 없이 가상화폐에서 법정통화로 사용 가능 (해외 결제 시 환전수수료 발생하지 않음)

*가상화폐에서 법정 통화로의 모든 환전은 사용자가 비자 가맹점에서 거래하기 전 모나코에 의해 관리될 예정



3. 빗썸 상장 검토 보고서 중 일부 발췌

  • 이미 예전부터 전통적인 지불수단을 대체하는 수단으로 다양한 시도는 많이 존재하였으나 기술적인 성숙도, 마켓에서의 활용방안 등이 다소 미흡하여 기대만큼의 성과를 내기 어려웠다. 하지만, 암호화폐시장의 성장으로 암호화폐가 주요 결제 수단으로 급 부상 중에 있으며, 모나코와 같은 유사한 프로젝트 등이 시도되고 있다.
  • 모나코는 실물경제에서 암호화폐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모바일 앱과 비자카드를 통합한 서비스를 준비 중에 있다. 2017년 6월 ICO이후, 10월 Visa로부터 승인 받은 카드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이렇다 할 성과가 없었으나, 최근 3월에 Wallet App 출시 및 클로즈드 베타 프로그램(Closed Beta Program) 가동, 이더리움 기업연합 가입 등을 시작으로 활발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또한 2분기 카드 배포를 목표로 노력 중에 있다.
  • 하지만 아직까지 토큰보유자들에 대한 보상 계획이 공식 발표된 바 없다는 점은 앞으로 모나코가 고민해야 할 과제로 보인다.
  • 아직 전세계적으로 암호화폐 카드 결제시장을 누구도 선점했다고 보기 어렵다. 시장에서 실제로 얼마만큼 활용될 수 있는지, 고객이 받아들일 수 있는 환경 및 서비스가 잘 갖춰졌는지 등이 향후 성공 여부를 가져올 것이며, 이런 경쟁속에서 모나코가 보여줄 변화에 주목해 볼만 하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6/09 - [▶ 왕초보 가상화폐 공부/암호화폐 종목별 정리] - 비트코인 캐시의 기본적 특징

2018/06/04 - [▶ 왕초보 가상화폐 공부/암호화폐의 개념원리] - 리플의 기본적 특징들

2018/06/04 - [▶ 왕초보 가상화폐 공부/암호화폐의 개념원리] - 포크란 무엇인가? - 소프트포크와 하드포크



※ 출처

(1) https://steemit.com/kr/@dootyfree/monaco-coin-mco

(2) http://bithumb.cafe/archives/26458


MONACO COIN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요즘은 시간이 날때마다 산업분석리포트를 읽어보며 조금씩 경제용어들을 익혀보고 있는데요. 주식시장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 중 하나가 '모멘텀'이었습니다. 모멘텀의 의미와 해석은 어떻게 하는것이 좋을까요? 제가 공부하며 필요하신 분들께 나누기 위해 포스팅을 준비해봤습니다.


1. 모멘텀(Momentum)의 사전적 의미

영어사전에서 Momentum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a. (일의 진행에 있어서의) 탄력

b. 가속도

c. 운동량



2. 보조지표로써의 모멘텀(Momentum)

0선을 기준으로 움직이며 현재의 종가가 n일 전의 종가보다 크면 0선 위에, 작으면 0선 아래에 모멘텀 라인이 그려집니다. 보통의 기본설정값은 10일로 되어있는데 단기트레이더는 5일, 중기 트레이더는 40일을 기준으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모든 보조지표가 그렇듯이 n값이 커질 수록 둔감해집니다.


이를 통해 0선을 돌파할 때는 매수, 0선을 이탈할때는 매도신호로 활용하는데요. 단순히 시그널만 확인하기 보다는 주간차트를 통해 주가추세를 확인하여 추세와 역행하는 매매신호는 무시하는 점검이 필요합니다.



3. 보조지표 모멘텀의 다이버젼스

특히 주가가 천정인지의 여부를 파악하는데 유용합니다. 모멘텀은 고점을 낮추고 있는데, 주가는 고점을 높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면 약세 다이버젼스로 매도를 고려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4. 경제용어로써의 모멘텀(Momentum)

한계변화율의 의미를 가집니다. 주가가 상승추세를 형성했을 때 '얼마나 가속을 붙여서 움직일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하는데요. 즉, 주가를 움직일 수 있는 자극이 있냐 없냐를 나타내는 것으로 액면분할, 신사업진출, 증자발표, 정부의 정책발표 등이 이에 해당하는 이슈입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25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용어) 컨센서스란 무엇인가

2018/05/14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MFI(Money Flow Index) 보조지표, 가격과 거래량을 동시에 반영

2018/04/30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기술적 분석 지표로 수익내기 - 스토캐스틱



※ 참고자료

(1) https://namu.wiki/w/%EB%AA%A8%EB%A9%98%ED%85%80

(2) http://traderk10.tistory.com/120

(3)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od4643&logNo=220648227694&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