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얼마전에 매주 투자금을 늘려가는 투자계획을 세웠습니다. 소액이지만 용돈을 재밌게 모으는 정도로 진행될 것 같습니다. 5월 둘째주부터 시작해서 지난 주에 2종목을 구매하였습니다. 실투 내용은 좋은 성과를 얻으면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구매할 종목을 찾다보니 지표들에 도움을 받게됩니다. 가격을 기준으로 한 지표의 도움을 얻고 매수할 종목을 추렸는데 단 하나의 종목으로 추리기 위해서는 거래량을 파악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전체거래량의 단순거래도 좋지만, 거래량 강도를 이해해볼 수 있는 보조지표로 MFI 라는게 있더군요. 제가 공부하는 김에 함께 이해해보려 내용을 작성해봅니다.




1. MFI란 무엇인가 (지표의 정의와 이해)

  • MFI (Money Flow Index)는 자금의 유입과 유출을 측정하여, 가격의 추세전환 시기를 예측하거나 가격의 과열 및 침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 흔히 상대강도지수라고 불리우는 RSI (relative Strength Index)와 비교를 하는데 RSI가 계산식에서 주가만을 사용한데 반해 MFI는 거래량을 반영해서 RSI에 비해서는 좀더 입체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MFI 지표를 구하는 방법, 공식

MFI는 '머니플로우MoneyFlow'라는 값을 통해서 구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머니플로우를 구하는 과정에서 기준가격과 거래량, 두 가지를 모두 고려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 MFI 지표 차트의 설정




  • [인피니트헬스케어]의 180일간의 일봉차트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공부했던 볼린져밴드와 함께 MFI보조지표를 설정해보았습니다.

4. MFI 지표의 기본 이해

네이버블로거이신 핑크캣님의 포스팅을 참고하여 [80,20] 구간에서는 강조색이 나오고, [65,35] 구간에서는 기본색이 나오도록 설정했습니다. 이 두 가지의 차이는 [80,20]구간이 [65,35]구간에 비해 거래량을 동반하며 매도 혹은 매수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 [80이상의 구간] : 주가가 거래량과 함께 과도하게 과열되어 있습니다. 적극적으로 매도를 준비할 타이밍입니다.
    • [65이상의 구간] : 주가가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매도를 준비해 볼 타이밍입니다.
    • [35이하의 구간] : 주가가 침체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매수를 준비해 볼 타이밍입니다.
    • [20이하의 구간] : 주가가 거래량과 함께 과도하게 침체되어 있습니다. 적극적으로 매수를 준비할 타이밍입니다.


5. MFI 지표의 응용 이해

50선을 활용하여 조금 더 세밀한 매수/매도 타이밍을 잡는 방법입니다.

    • 주가가 침체권에 진입한 뒤 이 영역을 상향 이탈한 뒤 50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시점으로서의 확인입니다.
    • 주가가 과열권에 진입한 뒤 이 영역을 하향 이탈한 뒤 50선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시점으로서의 확인입니다.
    • 한편 MFI는 다른 지표는 약세를 보이고 있는데 상승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는 주가 하락기에 매집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매수시점 포착 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 참고자료

(1) http://www.daishin.co.kr/ctx_kr/sc_educenter/sg_online_edu/svc_sys_trading/technicalSchool/analysis06_03.html

(2)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ijrhee&logNo=220626360757&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3) https://booja.blogspot.kr/2012/11/mfi-money-flow-index.html


1. 삼성전자의 액면분할

1주당 200만원을 넘어 대표적인 황제주로 불렸던 삼성전자가 이번 주 액면분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오늘(30)부터 3거래일간 501 액면분할을 위해 거래를 정지하는데요. 액면분할을 하는 이유와 액면분할로 기대되는 전망은 어떠한지 이번 포스팅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액면분할을 하는 이유

삼성전자가 액면분할을 하는 이유는 주가 저평가에 대한 우려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200만원대로 높은 주가를 기록하고 있지만, 이 거래액 자체도 삼성전자의 실적에 비해서는 낮은 가격인데 이런 상태로 300만원대로 간다면 기업의 또 하나의 시장인 주식시장에서 수급심리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액면분할이 기업 펀더멘털에 미치는 영향은 없지만 현재 삼성전자의 주가수익률(PER)은 올해 실적 기준 6.4배 수준으로 과도하게 저평가되어 있다사상 최대 실적과 주주환원 정책, 그리고 액면분할에 따른 거래량 증가까지 고려할 때 더이상 과소평가될 이유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반도체 사업 환경을 둘러싼 우려를 불식시킨 점도 투자심리 개선에 영향을 줬고, 2분기 반도체 부문에서 낸드(NAND) 가격은 10% 하락하면서 영업이익이 감소하겠지만 D램은 가격이 오르고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이 전분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액면분할 이후에 거래량 증가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예측을 하고 결정한 사항으로 보입니다.


3. 과거 대기업들의 액면분할

2018년 삼성전자 액면분할처럼 과거 다른 대기업에서도 액면분할을 성공적으로 마친 사례들이 있습니다. 아래는 한국투자증권에서 정리한 이들의 한달 후 코스피 대비 초과수익률입니다.

 

  • 2000SK텔레콤 27.3%
  • 2010년 제일기획 - 8.4%
  • 2015년 아모레퍼시픽 9.8%

 

4. 삼성전자 거래정지 후 재거래시작 기간

삼성전자는 오는 54일부터 다시 거래가 시작됩니다. 5분의 1로 내려간 가격이 상장 당일에는 폭등할 우려가 존재하지만 이후 장에서 적절한 매수타이밍을 잡으면 소소한 수익을 올려볼 수 있지 않을까합니다. 물론 바이앤홀드도 괜찮을 듯 하구요. 그럼 모두들 부자되길 바라면서 글 마치겠습니다.

 

참고자료

(1) http://news.joins.com/article/22581091

(2) http://www.fntimes.com/html/view.php?ud=2018043012122482521d6f57e61a_18

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기술적 분석과 기본적 분석의 기본 지표들을 언급만 하고 넘어간 적이 있었는데요. 오늘은 기술적 분석의 지표 중 하나인 볼린져 밴드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단기적으로 수익을 낼 때 많은 분들이 참고를 하시는 지표 중 하나이니 이번 기회로 개념을 잡아두시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1. 볼린져밴드란

1980년대 존 볼린저가 개발하고 2011년 상표권까지 취득한 주가 기술적 분석 도구입니다. 이전 거래와의 상대적 가격의 높음과 낮음을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데요.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표준편차 범위 안에서 움직인다는 전제로 개발되었습니다. 볼린져밴드를 실제로 살펴보면서 이해해볼까요?


 

2. 볼린져밴드의 구성 3



2-1) 중심선(회색선)

N기간 동안의 이동평균선입니다.

투자목적에 따라 기간을 다르게 설정하는데, 일반적으로는 20일이동평균선을 많이 사용합니다.


2-2) 상단밴드(위쪽 파란선)

이동평균 위(+)의 K배 표준편차 상위 밴드.

K배는 투자목적에 따라 다르게 설정해주지만, 일반적으로는 20일이동평균선과 함께 2배를 많이 사용합니다.


2-3) 하단밴드(아래쪽 파란선)

이동평균 아래(-)의 K배 표준편차 하위 밴드.

상단밴드와 마찬가지로 K배는 투자목적에 따라 다르게 설정합니다.




3. 볼린져밴드의 활용

3-1) 전제

주가의 가격변동이 볼린져밴드 범위 내에서 이뤄진다는 것을 대전제로 깔고 있습니다.

3-2) 주가가 상단선에 접근할 경우

고평가 되어있으므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3-3) 주가가 하단선에 접근할 경우

저평가 되어있으므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3-4) 주가가 상단선을 돌파하여 밴드를 확장시키는 경우

큰 시세를 받아 고가를 갱신하며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3-5) 주가가 하단선을 돌파하여 밴드를 확장시키는 경우

큰 시세를 받아 저가를 갱신하며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4. 마치며...

볼린져밴드는 밴드내에서 현재가의 높고, 낮음을 평가 하기에 매우 용이하여 단기간내에 수익을 낼 때 많이 참조하는 지표입니다. 자신만의 수치조정을 통해서 본인에게 맞는 지표로 커스터마이징하기에도 용이하고요. 지표 공부를 열심히하여서 부자가 되시길 바랄게요.

※ 함께보면 좋은 글


참고자료

(1) https://ko.wikipedia.org/wiki/%EB%B3%BC%EB%A6%B0%EC%A0%80_%EB%B0%B4%EB%93%9C

 

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오늘은 주가를 분석하는 두 가지 큰 틀에 대해서 알아보려하는데요. 주가를 분석할 때 수급이 좋기 때문에 매수를 권합니다.’라는 표현이나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대하고 있기 때문에 매수를 권합니다.’라는 등의 표현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두 가지 표현 중 전자는 [기술적 분석]에 의해서, 후자는 [기본적 분석]에 의해서 각각 매수를 추천하고 있는데요. 같은 결과를 놓고는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주식분석의 큰 틀 2가지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공부해보려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먼저 [기술적 분석]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1. 기술적 분석이란?

주식시장을 비롯한 금융시장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기법 가운데 하나로, 주로 가격 그래프(차트)를 이용해 분석한다. 분석 기법에서 기본적 분석과 대비됩니다. 기술적 분석은 시장의 가격 그 자체에만 관심을 갖고, 그런 가격 움직임의 원인에는 관심을 두지 않습니다. 몇가지 가정과, 과거와 현재의 가격 움직임에 따라 미래의 가격이 어떻게 움직일지를 예측하는데요. 기술적 분석은 이론적인-재무적인 혹은 기업의 본질적인- 뒷받침이 거의 없으며, 분석의 유효성은 과거의 시장 경험에 의존합니다. 오늘날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됨에 따라 매우 확산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소액투자자들이 분석하는 도구이기도 합니다.

 


2. 기술적 분석의 기본 전제

존 머피(<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의 저자)는 다음을 기술적 분석의 기본 전제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 시장의 움직임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
  • 가격은 추세를 이루며 움직인다.
  • 역사는 되풀이된다.

3. 기술적 분석의 기본 도구


3-1) 차트


▶추세

가격이 일정 기간 계속 같은 방향(/아래/)으로 움직이는 것을 추세라고 합니다. 상승추세는 고점과 저점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정의하며, 하락추세는 고점과 저점이 점차 낮아지는 것의 하는 식으로 정의합니다. 추세를 예측하거나 감지, 확인하는 것이 기술적 분석의 기본 목표입니다.

 

▶지지와 저항

가격이 내리다 더 내리지 않고 멈추는 것을 지지, 반대로 더 오르지 못하고 멈추는 것을 저항이라 합니다. 보통 이전 고점이나 저점에서 지지선이나 저항선이 나타납니다. 또 가격이 저항선을 뚫고 올라가면 이 저항선은 지지선으로 바뀌기도 합니다.

 

▶ 패턴

가격이 차트에서 특정한 형태를 띨 때, 그 형태에 따라 추세가 바뀌거나 계속된다고 예측합니다. 추세 전환을 예고하는 패턴은 반전형, 추세가 이어지는 도중에 생기는 패턴은 지속형이라고 부릅니다. 반전형 패턴은 머리어깨형이 대표적으로, 차트가 사람 머리와 두 어깨 모양이면 추세가 바뀜을 뜻합니다. 지속형은 삼각형 패턴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3-2) 기술적 지표


기술적 지표(technical indicator)는 가격이나 거래량 같은 기본 데이터를 가공한, 수학 공식에서 나오는 '값'에 해당합니다. 지표의 종류는 매우 많으나, 대개 비슷한 성질을 갖는 것끼리 묶어서 사용합니다.

 

▶ 이동평균

이동평균(moving average)은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의 평균을 그래프로 그린 것입니다. 예를들어 오늘의 20일 이평값은 오늘의 가격(종가)부터 19일전의 종가까지를 평균한 값이죠. 20일 이평선은 이런 이평값(점)을 그래프로 이은 것입니다. 이동평균은 추세를 계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개발된 기본적이고 강력한 도구이며, 기술적 분석 밖에서도 많이 채용됩니다. ( 응용 지표의 예: MACD) 


▶ 오실레이터

기준선을 중심으로 아래위로 움직이는 성질을 갖는 지표를 오실레이터라 합니다. 대개 추세 변화를 빨리 감지하려는 목적이며, 그래프의 기울기(변화량)를 측정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 응용 지표의 예: 스토캐스틱, RSI 등)


※ 참고자료

(1) 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C%88%A0%EC%A0%81_%EB%B6%84%EC%84%9D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