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돌 굿즈 시장을 비롯한 아이돌 시장의 규모가 무섭습니다. 이제는 단순히 가수 개인으로 볼 수 있는 규모를 넘어선 듯 합니다. 가수 아이유 양이 걸어다니는 중소기업이라는 칭호를 받기도 하니까요. 온·오프라인 유통사들이 추산한 아이돌 굿즈 시장 잠정집계를 살펴보면 지난해 기준 연간 1000억~1300억원대 규모로 추산됩니다. 김수경 SK플래닛 11번가 MD3본부장은 “아이돌 굿즈시장 판매의 주 채널로 떠오른 온라인시장은 앞으로도 성장잠재력이 무한하다”며 “앞으로도 패션, 리빙, F&B 등 전방위에 걸친 다양한 굿즈 상품 확보를 위한 제휴, 기획을 꾸준히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하기도 했죠.  유통사 입장에서는 해외 신규고객 유치에도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탓에 중국 내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이 내려졌지만, 아직도 한국 아이돌을 찾는 팬덤이 1300만명에 이른다. 특히 동남아시아 지역은 한류 영향으로 한국 패션잡화 및 화장품 등이 10~20대 소비층으로부터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아이돌 굿즈를 비롯한 아이돌 시장의 호황에 영향을 받을 기업들을 알아보려합니다. (출처: 이데일리)


1. 에스엠

- 1995년 설립되었으며 음반기획 및 제작/배급/유통, Licensing, Publishing, 가수/연기자 매니지먼트, 에이전시, 스타마케팅, 인터넷/모바일 콘텐츠 사업, 아카데미 사업 등을 영위하는 기업이다.

- 소속 연예인은 강타,보아,동방신기,천상지희,TRAX,슈퍼주니어,소녀시대,샤이니,f(x),EXO,레드벨벳,NCT,김민종,이재룡,유호정,이동우,김경식,이연희,린아,제이민,설리,최종윤,김이안,이철우,기도훈 등이 있다.

- 2016년 국내 음반(가요) 판매량은 3,084,461장이며 상위 100위 기준 시장점유율은 33%이다.

- 2015년 홀로그램 공연, MD샵, 아티스트 체험 등 SM 아티스트와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를 한 번에 접할 수 있는 복합문화 공간인 SMTOWN@Coexartium을 코엑스에 개장했다.

- 매출구성은 음반 23.62%, 출연료 23.35%, 초상외 21.16%, 음원 17.44%, 광고 14.43% 등으로 구성된다.


2. 와이지엔터테인먼트

- 동사는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음반을 기획해서 제작하고 유통하는 음반산업과 매니지먼트 사업을 영위. 또한 소속 아티스트들을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 사업과 관련 상품 판매, 패션의류, 화장품 사업 등을 영위한다.

- 다수의 프로듀서가 상주하는 스튜디오를 구축하고 있으며, 테디, 타블로, 지드래곤 등 국내에서 가장 실력 있는 작곡가 및 프로듀서들을 보유하고 있다.

- 동사의 소속 가수로는 빅뱅, 싸이, 위너, 아이콘, 젝스키스, 에픽하이, 이하이, 악동뮤지션, 블랙핑크 등이 있고, 소속 연기자로는 차승원, 최지우, 강동원, 이종석, 이성경, 유인나 등이 있다.

- 종속회사를 통해 화장품 제조 및 판매(moonshot), 골프매니지먼트, MD제조 및 유통판매, 모델매니지먼트 및 외식프랜차이즈(YG REPUBLIQUE)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로열티 23.78%, 음반음원 22.22%, 콘서트공연 16.13%, 광고모델 12.53%, 기타제품 10.16%, 기타수수료 9.7%, 출연료매출 5.48% 등으로 구성된다.


3. JYP Ent.

- 동사는 1996년 설립되어 소속연예인의 엔터테인먼트 활동(광고, 드라마출연, 공연 등)과 음반(CD), 음원의 제작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기존 음반 산업의 양대 구도인 각각의 음반기획사와 유통 전문사와는 달리 전속 가수와 타 기획사 가수들의 음반 유통을 통한 차별화된 수익 모델을 가지는 종합 음반사이다.

- 동사 소속 가수로는 2PM, 박진영, 백예린, 백아연, GOT7, TWICE 등이 활동하고 있으며, 배우로는 김태훈, 김지민, 송하윤, 최우식 등이 있다.

- 드라마 및 영화에서 파생되는 고부가가치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어 머천다이징사업, 출판사업, 브랜드 매니지먼트, 라이센싱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 중이다.

- 매출구성은 음반/음원 31.35%, 기타 21.7%, 광고 18.66%, 출연료 17.51%, 콘서트 10.78% 등으로 구성된다.


4. 로엔

- 동사는 1982년 설립. 음반의 기획, 제작 및 판매와 온라인 음원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스타쉽엔터테인먼트 등 8개 회사를 계열회사로 거느리고 있다.

- 독립적 레이블로 아티스트 육성. 아이유는 2017년 정규 4집 `Palette`를 통해 국내 모든 음원 차트 1위를 달성하였으며, 에이핑크는 `Pink Up` 앨범을 통해 국내 탑 걸그룹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

- 멜론은 PC 주요 브라우저, 스마트폰/태블릿PC OS등 음악 플랫폼 사업자 중 가장 많은 기기와 운영체제를 지원하고 있으며, 국내 최대 가입자, 시장 점유 50% 이상 등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켜나가고 있다.

- 동사는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대상 온라인 음악서비스 부문 9년 연속 수상, 소비자가 뽑은 가장 신뢰하는 브랜드 대상 음원서비스 부문 7년 연속 수상, 한국산업의 브랜드 파워 음악 포털 부문 7년 연속 1위를 수상했다.

- 매출구성은 콘텐츠 81.57%, 상품(CD외) 9.41%, 기타 5.72%, 제품(CD외) 3.3% 등으로 구성된다.


5. 판타지오

- 동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부문은 엔터테인먼트사업부문이다.

- 엔터테인먼트 사업부문은 ㈜판타지오 뮤직, ㈜판타지오 픽쳐스, ㈜솔리드씨앤엠, 그리고 Fantagio China, Ltd.에서 배우 매니지먼트, 영화·드라마 제작, 음반제작 등의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영위한다.

- 동사와 계열회사의 소속배우 및 가수로는 공유, 공효진, 남지현, 정유미, 전도연, 강한나, 김성균, 위키미키, 아스트로 등이 있다.

- 신인군을 포함한 다양한 라인업을 통한 수익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배우 매니지먼트 업계 내에서 유일하게 R&D 시스템을 운영중이며, 배우와 가수 영역에 걸친 종합엔터테인먼트 기업을 지향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엔터테인먼트 100% 이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최근 TV광고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음성인식 AI에 대한 광고입니다. KT, 카카오, SK텔레콤, LG 등 국내 유수의 대기업들이 가정용 AI를 선점하기 위해 열심히 뛰고 있습니다. 가정용AI 시장의 선점이 중요한 이유는 스마트폰 혁명처럼 가정용IoT 플랫폼의 초석이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나름의 추측을 해보고 있는데요. 이런 시장의 흐름에 발맞추고 있는 기업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브리지텍

- 콜센터와 광대역 통합망 기반의 인터넷전화 멀티미디어 부가서비스 장비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 공급하며 보유한 제품을 구축하여 약정기간 동안 사용하게 하는 임대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업체이다.

- 콜센터 구축 및 유지보수 서비스, 센터 솔루션을 구축한 후 임대해주는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사업과 법인고객을 대상으로 전화통화관리 프로그램 임대사업 등을 제공하고 있다.

- 음성, 영상의 통화 부가서비스와 IP Phone으로 증권정보, 날씨, 교통 등 실시간 정보와 전화번호 안내서비스 등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스마트폰에서 음성과 데이터가 동시에 이용되는 컨버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웹 솔루션을 제1금융권에 최초로 상용화했다.

- 매출구성은 콜센터 솔루션 73.11%, 클라우드 콜센터, 유지보수 23.91%, IP기반 유무선멀티미디어서비스 2.97% 등으로 구성된다.


2. 셀바스AI

- 동사는 Data Technology를 기반으로 국내/외 인공지능 시장을 앞장서고 있음. 20여 년간 최첨단 딥러닝 기술 기반의 전문적인 연구를 통해 필기지능, 영상지능, 음성지능 등 최고의 패턴 인식 기술을 보유했다.

- 연결 종속회사인 셀바스헬스케어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단말기, 독서확대기 등을 개발하는 의료보조기기사업과 자동혈압계, 체성분분석기 등을 개발하는 헬스케어사업을 영위한다.

- 동사의 모든 인공지능 기술은 자체 개발한 예측 플랫폼 `Selvy Prediction`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스마트 디바이스뿐 아니라 메디컬, 헬스케어, 스마트카, 홈IoT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대한 적용중이다.

- 종속회사 셀바스헬스케어의 아큐닉 브랜드가 영위하는 의료진단기기 중체외진단기 시장에서 선두 업체 대비 동일한 기술 수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해 치열한 경쟁 선상에 있다.

- 매출구성은 기타(제품) 59.16%, 로열티 23.02%, 용역 15.9%, 기타(상품) 1.91% 등으로 구성된다.


3. 미래나노텍

- 동사는 LCD BLU용 광학필름 및 재귀반사필름의 생산,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며, 2002년 08월에 설립. 2007년 10월 한국증권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 LCD광학필름을 생산하는 광학사업부문, 전도성필름을 적용한 터치패널을 생산하는 터치패널부문, 차량/건물용 윈도우 필름을 생산하는 윈도우필름 부문, 도로교통 표지판용 반사필름을 생산하는 재귀반사필름부문으로 구성된다.

- LCD산업이 TV를 중심으로 대형화 됨에 따라 광학필름의 중요성이 보다 부각되고 있음. LCD TV는 원가절감을 위해 광원으로 사용되는 CCFL, LED 수를 줄이거나 고가의 DBEF 필름을 제외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 동사는 2012년 400억원을 시설투자에 사용하였으며, 대부분 신규사업의 양산설비 등에 투자되었음. 2013년 예상 투자액은 연결기준으로 약 730억원 수준의 시설투자를 계획 중이다.

- 매출구성은 광학필름 53.49%, 노이즈 29.18%, 윈도우필름 8.41%, 멀티코팅필름 2.53%, 터치패널 2.34%, 재귀반사필름 2.07%, 기타 1.46%, 패키징 0.43%, 레진 0.08% 등으로 구성된다.


4. 코맥스

- 동사는 1968년 설립된 홈네트워크 및 홈오토메이션 전문 업체로 국내시장을 기준으로 30% 이상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해외시장 또한 COMMAX라는 자체 브랜드를 가지고 있다.

- 기술진보에 맞추어 RF(무선 응용기술)와 데이터 통합 분야로의 진출을 모색하여 왔으며 현재 이러한 분야에 비교적 성공적으로 진출한 상태이다.

- 동사에서 생산되는 제품 판매는 국내시장을 기준으로 30%이상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 CCTV 및 방송설비 (PA System) 부문은 후발업체 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연구 개발과 공격적 마케팅으로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에서도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룩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홈네트워크 53.04%, 비디어폰 28.98%, 인터폰 11.73%, CCTV 4.95%, 기타 0.74%, 방송설비 0.43%, 임대매출 0.13% 등으로 구성된다.


5. 이엠텍

- 동사는 전기 전자기기 및 이에 해당하는 부품 제조기업으로서 휴대용 마이크로 스피커와 다이내믹 리시버를 개발, 제조, 판매 사업을 영위한다.

- 전자부품제조업으로 업종분류 되며 전자기 응용부품인 Micro Speaker, Receiver, Motor, Wireless 음향제품을 주력사업으로 하고 있다.

- 휴대폰 분야에서 인도, 중국 등 신흥시장의 성장과 기존 시장의 교체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동사의 매출 확대가 기대된다.

- 이동통신 단말기용 Micro Speaker, Receiver, Motor, Wireless 음향제품 개발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외 특허 50건을 포함하여 총 226건의 특허를 등록하였다.

- 매출구성은 Machine, Tools 48.62%, 원자재 26.69%, Enclosure 8.96%, Dynamic Receiver 7.18%, Wireless스피커 5.01%, 용역매출 2.12% 등으로 구성


(출처: 와이즈에프엔)

봄비가 부슬부슬 내리네요. 이번 비가 그치고 나면 맑은 봄날씨가 완연해진다고 하는데요. 봄비는 반갑지만 반갑지 않은 비가 하나 있습니다. 매섭게 내려치는 장마인데요. 여름 장마는 아직 멀었지만 장마나 태풍이 올때마다 호황을 누리는 업체들을 미리미리 챙겨보려 합니다.


1. 코엔텍

- 1993년에 설립되었으며 폐기물 중간처리업, 폐기물 최종처리업, 유틸리티 공급사업 등을 영위하며, 울산지역에서 현대중공업, 현대자동차, SK 등 대형배출업체를 영업대상으로 한다.

- 사업부문은 소각처리와 스팀판매를 하는 소각부문, 매립처리를 하는 매립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 동사가 위치한 울산지역은 현대중공업, 현대자동차, SK 등 대형배출업체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입지조건상의 경쟁력과 안정적인 매출확보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된다.

- 산업폐기물 처리산업은 과점적 성격의 산업으로 경쟁업체의 진입이 상당히 어렵고, 신규 처리업체의 생성이 어려운 산업으로 추정된다.

- 매출구성은 소각처리 40.99%, 스팀판매 38.8%, 매립처리 20.2% 등으로 구성된다.


2. 인선이엔티

- 1997년 11월에 설립되었으며 건설폐기물 수집, 운반 및 중간처리, 자동차 해체재활용 사업, 자동차 파쇄재활용사업 등 친환경 자원 재활용 사업을 영위하는 환경친화적 기업이다.

- 건설폐기물수집, 운반 및 중간처리와 순환골재 생산, 폐 아스콘 재활용 등을 영위하는 건설폐기물 재활용사업부문과 자동차해체재활용, 자동차파쇄재활용, 중고차 판매 등을 영위하는 폐 자동차 재활용사업부문으로 구분된다.

- 사업계획 반려처분에 대한 행정소송이 진행되었던 사천 매립 시설은 2015년 9월 15일 대법원에서 최종 승소하여 현재 폐기물 매립시설 공사를 착공하였다.

- 동사의 계열회사 인선모터스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연간 약 30,000여 대의 폐차를 매집, 해체하고 있으며 이는 2위 업체 대비 약 두 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 매출구성은 건설폐기물 49.07%, 자동차재활용 47.14%, 순환골재생산판매외 2.47%, 비계및구조물해체 1.31%, 임대수입 0.01% 등으로 구성된다.


3. 파루

- 동사는 1993년 7월 설립되었으며 신재생에너지사업(태양광사업), LED조명사업, 위생환경산업(농기계, 손세정제 외)을 영위하고 있다.

- 신재생 에너지 전문기업으로 2014~2016년 미국 알라모 대규모 양축추적식 시스템 공급(400MW)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면서 글로벌 기술력을 입증했으며 설립 후 꾸준히 일본, 동남아시아 등 국외시장 진출 준비해왔다.

- 세계 태양광시장은 침체된 세계 경기여건에도 불구하고 파리기후 변화 체결 등 우호적인 정책 환경으로 전년대비 20% 이상의 고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 2017년 국내 태양광 설치량은 약 800MW로 추정되며, RPS(신재생에너지의무 사용 정책)시장 통합에 따른 수혜로 1GW 규모로 확대될 전망된다.

- 매출구성은 태양광추적장치 81.82%, 위생환경사업 14.1%, LED 4.08% 등으로 구성된다.


4. 대동공업

- 동사는 1947년 5월 주식회사 대동공업사로 설립하였으며 농업용기계(엔진포함)를 전문적으로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 주요제품으로 실린더헤드, 실린더블록 등으로 구성되며 관련 원재료 가격은 전년동기대비 하락하였다.

- 동사의 주요사업부문은 농업용기계 제조 및 판매로 이루어진 단일부문이다.

- 현재 정부 농업 기계화 사업 참여기업은 150여 업체가 있으나 실질적 국내 농기계 시장을 주도하는 업체는 동사를 포함한 4개사로서 이들 중 일부 기종은 독과점 형태의 시장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트랙터 등 100% 이다.


5. 아세아시멘트

- 동사는 2013년 10월 01일에 인적분할을 통하여 시멘트의 제조, 판매 등을 주 영업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사업의 성격에 따라 아세아시멘트(주)와 아세아산업개발(주)의 시멘트 부문과 ASIA ADVANCED MATERIALS SDN.BHD, 우신벤처투자(주)와 농업회사법인 아농(주)의 기타 부문으로 구분된다.

- 동사는 시멘트 제조에 필수인 석회석을 향후 145여년 이상 채광할 수 있는 풍부한 매장량과 양질의 석회석 광산을 보유하고 있고, 초고층 건물에 적합한 고유동 시멘트의 생산으로 기술과 품질 우위에 있다.

- 동사는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해 향후 높은 성장이 예상되는 신규사업으로 메탈실리콘 사업에 진출하였음. 동사의 사업은 시멘트, 창업투자, 메탈실리콘 농작물 재배로 구성된다.

- 매출구성은 시멘트사업 99.48%, 기타사업 0.52%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북한과의 관계 개선이 기대되는 시점입니다. 4월예 예정된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5월에는 불가능해보였던 북미정상회담까지 이어진다고 하니, 만약 두 개 회담에서 북한의 폐쇄정책이나 핵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가 오간다면 우리나라의 방위 산업에는 조금의 타격이 있겠죠. 최근에 김정은이 '북한 비핵화를 댓가없이 이루겠다.'라고 하였으니 이에 대해서도 기대해볼만하네요. 오늘은 이와 관련해서 국방이나 방위 관련 주식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1. 스페코

- 1979년 설립되어 1997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특수목적용 건설기계 제조 및 철구조물 제작 및 판매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 동사의 주요제품으로 아스팔트믹싱플랜트, 콘크리트배쳐플랜트, 풍력타워가 있으며 구체적 용도는 플랜트임. 관련 원재료의 경우 내수구매로 이루어진다.

- 주요사업부문은 플랜트사업부, 풍력부문, 방산설비부문으로 구성되며 생산실적은 매년 하락하고 있다.

- 동사는 총 2957만불을 투자하여 스페인 Gamesa에 플랜트 10대를 납품하였으며, 멕시코의 3,000MW 규모 시장과 북미시장의 선점을 위해 2MW 급 1일1기 생산을 원칙으로 매출 증가 모습을 보이고 있다.

- 매출구성은 풍력 42.7%, 플랜트부문 42.28%, 함안정기외 14.4%, 임대수입외 0.62% 등으로 구성된다.


2. 퍼스텍

- 동사는 1975년 설립된 후성그룹 계열사로서 유도무기, 항공우주, 해상수중무기 등을 생산하는 방위사업과 출입통제기 시스템, 근태관리기 등 얼굴인식 응용 솔루션을 공급하는 시스템사업을 영위한다.

- 무기체계 전분야의 국내 핵심 부품업체로서 국내 방위산업의 성장과 동반 성장하고 있으며, 한국항공우주, LIG넥스원, 한화테크윈, 현대로템, 두산인프라코어 등의 완제품 업체에 핵심 부품을 공급한다.

- 화포분야에서 20미리 발칸포 사격제어부 공급을 시작으로 정부주도개발(국방과학연구소)에 참여하여 1975년 방산업체 및 방산물자지정(산자부, 국방부)을 받으며 현재까지도 육·해·공 각 군에 납품 중이다.

- 공항 직원관리 시스템, 통합관제 시스템 및 생체인식 여권 사업 동의 정부 단위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동시에 민간 기업의 근태관리 시스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등을 기반으로 한 어플리케이션 납품을 진행한다.

- 매출구성은 무기 및 총포탄 제조업 99.24%, 보안서비스 개발 0.76% 등으로 구성된다.


3. 풍산

- 1968년 설립되었으며 동합금소재와 가공품을 제조하는 신동사업 부문과 각종 탄약류를 생산하는 방산사업 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 신동사업 부문에서는 동 및 동합금 판ㆍ대, 리드프레임재, 건축용 동관, 공업용 동관 및 합금관, 동 및 동합금 봉ㆍ선, 주화용 소전 및 동 지붕재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방산사업 부문에서는 각종 탄약 및 단조품을 생산한다.

- 동사의 신동사업은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된 소전, Leadframe 소재, 동합금관 등의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우위를 확보하고 있고, 제품 전반에 걸쳐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했다.

- 비철금속 제품은 기초산업에서부터 첨단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산업용 소재로 쓰이기 때문에 신동제품 매출은 IT, 반도체, 자동차, 건설 등 연계산업의 경기변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매출구성은 신동부문 66.78%, 방산부문 33.22% 등으로 구성된다.


4. 한화테크윈

- 동사는 1977년 8월 설립되어 고도의 정밀기계분야의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항공기 및 가스터빈 엔진, 자주포 장갑차, CCTV, 칩마운터 등의 생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엔진부문 사업은 항공기 엔진 및 부품, 발전설비사업, 터보압축기 등을 생산 및 정비하는 사업이며 주요 고객으로는 PW, GE, 국방부가 있다.

- 2015년 6월 29일 기존 최대주주였던 삼성전자 외 특수관계인 4인이 보유지분을 (주)한화로 매각하여 2015년 6월 29일 한화테크윈주식회사로 상호변경했다.

- 방산부문 사업은 국내에서 장기계약을 통해 꾸준히 K9 자주포, K10 탄약운반차 등을 납품하고 있으며 해외로는 필리핀, 폴란드, 인도, 이집트 등에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방산사업 46.66%, 엔진사업 25.01%, 시큐리티 16.65%, 산업용장비 6.91%, 에너지장비산업 4.77% 등으로 구성된다.


5. 한국항공우주

- 동사는 항공기 부품, 완제품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1999년 설립된 항공기 체계 종합업체이다.

- 한국 공군 고등훈련기, 한국 공군 기본훈련기 양산 및 수출 사업, 위성사업 등을 영위하는 방산 및 완제기수출 부문과 Boeing, Airbus 등을 영위하는 기체구기체부품 및 민수, 수출 기타부문으로 구분된다.

- 국내 유일의 종합 항공체계 제조업체로서 정부와의 지속적인 거래를 통해 독점적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지식경제부 항공산업발전 기본계획 등 정부의 산업육성정책의 지원을 받고 있다.

- 신규사업으로 KF-X 한국형 전투기 개발사업, 소형무장헬기 및 민수헬기 개발사업 등 군용기 사업을, 한국형 중형항공기 사업 등 민항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기체부품 및 민수, 수출 기타 53.1%, KUH/LAH계열 25.15%, T-50/KF-X계열 15.85%, 정부방산 기타 등 5.33%, KT-1계열 0.57%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지난 2014년 핀란드에 위치한 노키아 네트웍스에 방문해 인터뷰했던 연구 기술팀 '라우리 옥사넨(Lauri Omksanen)'은 "우리는 아직 5G가 무엇인지, 어떤 기술인지, 어떻게 사람들의 생활을 바꿔 놓을지 모른다. 지금은 그저 예측하는 단계일 뿐이다. 5G는 지금의 LTE 즉, 4G 이동통신과 성격이 다를 것이다. 4G는 사람을 위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기술이었다. 하지만, 5G는 사람 이외에 주변의 물건, 자동차 등 사물을 대상으로 하는, M2M 기술이 될 것이다"라며, "2020년에 이르면, 전세계 50억 명 이상이 통신(네트워크)에 연결할 것이다. 그리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는 500억 개 이상일 것으로 예상된다. 5G는, 우리 주변의 모든 사물을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여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출처: 아이티동아)


결국 4G와 5G의 핵심 차이점은 인터넷의 속도라기보다는 연결성일 것 입니다. 내가 세상과 연결되느냐(4G), 세상과 세상이 연결되느냐(5G)라고 표현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오늘은 이런 5G와 관련된 기업들이 어느 곳이 있는 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텔코웨어

- 동사는 정보통신 소프트웨어 개발 및 장비, 기기의 유지보수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크게 음성핵심망 솔루션, 무선데이터 솔루션, 요소기술, 3가지 사업 영위한다.

- 음성 핵심망 솔루션은 일반적으로 국제 규격에 따라 제작되며, 이동통신 사업자의 각각 서비스 환경에 따라 기술적으로 커스터마이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 동사는 설립 초기부터 무선데이터솔루션 시장의 확대를 예상하고 관련 기술개발에 주력하였고 SIP기반의 무선 IM(Instant Messenger) 인프라 솔루션 등을 SK텔레콤(주)에 공급하고 있다.

- 동사와 같이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이 있는 핵심망 전문 기업의 경우에도 국내외 대형 업체와의 제휴 등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서 해외 공급 확대를 위해 경쟁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무선데이터 59.22%, 음성핵심망 39.89%, 기타(요소기술, 임대료 등) 0.88% 등으로 구성된다.


2. 이루온

- 동사는 이동통신 솔루션 및 부가서비스 전문기업으로 1998년 창업된 이래 통신산업에서 핵심 솔루션 및 관련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 주요 사업분야는 유무선 통신솔루션 사업, 유무선 통신서비스 사업, 해외사업 등으로 나누어진다.

- 특히 모바일 컨버전스의 대표적인 서비스로 평가 받는 모바일 무선인터넷의 필수 장비인 PDSN, PDG, ISG를 비롯, 관련 주요 시스템을 공급 중이다.

- 대리운전, 콜택시, 물류택배 등의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사업을 계획하고 있으며, 특히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등 스마트폰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사업전개 중이다.

- 매출구성은 통신 솔루션 57.57%, 기타 시스템 42.43% 등으로 구성된다.


3. 케이엠더블유

- 통신 산업과 관련된 RF 부품산업에서 안테나 및 RF 설계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통신장비 업체로 RF 관련 다수의 국내외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부품부터 Subsystem까지 RF Total Solution을 제공 한다.

- 동사는 안테나 및 RF 설계기술과 LED 조명 기술을 융합하여 차별화된 조명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차세대 광원으로 주목 받고 있는 LED 조명 사업 및 LED 조명 응용분야에서 확고한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 단납기 대응이 가능한 일관 생산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원가경쟁력이 필요한 아시아 시장 공략을 위해 중국에 개발부터 생산까지 완료할 수 있는 현지법인 운영 중이다.

- 아시안게임(2018년 인도네시아)과 올림픽(2020년 도쿄)등에도 조명 공급 참여를 준비중에 있이다.

- 매출구성은 FILTER 46.48%, ANTENNA 류 25.45%, RRH 류 16.04%, LED 12.03% 등으로 구성된다.


4. 쏠리드

- 동사와 동사의 종속회사 대부분은 통신 장비 관련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팬택이 통신 단말기 부문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국내통신 장비 시장에서 동사 및 종속회사는 국내 주요 이동통신사업자인 SK텔레콤, KT, LGU+ 를 주요 고객으로 하고 있다.

- 동사 및 종속회사는 인빌딩 통신장비 시장의 선점을 위하여 해외 사업자의 통신환경에 맞춘 이동통신 중계기인 DAS, ICS 및 RF 중계기 및 유선 전송장비인 C-RAN 장비 등을 전세계 20여개국에 공급하고 있다.

- 동사는 일반적인 중계기 업체들이 보유하고 있는 RF 회로설계 및 제작 기술뿐 아니라,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Poly-phase filter 기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기술 등)을 개발하였다.

- 매출구성은 유무선통신장비 87.62%, 용역 및 기타 8.87%, 휴대폰 단말기 3.51% 등으로 구성된다.


5. 오이솔루션

- 동사는 2003년 8월에 설립되어 전자, 전기, 정보통신 관련 제품의 연구개발, 제조 및 제조 및 판매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한다.

- 국내시장의 경우 공식적인 시장점유율 통계가 없어 추산하기 어려우나, 세계시장은 2016년 기준 6.7조원의 시장규모가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동사 점유율은 1%를 조금 상회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 주요 고객사는 해외기업들이며, 주력제품인 양방향 송수신 광트랜시버는 넓은 동작온도범위, 다양한 특성설계를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신속하고 빠른 고객대응 등을 차별화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한다.

- 일본 시장 공략 확대 및 글로벌 기업화의 발판으로 OE Solutions Japan (OESJ)법인을 설립하였으며 품질을 중요시하는 시장 특성상 중국 등 후발업체보다 동사가 품질과 성능에서 경쟁우위가 있다.

- 매출구성은 광통신용 모듈 94.98%, 광통신용 소자 5.01%, 상품 0.01% 등으로 구성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