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산업혁명, 정보화, IoT ... 많은 정보기술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모든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되고 있는 핵심 문제가 존재합니다. 바로 '보안'입니다. 스마트기기와 웹데이터 의존도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개인정보와 산업해킹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단 1번의 해킹이 회사를 망하게 할수도 있기 때문이죠.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 거래소의 해킹사건도 이와 같은 맥락이 아닐까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랜섬웨어나 해킹으로부터 보안을 목표로 하고 있는 사업체들을 살펴보려 합니다.




1. 이스트소프트

- 동사는 1993년에 설립된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이며, PC사용자에게 혁신적 효용을 제공하는 인터넷 소프트웨어와 인터넷 게임을 제공하고 있다.

- 유틸리티 소프트웨어 중 알집, 알씨, 알송, 알캡쳐 등이 코리안클릭 기준 사용자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보안 소프트웨어 알약 역시 사용자 점유율 1위를 차지고 있다.

- 자회사 이스트게임즈에는 게임부분에는 ‘카발 온라인’, ‘카발2’로 이루어진 온라인게임이 있으며, 2015년부터 신규 모바일 게임 고양이 다방을 서비스 중이다.

- 2017년 1월 보안사업부분이 자회사 `이스트시큐리티`로 분할되면서 기존에 서비스하고 있던 `알약`으로 대표되는 보안 소프트웨어 부분은 분사된 자회사 `이스트시큐리티`에서 서비스를 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알툴즈패키지 58.58%, 제휴서비스 및 광고 39.08%, 위탁개발서비스 2.34% 등으로 구성된다.


2. 라온시큐어

- 1998년 4월에 설립되었으며 금융,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을 대상으로 모바일 보안솔루션(모바일백신, 가상키보드, 모바일암호인증, 모바일단말관리) 및 PC보안, IOT 기반 솔루션과 서비스를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한다.

- 정보보호 사업 영역은 크게 솔루션 사업과 서비스 사업 분야로 구성되어 있으며 16년 1월에는 신한은행 모바일뱅킹 플랫폼(써니뱅크)에 지문인증 서비스를 구축하며 국내 최초 금융기관 대상 FIDO 생체인증 서비스를 시작했다.

- 스마트폰 뱅킹 및 증권거래, 전자상거래 등 모바일 금융 서비스에 탑재되는 필수 모바일 보안솔루션 4종(모바일백신, 모바일암호인증, 가상키보드, 모바일단말관리)을 모두 보유한 국내 유일의 기업이다.

- 현재 삼성전자S.E.A.P.(Samsung Enterprise Alliance Program) 공식 파트너로서 안정적인 기술개발 및 영업 마케팅 협력을 토대로 모바일 보안솔루션 분야의 경쟁 우위를 가지고 있다.

- 매출구성은 모바일보안 등 100% 이다.




3. SGA솔루션즈

- 동사는 보안운영체제, 전자서명(PKI)을 기반으로 한 응용 보안 및 전자문서 솔루션 사업, 엔드포인트 보안의 정보보안 사업, 모토로라솔루션 무전솔루션 판매를 통한 물리보안 사업을 영위한다.

- 금융권 스마트워크 도입에 따라 법적 효력을 중시하는 전자문서 생성과 보관, 유통을 위하여 가이드라인이 마련됨에 따라 전자문서 보안이 가장 큰 시장으로 부각. 동사는 이에 맞추어 관련 솔루션을 준비하고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 보안운영체제인 RedCastle V4.0을 출시하여 CC인증을 획득하였으며 PKI 이외에도 OTP 및 ARS 인증을 지원하는 AuthCastle 개발을 2014년 10월 완료했다.

- 금융업계 최초로 추진되는 명령어 통제 시스템 구축 사업을 수주함으로써 2015년 이후 제 1, 2금융권의 명령어 통제 시스템 구축사업의 수주 전망이 밝아졌다.

- 매출구성은 상품 68.19%, 보안솔루션 22.55%, 유지보수기타 9.26% 등으로 구성된다.


4. 안랩

- 글로벌 통합보안 기업으로서 세계수준의 기술력으로 개발한 솔루션과 전문적인 서비스 체계를 갖추고, 컨설팅-솔루션-관제 등 시큐리티 라이프 사이클 상의 기술과 서비스를 자체 역량으로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통합보안업체이다.

- 1995년 국내 최초로 안티바이러스 솔루션을 개발, 출시하였으며, 창립 이후 국내 안티바이러스 시장에서 부동의 시장점유율 1위 업체로서의 지위를 유지하여 왔다.

- 계열회사를 통하여 일본, 중국의 보안사업 및 소셜게임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 모바일 보안 솔루션을 집중적으로 전개하고 있고, 중국에서는 많은 제조업체가 있는 점을 감안해 생산라인 보안에 주력하고 있다.

- 안랩 엔드포인트 보안 플랫폼(AhnLab EPP)는 그 기술력을 인정받아 국내 보안업체 최초로 글로벌 리서치전문 기관 가트너의 매직 쿼드런트 보고서 ‘엔드포인트 보안 플랫폼’ 부문에 등재되었다.

- 매출구성은 제품매출 65.69%, 서비스매출 16.32%, 상품매출 6.97%, 컨설팅매출 6.09%, 기타 4.93% 등으로 구성된다.




5. 파수닷컴

- 동사는 2000년 6월 설립. 지식정보보안산업의 콘텐츠/정보유출방지보안 분야의 데이터 보안사업과, 소프트웨어 품질과 보안을 테스트하고 결함 등을 찾아주는 소프트웨어보안 분야 사업을 영위한다.

- 2016년 5월부터 (주) 에스피에이스 영업양수도에 따라 정보보호전문서비스 사업을 신규로 영위한다.

- 동사는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허가된 사용자가 허가된 권한 내에서 컨텐츠를 사용하도록 통제하는 권한 제어 기술로 기업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문서 보안하는 E-DRM이 주력사업이다.

- 동사는 국내 최초로 공공기관과 금융권 공략을 위한 CC인증을 획득한 바 있으며 웹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보안 니즈가 점점 확대됨에 따라 시큐어코딩 시장의 확대가 예상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이전 블록체인 관련 기업들을 정리하면서, 도시자동화 사업을 가장 적극적으로 추진 중인 국가로 '에스토니아'를 언급한 적이 있었는데요. 우리 나라에서도 도시자동화와 관련된 연구,개발,사업을 하고 있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정리해보시죠.



1. 옴니시스템

- 동사는 디지털 전력량계, 디지털 설비미터, 원격검침시스템 등의 사업 영위. 종속회사인 주식회사 위지트는 전력량계등의 계량기 제조 설비 기술 개발, 생산한다.

- 동사의 디지털 전력량계는 후진국에서 주로 볼 수 있는 검침 정보의 조작이나 전기 도전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베트남, 태국, 미얀마 등 개도국에 수출을 하고 있다.

- 한국전력의 "전력 계량장치 선진화 전략"에 따른 전자식 전력량계 도입으로 한국전력이 요구하는 6개의 저압전자식 전력량계의 형식인증을 취득하고, 한국전력 업체 등록을 완료하였다.

- 매출구성은 계량기부문 71.64%, 카드부문 20.75%, 조명부문 7.61% 등으로 구성된다.


2. 에스디시스템

- 동사는 유/무인 요금 징수시스템(TCS, ETCS) 및 하이패스 단말기(OBU), 지능형교통시스템(ITS) 및 스마트 파킹 시스템의 개발, 제조, 판매 및 관련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및 유지관리 등의 사업을 영위한다.

- 요금 징수시스템 사업(TCS, ETCS)에 필요한 모든 장비를 독자 생산하여 삼성SDS를 통해 한국도로공사 및 유료도로사업자에게 제공한다.

- ITS는 대형 프로젝트일 경우 삼성SDS 등과 공동 참여 또는 제품 납품 형태로, 중소형 프로젝트는 단독 입찰 형태로 수요처인 정부 지자체, 한국도로공사, 민자도로사업자 등에 접근하고 있다.

- 무정차 다차로 기반 Smart Tolling 시스템, 차량 IT 융합 플랫폼 개발과 같은 신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공사수익 54.07%, 기타(ITS 등) 16.24%, 용역수익 14.34%, OBU 9.71%, 요금징수시스템 4.7%, 블랙박스 0.93% 등으로 구성된다.




3. SGA

- 1997년 11월에 설립되었으며 주요 사업으로는 Virus백신, 패치관리시스템(PMS)의 PC보안, 방화벽을 비롯한 네트워크 보안 등 주요 정보보안솔루션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다.

- 또한 정부부처를 비롯한 공공기관 및 금융기관, 기업 등의 보안 시스템 통합(SI)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MS의 윈도우 임베디드 OS 국내 공급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동사는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자 2016년 6월 바이러스체이서와의 합병을 통해 본격적으로 엔드포인트보안 사업영역에 진출하였다.

- 종속회사인 에스지에이솔루션즈(주)는 보안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서버보안, 전자서명(PKI)을 기반으로 한 응용 보안 및 전자문서 솔루션 사업, 엔드포인트 보안의 정보보안 사업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OS등 52.68%, 서비스 37.3%, 보안솔루션 10.02% 등으로 구성된다.


4. 케이씨에스

- 동사는 전문화된 24시간 무정지, 실시간 솔루션에 대한 축적된 기술을 기반으로 NonStop SI 사업, Enterprise Solution 사업, 철도 및 도로교통 인프라 사업, KIOSK 단말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Nonstop SI 사업의 경우 금융권의 검증된 솔루션을 바탕으로 수익 창출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으며, 교통인프라 사업은 국책과제 수행을 통한 특허등록으로 독자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 KIOSK단말은 철도, 극장, 리조트, 고속버스 등 다양한 용도의 티켓발매기를 비롯하여, 무인민원발급기, FIS, 주유기 셀프 Unit 등을 개발 및 제조하여 공급 중이다.

- 동사는 신규사업으로 스마트정거장사업, 전자지불결제시스템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유지보수 및 용역 55.57%, H/W (NSK 외) 25.8%, S/W (Solution 외) 18.63% 등으로 구성된다.




5. 정원엔시스

- 동사는 소프트웨어의 제조, 임대, 판매 및 유지보수업, 전자통신기기의 제조임대 판매 및 정비수선업, 전산정보 및 자료처리 용역업 등의 사업을 목적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사업부문은 SI사업(시스템,Appl.), 유통, 고객지원(MA), 건설엔지니어링 사업부문으로 구분될 수 있다.

- SI사업부문 상품으로 HP, EMC, Oracle 제품 등이 있으며, 유통사업부문 상품으로 도시바, 델, LG전자 PC 등을 유통하고 있다.

- 시스템 부문은 경쟁력 있는 메이저 SYSTEM 공급업체인 한국HP와의 협력관계 강화를 통하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SI 60%, 유통 27.76%, 고객지원 12.17%, 기타 0.07%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아침에 뉴스를 하나 보았습니다. '백종원거리'라고 불리며 백종원씨가 운영하던 식당들로 한 골목을 이루었던 영동시장의 일부 거리가 이제 더 이상 백종원거리가 아니라는 소식이었습니다. 5년새에 39% 오른 임대료와 최저임금 인상이 주요 원인이라고 했습니다. 인건비 문제가 자영업자들에게 큰 이슈입니다. 이랜드의 외식 브랜드 중 하나인 '애슐리'는 서버 직원을 감축하는 수단으로 셀프서비스를 도입하기도 하였는데요. 제조업 공장에서도 인건비가 큰 화두일거라 생각합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연구개발을 하고 있는 자동화공장, 스마트팩토리 관련 기업들을 알아보려 합니다.




1. 에스엠코어

- 1972년에 설립되었으며 동사와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자동화물류시스템에 필요한 자동화 설비를 제작 및 설치하고, 동 설비 가동에 필요한 제어시스템 및 운영정보시스템을 제작, 설치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동사의 주요 제품으로 STC, RGC, RACK, CON 등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Stacker Crane은 AS/RS를 구성하는 장비 부분의 핵심 설비로서 Rack에 자동 입출고하는 장치이다.

- 주요사업부문은 자동화물류시스템 단일 사업부문이며 최근 3년간의 수출판매의 경우 매년 하락하고 있다.

- 2015년 3월 엠프론티어테네시와 자동화물류시스템 발주 계약을 맺음. 납기는 2017년 10월이고 계약금은 약 280억원 정도이다.

- 매출구성은 자동화설비 96.75%, AS매출 3.25% 등으로 구성된다.


2. 포스코ICT

- 동사는 1989년 설립되어 2000년 코스닥에 상장하였으며 IT서비스 및 엔지니어링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는 포스코 계열 기업이다.

- 포스코 그룹의 차세대 IT서비스인 POSPIA 3.0시스템을 조기 안정화시키고 그룹의 일하는 방식인 SWP의 Upgrade를 진행하였으며, 포스코에너지 PI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한다.

- 대기 환경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하는 중국시장에서 발전사업자인 대당그룹에 MPS(펄스방식 전기집진기 전원장치) 116대를 공급하는 등 환경 솔루션사업의 대외 기반을 마련했다.

- 혁신을 리드할 수 있는 Industry 4.0기반의 스마트 팩토리사업과 에너지저장장치 등을 포함하여 발전부터 공급/소비의 최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Total Energy Optimization 사업 추진했다.

- 매출구성은 엔지니어링 47.53%, 용역수익 37.82%, 정비수익 9.63%, 통신수익 2.89%, 상품매출 2.13% 등으로 구성된다.




3. 디에스티로봇

- 동사는 1999년 11월 29일에 법인전환형태로 설립되었으며 로봇업체 최초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음. 제조업용 로봇 및 지능형 로봇 제작 및 판매사업을 영위한다.

- 고객의 진공로봇에 대한 Needs가 많아져 동사도 일본 로봇 전문 업체인 AITEC을 인수하여 진공로봇에 대한 적극적인 영업을 진행하여서 새로운 시장에 대한 매출이 기대 된다.

- 디스플레이 산업에 국한하지 않고 반도체, 자동차, 3D프린터 등 제품 판매처를 다양화하는 사업영역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 유아용 교육 로봇의 개발을 완료하여 향후 컨텐츠를 보유한 서비스 업체와 추가적인 비즈니스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매출구성은 제조업용로봇 99.65%, 서비스로봇 0.35% 등으로 구성된다.


4. 삼익THK

- 1965년 설립되어 산업설비자동화, 반도체 제조장비 및 시험장비, 정밀 의료기기, 공작기계 등에 필수요소부품인 LM시스템과 LM가이드, 볼스크류, 서브모터, 감속기 등을 조합한 메카트로시스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주요제품으로 LM시스템, 메카트로시스템, 줄, 기타 상품 등이 있으며 기계 및 설비부품의 제조용도로 사용된다.

- 주요사업부문으로 자동화기기 및 부품, 기타조립금속제품제조 부문 등이 있으며 전년동기대비 생산실적이 크게 증가하였다.

- 최근 자체적 연구를 통해 스케일 일체형 LM가이드 개발을 완성을 하였다.

- 매출구성은 LM시스템 43.86%, 메카트로시스템 40.75%, 기타 14.06%, 줄 1.33% 등으로 구성된다.




5. TPC

- 1979년 설립되어 2001년 상장하였으며 주요사업부문으로 공압사업부, 모션사업부 및 신규사업으로서 3D프린팅 사업본부를 신설 운영하고 있다.

- 사업군은 공압 액츄에이터와 방향제어기기 등 공장자동화 부품을 생산/판매하는 공압사업부와 전동 서보모터 및 리니어모터를 활용한 직교로봇, 리니어 로봇 등을 생산/판매하는 모션 사업부로 구성된다.

- TPC 서보시스템 사업이 가격과 납기 등의 차별화로 FA산업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고 있어 매출 신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2013년 10월부터 3D프린팅 사업부를 신설하여 관련 제품 생산/판매를 진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공압제품 69.65%, 모션 26.23%, 기타 2.9%, 3D프린팅 1.22%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애플 아이폰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28% 이상, 세계 시장 점유율은 50%가 넘습니다. 스마트폰이라는 하드웨어 및 운영체제라는 소프트웨어의 플랫폼 두 가지 모두를 독점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플랫폼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4차산업혁명에서 엄청난 자본이 될텐데요. 우리 나라에서도 애플의 아이폰 호황을 함께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오늘은 이런 기업들을 알아보려 합니다.


1. LG이노텍

- 동사는 1970년 금성알프스전자(주)로 설립되었으며, 전기전자부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종합 전자부품업체임. 2009년 LG마이크론(주)와 합병했다.

- 현재 광학솔루션 사업부문, 기판소재 사업부문, 전장부품 사업부문, LED 사업부문의 4개 사업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모바일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 자동차, LED 조명 등의 주요 부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 국내외 주요 거점 별로 11개 생산기반과 10개 판매거점을 구축하여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보하였으며, 국내와 일본에 R&D 캠퍼스와 연구소를 운영하며 혁신기술과 시장선도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글로벌 TOP 지위를 확보한 Display 부품 사업군은 신기술 개발 및 신제품 선 제안을 통한 시장선점으로 안정적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광학솔루션사업부 외 54.38%, 전장부품사업부 18.69%, 기판소재사업부 16.41%, LED사업부 10.51% 등으로 구성된다.


2. 하이비젼시스템

- 동사는 비젼기술을 응용한 각종 검사 및 공정장비의 개발/제조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설립되어, 2012년 (주)하이비젼시스템과 합병, 상호를 (주)하이비젼시스템으로 변경하였다.

- 주로 휴대폰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공정 및 검사의 자동화 장비의 개발 및 제조를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독보적인 비젼인식 기술과 카메라 모듈에 대한 프로세싱과 자동보정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 주요 고객사는 휴대폰 카메라모듈 제조사이며 카메라 모듈을 소비하는 글로벌 엔드 유저 중 내작을 하지 않는 대부분의 업체에 (삼성전자, LG이노텍 등) 장비가 공급되고 있다.

- 카메라모듈 부문의 국내 최대 업체인 LG이노텍, 삼성광통신 등에 납품이 이루어지고 있고 Cowell, Primax, Sharp 등 해외 대규모 카메라 모듈 제조 업체에도 동사의 장비가 일부 공급된다.

- 매출구성은 CCM자동화검사장비 70.75%, 영상평가장치 및 기타 25.61%, 3D 프린터 등 3.64% 등으로 구성된다.


3. LG디스플레이

- 동사는 TFT-LCD, OLED 등의 기술을 활용한 Display 및 관련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Display 단일 사업부문으로 구성된다.

- OLED는 2013년 1월 55인치 OLED TV를 세계 최초로 공급한 데 이어, UHD OLED TV, 플렉서블 OLED 스마트폰, Wearable용 원형(Round) OLED 패널 등을 지속적으로 출시했다.

- 노트북과 모니터 제품 등 전통 IT 제품 시장은 성장 정체 혹은 역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빠르게 진화 중인 e생태계 환경에 발맞춰 Smartphone등 중소형 Display 시장이 꾸준하게 성장 중이다.

- LCD에서는 IPS 기술 기반의 초대형/고해상도 UHD TV 및 대형/IPS/21:9 Curved 모니터 등 차별화 제품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in-TOUCH 기반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생산 체계를 구축했다.

- 매출구성은 Display 패널 100% 이다.


4. 프로텍

- 동사는 1997년 9월 1일에 반도체장비 및 자동화 공압 부품 등의 제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01년 8월 발행주식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 시스템사업부는 DISPENCER M,C등의 장비를 삼성전자, 앰코테크놀러지, 스태츠칩팩코리아 등에 공급하고 있으며, 뉴메틱 사업부는 PNEUMATIC CYLINDER 등의 장비를 공급 한다.

- BGA 패키지에 대한 후공정 디스펜서 장비는 국내시장은 외국업체와 동사가 시장을 선점. 국내 생산업체 중에서 유일하게 해외진출에 성공하여 ATS 및 골콘다 등을 통해 싱가포르 및 대만 시장에서 외국업체와 대등한 경쟁하고 있다.

- 동사는 기존 주력제품인 디스펜서 장비 관련 연구 개발뿐만 아니라, 반도체 장비의 개발, 제조의 Know-How를 이용 LED제조장비 기술개발 중에 있다.- 

- 매출구성은 시스템 91.7%, 뉴메틱 8.3%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문재인 대통령이 강한 개혁 의지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농업을 직접 챙기는 대통령이 되겠다던 문 대통령 후보의 당시 농정공약도 다시금 조명되고 있는데요. '국가 농정의 기본틀부터 바꾸겠다’고 약속한 문 대통령. 문 대통령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농업계도 현행 농정패러다임의 대전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관련 농업 관련 기업들을 살펴볼까합니다. (출처: 농어촌방송)


1. 농우바이오

- 동사는 농협기업집단에 속한 회사로서, 1990년 6월 종자 육종 및 육성연구에 대한 제반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어 2002년 4월 코스닥시장에 등록됐다.

- 동사의 주요 제품은 무, 고추, 당근, 수박, 배추, 토마토, 대목 등의 종자 및 작물재배용 상토로 구성된다.

- 여주, 밀양 2곳의 육종연구소를 비롯한 전국에 7개 지점, 중국, 인도네시아, 미국, 인도 등 해외현지법인 및 연구소 등을 보유한 유일한 국내 자본 종묘회사이다.

- 현재 과학기술부의 프론티어 과제, 농림부의 농업특정연구과제, 농촌진흥청의 바이오그린21사업에서, 동사는 대학교 등과 공동으로 상업화 할 종자 및 DNA chip을 개발할 계획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종자 84.16%, 상토 15.84% 등으로 구성된다.


2. 남해화학

- 동사는 비료 및 동 부산물의 생산 및 판매, 화학제품 및 동 부산물의 생산 및 판매 등을 목적으로 1974년 5월 8일 설립되었다.

- 사업부 구성은 크게 요소, 비료, 암모니아, 황산 등을 생산 및 판매하는 비료 화학 사업부, 유류 완제품 수입 및 주유소를 운영하는 유류 사업부로 구성된다.

- 2010년 12월 이후 호주 등의 신규 시장진출을 위한 호주 검역시스템(AQIS) 1등급 취득하였으며 호주(2010년 8천톤)를 시작으로 신규 시장개척 노력으로 2013년 6월 최초로 뉴질랜드 비료시장에 진출했다.

- 동사는 2015년 6월 GS에너지 등과 합작으로 집단에너지 사업을 영위하는 "여수그린에너지(주)"를 설립하였으며 석탄과 우드펠릿을 주연료로 하여 열과 전기를 생산판매하는 업체로서 250MW급 열병합발전소를 건립예정이다.

- 매출구성은 유류사업 42.52%, 비료제품 40.31%, 화학제품 17.17% 등으로 구성된다.


3. 효성오앤비

- 1984년 8월 23일에 설립 되어 고품질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 필요한 유기질비료를 생산, 판매하고 있다.

- 주요 제품으로는 유기질비료인 혼합유박(펠렛), 혼합유기질(펠렛), 유기복합(펠렛), 부숙유기질, 기능성 바이오제품 등이 있다.

- 1994년부터 현재까지 농협 계통 유기질 비료 납품부문 연속 1위를 하고 있으며, 제품 판매의 약 90%가 농협 중앙회를 통하여 전국에 계통계약 형태로 이루어지는 등 안정적인 판로 확보했다.

- 국내 비료시장에서 유기질비료 생산업체를 통한 임가공(OEM) 제품을 공급하는 형태가 아닌 단일사업부문에 의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업체로서 품질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업체는 동사가 유일하다.

- 매출구성은 유기질비료 53.09%, 상품 46.73%, 임대매출 0.18% 등으로 구성된다.


4. 조비

- 동사는 1955년 11월에 설립되어 1976년 12월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으며 친환경 맞춤 비료와 국내 최초로 완효성비료, 4종비료 등 생산공정을 갖추고 비료의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는 기업이다.

- 동사는 비료전문제조판매회사로 친환경비료와 국내 최초로 완효성비료, 4종비료 등 생산공정을 갖추고 총 607개 품목을 생산 및 판매하며, 이중 158개의 복합비료는 전국 농협중앙회, 단위농협 및 대리점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 두 차례의 산업합리화 조치에 의해 업계 구조조정 이후 현재 8개의 업체가 비료제조 및 판매하고 있으며 조비는 전체 비료시장 중 약 5~7%의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 국가출연연구기관과 공동연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노동력과 영농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비료를 개발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복합비료 75.26%, 유기질 외 24.74%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