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초 서울과 수도권에서 시작된 재활용쓰레기 대란이 있었습니다. 폐기물을 모아 되팔아 온 재활용 업체들이 최근 환경오염을 이유로 중국이 수입을 거부하자 수익성이 떨어진다며 수거를 거부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더해 중국은 올해 말부터 16개 폐기물 품목을 추가로 수입 금지할 예정이어서 쓰레기 대란이 재발할 가능성도 있는데요. 이번 사태의 해법을 논의하는 토론회에서는 이제 중국 탓만 할 것이 아니라 우리부터 달라져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졌습니다. (출처: YTN) 이번 사건을 계기로 재활용 수거와 폐기물 관련 시장에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 기존에 산업에 1,2등으로 달리던 기업들은 어떤 연구를 하고 있는지 궁금해지네요. 재활용 쓰레기 폐기물과 관련된 기업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혜인

- 1960년 10월 17일 혜인상사(주) 로 설립되었으며, 1969년 12월 26일에는 혜인중기(주) 로, 1986년 5월 31일에는 주식회사 혜인 으로 상호를 변경하였음. 1988년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 사업부문은 상품매출수입 부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에 오파수입, 정비수입, 임대수입, 공사수입, 전력매출, 제품매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 건설기계 및 부품사업부문과 오파수입부문은 건설기계 완제품 및 Caterpillar 엔진과 부품이 주종을, 정비부문은 건설기계 및 엔진정비가 주종, 임대부문은 건설기계 임대로 구성되어 있다.

- 건설기계, 엔진 등의 주요 사업은 건설 경기 등 전방산업의 수요 변동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사업 분야로서 전반적인 국내경기 상황, 정부의 사회간접자본 투자정책과 해외경제동향 등에 따라 수요가 좌우된다.

- 매출구성은 상품매출 72.15%, 제품매출 18.03%, 정비수입 4.93%, 임대수입 3.46%, 오파수입 0.98%, 전력매출 0.45% 등으로 구성된다.




2. 엑사이엔씨

- 동사는 1991년 5월 3일에 설립되었으며, 2001년 12월 13일 코스닥시장 상장했다.

- 동사는 전문건설부문의 클린룸, 파티션, 환경, 인테리어사업과 첨단부품부문의 Crystal Device사업 그리고 CNT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스피커제조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한다.

- 클린룸 사업에서 LG디스플레이 파주 9세대 라인과 LG화학 2차 전지 라인 및 LCD 유리기판 라인 등에 참여. Crystal Device는 LG전자 미주지역의 버라이존향 휴대폰과 미국 가스원격검침시스템에 채택됐다.

- 종속회사는 매출 및 수주증가와 중국의 물가상승 등 채산성의 악화로 2010년에 인도네시아 현지법인 설립을 하고, 2012년 3월에 공장을 준공. 인도네시아 공장에서는 TV용 일반 스피커와 오디오 스피커를 생산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클린룸 파티션 인테리어 74.6%, 엠소닉 15.01%, 엠소닉(인니) 4.66%, Crystal Device 3.33%, 엠소닉(연태) 2.16%, 사물인터넷 관련제품 0.24% 등으로 구성된다.


3. 서희건설

- 1982년 영대운수(주)를 설립하여 운송업을 영위하다, 1994년 9월 건설업으로 업종전환하고 1999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 동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부로는 건설토목부문, 환경부문, 기타부문으로 이루어져있으며 도급순위 30위를 기록하고 있다.

- 서희유성계열의 기업집단에 소속되었으며, 당반기 중 종속회사로 포함된 (주)애플트리디앤아이 등 6개의 연결종속기업을 보유하고 있다.

- 국내 음식물, 폐기물 처리 사업의 수행 경험과 수주 경쟁력을 기반으로 중국 등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해외사업으로 진출을 모색 중이다.

- 매출구성은 국내 도급공사 건축 79.08%, 기타 9.31%, 국내 도급공사 플랜트 6.98%, 국내 도급공사 토목 4.64% 등으로 구성된다.




4. 인선이엔티

- 1997년 11월에 설립되었으며 건설폐기물 수집, 운반 및 중간처리, 자동차 해체재활용 사업, 자동차 파쇄재활용사업 등 친환경 자원 재활용 사업을 영위하는 환경친화적 기업이다.

- 건설폐기물수집, 운반 및 중간처리와 순환골재 생산, 폐 아스콘 재활용 등을 영위하는 건설폐기물 재활용사업부문과 자동차해체재활용, 자동차파쇄재활용, 중고차 판매 등을 영위하는 폐 자동차 재활용사업부문으로 구분된다.

- 사업계획 반려처분에 대한 행정소송이 진행되었던 사천 매립 시설은 2015년 9월 15일 대법원에서 최종 승소하여 2016년 10월 매립장 조성 공사를 착공했다.

- 동사의 계열회사 인선모터스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연간 약 30,000여 대의 폐차를 매집, 해체하고 있으며 이는 2위 업체 대비 약 두 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 매출구성은 건설폐기물 48.83%, 자동차재활용 47.77%, 순환골재생산판매외 2.54%, 비계및구조물해체 0.84%, 임대수입 0.01% 등으로 구성된다.


5. 와이엔텍

- 1990년 8월에 설립되어 사업장폐기물처리를 주업으로 수집운반 및 중간처리, 최종처리와 골프장, 레미콘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이며 16년에 신규로 해상운송을 주요사업으로 하는 비에스쉬핑(주)에 100% 지분투자를 실시했다.

- 해운부문에서 동사는 선박 규모는 6,000t 급 1척과 11,000t 급 1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보유하고 있는 선종은 탱커선으로 중국 및 아시아권을 운항하고 있다.

- 레미콘은 수요처인 건설산업의 동향에 밀접한 영향을 받으며 성수기와 비수기가 확연히 구분되는 계절적 특성을 지니고 있고 동사는 (주)호남레미콘과 합병하여 영업을 하고 있다.

- 일본 기요모토 ROTARY KILN방식의 일 113톤 처리능력의 소각시설, 전처리 운영기술, 매립장운영기술, 침출수 고도처리기술, 산업폐열회수에 의한 스팀판매기술 등 우수한 처리시설과 기술 보유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해운 41.33%, 폐기물처리 27.25%, 레미콘 11.8%, 골프장 10.39%, 건설 4.82%, 기타 4.41%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어제 방영한 SBS스페셜 '신왕서방이 온다 - 한류 어벤져스' 편을 보고 E-스포츠의 사업성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되었는는데요. 최근 세계 e스포츠 시장의 가장 큰 트렌드는 프랜차이즈 시스템 도입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정통 스포츠 클럽이 e스포츠 시장에 뛰어들기 시작하면서 '큰 돈'이 몰리기 시작했고, 투자 규모가 커지면서 자연스레 투자받은 팀들의 출전을 보장하는 프랜차이즈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인데요.


돋보이는 변화는 또 있습니다. 유럽과 북미의 프로축구, 프로농구, 프로야구 등 다양한 정통 스포츠 클럽들이 시장에 들어오면서 스포츠 게임들이 e스포츠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는 것죠. 리그 오브 레전드,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CS:GO), 도타2, 오버워치 같은 메인 e스포츠 타이틀보다 피파18, NBA2k 같은 스포츠 타이틀을 통해 e스포츠 시장에 진출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스포츠 게임들의 e스포츠 시장 진출이 뚜렷해진 2018년은 e스포츠 역사에 큰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입니다. (출처: daily esports) 오늘은 이렇게 e-스포츠와 관련있는 회사들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1. 넵튠

- 2012년 설립된 동사는 모바일 게임 개발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었으며 제 3기 주주총회에서 블록체인 관련 사업 등을 사업목적에 추가했다.

- LINE 메신저를 통하여 LINE 퍼즐탄탄이라는 게임을 글로벌 시장에 출시하여 일본과 대만에서 iOS 및 AOS 마켓 모두에서 다운로드 1위를 기록한 바 있으며 성공적인 캐주얼 퍼즐 게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 유저가 감독이 되어 구단의 선수를 관리하는 시뮬레이션 게임인 넥슨 프로야구 마스터를 개발하였으며, 2017년 레전드라인업을 서비스하고 있다.

- 동사는 (주)에이치앤씨게임즈, (주)펠릭스랩, (주)지우게임즈를 통해서 소셜카지노 사업을 운영. 2017년 기준 소셜카지노게임 매출은 약 121억원을 달성했다.

- 매출구성은 소셜카지노게임 59.04%, 캐쥬얼(사천성) 33.95%, 기타 7.01% 등으로 구성된다.


2. 오리온

- 동사는 인적분할로 설립된 신설회사로 2017년 7월 재상장하였으며, 분할 전 회사인 오리온홀딩스가 영위하던 사업 중 음식료품의 제조, 가공 및 판매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 주요제품으로는 초코파이, 고소미, 다이제, 오징어땅콩 등이 있으며 웰빙트렌드에 부응하는 닥터유 시리즈, 마켓오 시리즈를 히트시키며 프리미엄 제품 시장을 선도하였다.

- 수출과 해외법인을 통한 생산, 판매를 병행하여 중국, 러시아, 베트남 등에서 해외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시장은 오랜 진출 역사와 초코파이 이후 여러 신제품의 히트로 경쟁사대비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 미래시장인 동남아시아 시장개척을 위해 베트남 법인이 수출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으며 러시아 법인은 초코파이, 초코송이와 같은 파워브랜드를 바탕으로 거대한 러시아 초콜릿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스낵 38.59%, 비스킷 29.6%, 파이 19.38%, 기타제품 13.64%, 기타 3.48%, 기타상품 3.12%, 매출에누리 -7.82% 등으로 구성된다.


3. 컴투스

- 동사는 1998년 설립되어 동사를 포함한 13개의 계열회사가 존재하며 주요종속회사와 모바일게임 개발 및 공급을 주요 영업으로 하고 있다.

- 주요 제품은 `타이니팜`, `컴투스프로야구`, `골프스타`, `낚시의 신`, `소울시커`, `사커스피리츠` 등으로 구성된다.

- 영국 `포켓게이머`가 선정한 `2016년 세계 50대 모바일 게임 개발사` 중 5위로 선정, 게임빌과 독자적인 글로벌 모바일게임 서비스 플랫폼인 `하이브`를 개발해 글로벌 역량을 강화해 인정받다.

- 진보한 플랫폼, 단말기 및 네트워크 환경 등에 대응하는 MMORPG 및 가상현실(VR) 등 미래지향적 게임 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 중이다.

- 매출구성은 모바일게임 99.57%, 온라인게임, 기타 0.43% 등으로 구성된다.


4. 카카오

- 동사는 다음과의 합병을 통해 우회상장. 전문화된 인력, 기술력, 콘텐츠, 경쟁력 높은 모바일 트래픽을 바탕으로 글로벌 모바일 및 인터넷 시장에서 혁신적인 라이프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라이프 플랫폼’ 기업이다.

- 국내 1위 메신저인 카카오톡, 국내 1위 SNS 서비스인 카카오스토리를 포함한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 국내 1위 택시 앱인 카카오택시를 출시하여 편익을 제공. 국내 대표 인터넷 포털 사이트인 다음 운영중이다.

- 동사는 `이동`하는 모든 순간을 더 빠르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들어 간다는 목표 하에 2017년 8월 1일 카카오모빌리티를 공식 출범하였다.

- 동사는 세계 최초로 모바일 메신저 기반 전자고지결제(Electronic Bill Presentment and Payment; 이하 EBPP) 서비스인 `카카오페이 청구서`를 출시하였다.

- 매출구성은 콘텐츠 플랫폼 50.4%, 광고 플랫폼 30.55%, 기타 19.04% 등으로 구성된다.


5. 액토즈소프트

- 동사는 1996년 10월 설립되어 소프트웨어 개발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온라인게임 천년, 미르의 전설, A3, 라테일 등의 게임을 국내외에 출시 했다.

- 종속기업은 온라인 및 모바일게임 및 소프트웨어 운영업을 영위하는 주요종속기업인 (주)아이덴티티엔터테인먼트를 포함한 총 5개의 회사로 구성된다.

- 2015년 1월 단순물적분할을 통해 3월 (주)액토즈게임즈를 설립, (주)아이덴티티모바일로 사명을 변경하고 `괴리성 밀리언아서`, `포켓원정대`, `그랜드 체이스M` 등을 출시하고 `파이널판타지14`등을 런칭 했다.

- 보유 온라인게임 IP를 향후 회사의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으며, `미르의전설` 시리즈에 대한IP사업의 일환으로 모바일 게임` 열혈전기`, `사파극전기` 가 중국내 서비스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온라인게임 70.73%, 모바일 23.68%, 기타 5.58%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18/04/23 - [===왕초보 주식 공부===/경제 이슈 이해하기] - 新왕서방이 온다, 주링허우 세대의 중국을 이해하는 3가지 포인트


법정 근로시간을 주당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단축하는 내용의 근로기준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논의된 지 5년만에 환경노동위원회 문턱을 넘었습니다. 현행 근로기준법은 하루 근로시간을 8시간씩 40시간으로 정했지만, 한 주에 12시간 연장근로가 가능하도록 허용하고 있는데요. 명목상으로는 주당 52시간 근무를 규정하고 있는 것 입니다. 


그렇지만 실제로 근로자들에게 적용되는 최장 허용 근로시간은 68시간입니다. 고용노동부 행정해석을 통해 휴일을 ‘근로일’에서 제외했기 때문이다. 토·일요일 각각 8시간씩 총 16시간의 초과근무가 가능한 구조다. 그러나 이번에 개정된 근로기준법은 토·일을 포함한 주 7일을 모두 ‘근로일’로 정의하는 법문을 명시했습니다. 주당 근로시간 허용치를 52시간으로 못 박은 것인데요.


다만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기업의 인건비 급증을 완화하기 위해 적용시기를 기업 규모별로 차등하기로 했습니다다. 300인 이상의 기업은 오는 7월 1일부터, 50∼299인 기업은 각각 2020년 1월 1일, 5∼49인 기업은 2021년 7월 1일부터 ‘주당 근로시간 52시간’을 지켜야 합니다. 30인 미만 기업에 대해서는 2022년 12월 31일까지는 특별연장근로 시간 8시간을 추가 허용하기로 했죠.


2000년대 초반, 주5일제가 태동될 무렵에도 근로자의 휴식이 늘어남에 따라 주가가 변동되는 종목들이 있었는데, 이번 대대적인 근로시간 단축을 통해서도 여가, 게임, 여행 등의 관련 산업에 호재로 작용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관련된 기업들을 몇가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CJ E&M

- 2010년 CJ오쇼핑으로부터 분할 설립되었으며, 2011년(주)온미디어 등 미디어/엔터테인먼트 계열 5개사를 합병하여 국내 최대 미디어/엔터테인먼트 회사로 재탄생했다.

- 합병 후 주요 사업으로 방송사업, 게임사업, 영화사업, 음악사업, 공연사업 부분을 영위하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다.

- 방송사업부문은 방송채널사용사업자로서 현재 tvN, Mnet, OCN, CH.CGV, XTM, O`live, Tooniverse 등의 채널 운영 및 통합 프로그램 제작 공급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영화사업부문에서는 영화의 제작, 투자 및 배급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영화 배급사별 관객 점유율 1위를 기록. 공연사업부문은 뮤지컬과 콘서트를 비롯해 전시, 문화 이벤트 등 다양한 라이브러리엔터테인먼트 사업 추진중이다.

- 매출구성은 방송 73.95%, 음원온라인 13.18%, 영화제작 11.35%, 공연 1.52% 등으로 구성된다.


2. CJ CGV

- 1999년에 설립되어 2004년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었으며 고품질의 멀티플렉스 극장을 국내 최초로 보급한 영화 상영 서비스 기업이다.

- 영화 상영업계의 선두주자로서 CGV강변 오픈을 시작으로, 2017년 말 기준 145개 사이트 1,085개 스크린을 운영하는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 사업자로서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 고객 니즈에 따라 공간이 변하는 `더 프라이빗 씨네마`, `씨네드쉐프`, `골드클래스`, `4DX`,`스타리움`, `SoundX` 등 차별화 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 동사는 2017년 러시아 시장 신규 진출을 결정하였으며, 러시아 로컬 개발상인 ADG와의 JV를 통해 시장에 진입하여 모스크바를 중심으로 확장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매출구성은 티켓판매 60.84%, 매점판매 16%, 광고판매 9.7%, 기타판매 9.4%, 장비판매 4.07% 등으로 구성된다.


3. 아시아나항공

- 1988년 설립되어 항공운수 사업을 주로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종속회사로 IT서비스, 시스템구축 등 정보통신부문을 영위하는 아시아나IDT와 항공화물하역 등 항공운송지원서비스부문을 영위하는 아시아나에어포트 등이 있다.

- 동사의 사업부문은 항공운수부문(아시아나항공), 정보통신사업부문(아시아나IDT), 항공운송지원서비스부문(아시아나에어포트), 기타부문(금호리조트 외 1개사)으로 구성되어 있다.

- 항공운송업은 그 특성상 유가, 환율, 경기변동 등 외부변수에 영향을 크게 받음. IT서비스산업은 시스템구축 등의 작업이 다양한 산업과 융복합이 진행되며 시장의 성장성 및 시장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 정보통신부문은 ICBM 신기술을 그룹사에 적용함으로서 그룹사의 경쟁력 및 영업력 강화에 기여하고, 그 경험에 기반한 대외 IT 구축 및 운영유지보수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항공운송부문 94.62%, 정보통신부문 4.96%, 항공운송지원서비스부문 4.42%, 기타부문 2.55%, 연결조정 -6.55% 등으로 구성된다.


4. 엔씨소프트

- 동사의 주된 사업은 온라인 게임의 개발 및 서비스 제공을 포함한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관련 인터넷 사업이며 본사를 거점으로 북미, 유럽 등 총 16개의 계열회사로 구성되어 있다.

- 동사의 핵심 경쟁력은 MMORPG에 특화된 세계적 수준의 게임 개발 능력이며 동사는 합병이나 외부 게임의 퍼블리싱을 통해 성장해온 기타 국내 온라인 게임회사와는 다르게 자체 게임 개발 역량 강화를 통해 성장하였다.

- 리니지`의 IP를 기반으로 본사에서 직접 개발한 모바일 RPG인 `리니지 레드나이츠`는 2016년 12월 국내시장 포함 12개국에서 동시 출시한 이래 국내 구글플레이와 앱스토어에서 매출 및 다운로드 1위 기록했다.

- 2017년 6월 `리니지` 기반의 모바일게임 `리니지M` 을 개발해 개발 2일만에 매출 및 다운로드 1위를 기록했으며, 7월 1일 일매출 130억원을 기록하는 등 높은 매출실적 기록 중이다.

- 매출구성은 모바일게임 54.53%, 로열티 11.69%, 블레이드앤소울 9.92%, 리니지 9.85%, 리니지II 4.14%, 길드워2 3.91%, 기타 3.17%, 아이온 2.8% 등으로 구성된다.


5. 넷마블

- 2011년 11월 설립된 동사는 2018년 `넷마블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모바일 게임의 개발 및 퍼블리싱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동사 포함 43개의 계열회사가 존재한다.

- 게임 산업은 무형의 고부가가치 산업인 동시에 재고자산이 없어 원자재 가격상승, 국제경제의 불안정한 흐름 등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다른 문화콘텐츠 산업보다 언어, 국가 문화 등의 장벽이 상대적으로 낮다.

- 게임 라인업 측면에서 MMORPG부터 캐쥬얼 장르까지 다양하게 구성하고 있으며, 구글 플레이, 애플 앱스토어 등 마켓에서 높은 순위를 보이는 게임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온라인 퍼블리싱을 모바일게임에 접목하고 있다.

- 북미지역 확대를 위해 캐쥬얼 게임회사인 Jam City, Inc.를 인수, 글로벌 유명 IP의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는 Kabam, Inc.을 인수하는 등 신규 지역발굴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모바일게임 95.42%, 기타 2.47%, 온라인게임 2.11%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자유한국당은 8일 김문수 전 경기지사를 서울시장 후보로 추대하기로 최종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16일 진행된 여론조사 결과에서는 6.13 재보선 서울시장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누가 나서더라도 자유한국당 김문수, 바른미래당 안철수 후보에 크게 앞선다는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는데요. (출처: 프레시안) 스캔들로 하루 아침에 정치 행보를 그만두게 되는 인물들이 속속 등장하면서 6월에 대한 확실한 예측은 불가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지방선거 관련하여 오늘은 자유한국당 김문수 전경기지사와 관련된 종목들을 한번 정리해두려합니다.


1. 대주전자재료

- 동사는 전자 제품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부품용 소재를 종합적으로 개발, 제조, 양산할 수 있는 전자재료 전문 기업이다.

- 동사가 생산 및 판매하고 있는 제품들은 디스크형 전자부품에 응용되는 액상 절연재료 등에서 스마트폰, 노트북 등에 사용되는 집형 전자부품에 응용되는 칩 부품용 전극재료와 EMI 차폐용 재료 등이 있다.

- 첨단 디스플레이와 나노재료, 태양전지용 전극재료, 차세대 2차 전지용 신재료와 연료전지용 촉매 및 전해질막 등 에너지 분야의 소재로 사업영역 다각화 계획중이다.

- 매출구성은 전도성페이스트 54.39%, 형광체 25.27%, 고분자재료 8.93%, 태양전지페이스트 5.6%, 제품기타 4.54%, 상품 원재료 1.27% 등으로 구성된다.


2. 한솔홈데코

- 동사는 1991년 12월 전주임산㈜로 설립된 종합건축자재 생산업체로써 우수한 품질의 국내 중밀도 섬유판(MDF), 마루바닥재, 인테리어재 등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 동사의 사업부분은 목재사업부문의 MDF사업부문, 강화마루사업부문 과 열병합사업부문으로 구성된다.

- 강화마루의 수요는 신축되는 주택 및 상업용 건설시장에 공급되는 신규수요와 이사 및 리모델링에 의해 교체되는 교체수요로 이루어져 주택건설 수요의 변동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 동사는 뉴질랜드 정부로부터 승인 받은 조림 탄소배출권을 활용하여 뉴질랜드 탄소배출권 리스회사로부터 2031년까지 약720만NZ$의 탄소배출권 수익을 전망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목재 97.4%, 열병합발전 2.6% 등으로 구성된다.


3. 옵티시스

- 동사는 영상신호용 디지털 광링크 제조를 목적으로 하는 업체로, 세계 최초로 디지털 광링크를 상용화해 반도체레이저 기술, 고속신호전송 기술, 디지털신호처리 기술과 광부품의 정밀 패키징 기술 등의 핵심기술을 보유한 업체이다.

- PC와 디지털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각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기기들 사이에 고속의 디지털 신호를 광전송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디지털 광링크의 개발,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영역으로 하고 있다.

- 설립 초기부터 동사 고유의 광커넥터 설계와 제조 설비를 동사 제품에 최적화시켜 개발함으로써 경쟁사에 비해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였다.

- 다양한 산업용 시장에 디지털 광링크를 보급하기 위해 노력하는 동시에 북미와 EU 여러 나라를 포함한 30여 개국에 수출을 하는 등 매출처를 다변화하여 경기변동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영상신호용 광링크 88.95%, CABLE 6.37%, 기타(상품) 2.48%, PC인터페이스용 광링크 1.78%, 기타 0.43% 등으로 구성된다.


4. 동아지질

- 1971년 설립되어 건설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사업은 토목분야의 보링 그라우팅 공사, 수중공사, 상하수도설비 공사, 토공사, 비계 구조물 해체 공사, 미장 방수 조적 공사, 철근 콘크리트 공사 등이 있다.

- 지배회사의 사업부문은 세부적으로 기계식 터널(SHIELD,SEMI-SHIELD),지반개량(DCM),지하연속벽, 일반토목 등으로 부문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종속회사의 경우 지반개량(DCM),지하연속벽 사업 등을 수행한다.

- 핵심 경쟁요소는 토질/암석 시험실 및 시험장비 시스템을 갖추어 지반에 관한 데이터를 오랜 기간 축적, 확보한 것을 바탕으로 지반조사-시험-계측-설계-시공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토탈서비스 능력이다.

- 현재 동사의 주요 매출처 및 매출비중은 CSDA JV 19%, 삼성물산 14%, 대우건설 12%, TSDA JV 10% 등이다.

- 매출구성은 토목 해외 57.83%, 토목 국내 36.58%, 기타 5.59%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가 점점 고조되고 있습니다. 종전에 대한 가능성도 시사하면서 증시 역시 이 기대감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상승효과를 누리고 있는데요. 정치와 금융계 모두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는 큰 이슈가 되었네요.


큰 이슈인 만큼 북측 통일각에서 4·27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의전·경호·보도분야 2차 실무회담을 갖고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간 첫 악수부터 생방송으로 전 세계에 알리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는 이번 정상회담이 공동경비구역(JSA) 내 남측 지역인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열린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사실상 김정은 위원장이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오는 순간부터 전파를 타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동아일보)


특히 강원도는 남북을 잇는 동해북부선을 시작으로 도로·항공·해운 등 남과 북을 잇는 땅길·하늘길·바닷길 개척에 나서, 정부에 동해북부를 연결하는 SOC건건설을 위한 자금을 신청한다고 합니다. (출처: 강원도민일보) 관련된 기업들은 어떤 곳들이 있을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도화엔지니어링

- 1957년 설립된 도화종합설계사무소를 모태로 1962년 도화종합기술공사로 설립되어 2011년 도화엔지니어링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 상하수도, 수자원개발, 도시계획, 조경, 도로교통, 교량, 터널, 항만, 철도, 환경 등 엔지니어링 전 분야 업무를 수행하는 종합 엔지니어링 컨설팅 회사이며 플랜트 사업과 EPC 사업 등도 영위하고 있다.

- 개발도상국의 인프라 투자 확대에 힘입어 해외시장의 잠재성이 높으며 동사는 국내뿐 아니라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필리핀, 네팔 등 국내외의 기술용역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다.

- 부문별로 2개의 연구실을 두고 있음. 최근 연구 개발 실적으로는 노후도로 표면 보수 사업화 등이 있다.

- 매출구성은 설계 82.08%, 감리 14.97%, 공사 2.79%, 전력판매 0.16% 등으로 구성된다.


2. 에코마이스터

- 1982년 8월 설립된 동사는 금속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래그를 재활용하는 환경사업과 철도차량 유지 보수하는 철도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환경사업의 장비부문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한 친환경 슬래그 처리 특허기술인 SAT를 적용한 슬래그 처리설비(SAP)를 제작 및 설치, 운영하여 사업장폐기물 배출자인 금속제조사의 슬래그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 슬래그 처리설비(SAP)를 통해 생산된 PS Ball(슬래그 가공제품)을 폐기물인 아닌 유가물로 제조하여 산업 소재로 판매하고 있다.

- 철도차량 차륜 검사 및 가공을 위한 철도차량 차륜가공기계와 철도차량 계측 및 검수 장비를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 유일의 철도차량 차륜가공기계 메이커로서 공작기계 중 고유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CNC 전삭기 등 50.83%, 슬래그처리비 23.24%, PS Ball 16.17%, 환경기타 8.70%, 철도기타 0.98%, SAP 0.08% 으로 구분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