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모정보

  • 시장구분: 코스닥
  • 업종: 내의 및 잠옷 제조업
  • 기업구분: 중소일반
  • 총공모주식수: 2,518,500주
  • 희망공모가액: 10,100 ~ 11,500원
  • 확정공모가액: 11,500원
  • 공모경쟁률: 51.47:1


2. 기업개요

  • 1999년 9월 설립된 동사는 패션산업 시장의 여성용 언더웨어 제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르페(LEFEE), 미싱도로시(MISSING DOROTHY) 등 자체 브랜드 언더웨어를 디자인하고 제품 기획하고 있다.
  • 원가경쟁력이 높은 동남아 외주생산 체제 구축을 통해 자체 제조라인을 보유하지 않고 해외 협력업체로부터 주로 임가공을 아웃 소싱하고 있으며 무점포 온라인 위주 판매방식을 운영하는 등 타사 대비 원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 생산 및 물류서비스를 영위하는 자회사 (주)엠글로벌은 통해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중국 등 해외 공장에서 외주 가능한 제품을 공급받아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 중국 온라인 쇼핑시장의 급성장세를 고려하여, 중국 인터넷 쇼핑몰 Tmall에 몰을 오픈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원더브라’ 중국시장 판권을 보유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원더브라 48.11%, 플레이텍스 19.74%, 크로커다일 10.59%, 저스트마이사이즈 9.38%, 미싱도로시 3.89% 등으로 구분된다.


엠코르셋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 함께보면 좋은 글들

2018/07/27 - [▶ 왕초보 주식 공부/신규상장 인사이드] - 올릭스 - 2018년7월18일 신규상장

2018/07/26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제약바이오 실적 랠리, 저가매수 관련 주식

2018/06/26 - [▶ 왕초보 주식 공부/신규상장 인사이드] - EDGC(이원다이애그노믹스) - 2018년 6월 26일


※ 출처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1. 공모정보

  • 시장구분: 코스닥
  • 업종: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
  • 기업구분: 중소일반
  • 총공모주식수: 1,200,000주
  • 희망공모가액: 26,000 ~ 30,000원
  • 확정공모가액: 36,000원
  • 공모경쟁률: 847.09:1


2. 기업개요

  • 2010년 2월에 설립되었으며 RNA간섭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치료제가 접근하기 어려운 질환에 대한 치료제의 개발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RNA간섭기술 중 siRNA에 대한 원천기술인 "자가전달 비대칭 siRNA" 기술을 자체 확보하여 난치성 질환에 대한 신약을 개발하는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 타사의 핵산치료제 및 RNA간섭 기술에 비해 신약 후보 물질 도출기간이 ?으며, 모든 단백질에 대해서 발현억제가 가능하고, 기존 RNA 간섭 기술의 부작용 해소 등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 국소투여 질환에 대해 세계 최고 수준의 치료제 개발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BIO 컨퍼런스 등 마케팅 기회를 활용하여 글로벌 제약사에 대한 Business Development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매출구성은 기술이전수익 81.98%, 기타매출 18.02% 으로 구분된다.

올릭스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 함께보면 좋은 글들

2018/06/26 - [▶ 왕초보 주식 공부/신규상장 인사이드] - EDGC(이원다이애그노믹스) - 2018년 6월 26일

2018/07/10 - [▶ 왕초보 주식 공부/신규상장 인사이드] - SV인베스트먼트 - 2018년 7월 6일

2018/07/16 - [▶ 왕초보 주식 공부/신규상장 인사이드] - 아이큐어 - 2018년 7월 16일 신규상장


※ 출처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1. 공모정보

  • 시장구분: 코스닥
  • 업종: 의약품 제조업
  • 기업구분: 중소일반
  • 총공모주식수: 1,200,000주
  • 희망공모가액: 44,000원~55,000원
  • 확정공모가액: 65,000원
  • 공모경쟁률: 331.42:1



2. 기업개요

  • 2000년 5월 설립된 동사는 약물전달시스템(DDS)분야 중에서 고성장 사업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경피약물전달시스템(TDDS)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세부 기술을 가지고 근육통, 관절통, 신경통, 천식, 금연보조, 치매 등을 적응증으로 하는 경피흡수제를 상업화 하였고, 50여종의 OTC의약품(일반의약품) 및 87여종의 전문의약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다.
  • 이미용 분야 첫 경피약물전달시스템(TDDS) 응용 제품인 하이드로겔 패취를 시작으로 치아미백 패취, 아토피패취, 브이라인패취 등을 본격적으로 유핏, GS홈쇼핑에 공급하여 동사 기술력의 인지도를 쌓았다.
  • ODM 브랜드인 ‘더유핏의 미라팩’을 롯데 홈쇼핑에, 자사 브랜드인 ‘닥터탑 헤어필’을 GS홈쇼핑에서 출시하였고 코스메슈티컬 브랜드인 ‘메디타임 네오 보탈리늄 앰플’을 GS홈쇼핑에 런칭하였다.
  • 매출구성은 화장품 60.64%, 제약 39.36%으로 구분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7/10 - [▶ 왕초보 주식 공부/신규상장 인사이드] - SV인베스트먼트 - 2018년 7월 6일

2018/06/26 - [▶ 왕초보 주식 공부/신규상장 인사이드] - EDGC(이원다이애그노믹스) - 2018년 6월 26일


법정 근로시간을 주당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단축하는 내용의 근로기준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논의된 지 5년만에 환경노동위원회 문턱을 넘었습니다. 현행 근로기준법은 하루 근로시간을 8시간씩 40시간으로 정했지만, 한 주에 12시간 연장근로가 가능하도록 허용하고 있는데요. 명목상으로는 주당 52시간 근무를 규정하고 있는 것 입니다. 


그렇지만 실제로 근로자들에게 적용되는 최장 허용 근로시간은 68시간입니다. 고용노동부 행정해석을 통해 휴일을 ‘근로일’에서 제외했기 때문이다. 토·일요일 각각 8시간씩 총 16시간의 초과근무가 가능한 구조다. 그러나 이번에 개정된 근로기준법은 토·일을 포함한 주 7일을 모두 ‘근로일’로 정의하는 법문을 명시했습니다. 주당 근로시간 허용치를 52시간으로 못 박은 것인데요.


다만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기업의 인건비 급증을 완화하기 위해 적용시기를 기업 규모별로 차등하기로 했습니다다. 300인 이상의 기업은 오는 7월 1일부터, 50∼299인 기업은 각각 2020년 1월 1일, 5∼49인 기업은 2021년 7월 1일부터 ‘주당 근로시간 52시간’을 지켜야 합니다. 30인 미만 기업에 대해서는 2022년 12월 31일까지는 특별연장근로 시간 8시간을 추가 허용하기로 했죠.


2000년대 초반, 주5일제가 태동될 무렵에도 근로자의 휴식이 늘어남에 따라 주가가 변동되는 종목들이 있었는데, 이번 대대적인 근로시간 단축을 통해서도 여가, 게임, 여행 등의 관련 산업에 호재로 작용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관련된 기업들을 몇가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CJ E&M

- 2010년 CJ오쇼핑으로부터 분할 설립되었으며, 2011년(주)온미디어 등 미디어/엔터테인먼트 계열 5개사를 합병하여 국내 최대 미디어/엔터테인먼트 회사로 재탄생했다.

- 합병 후 주요 사업으로 방송사업, 게임사업, 영화사업, 음악사업, 공연사업 부분을 영위하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다.

- 방송사업부문은 방송채널사용사업자로서 현재 tvN, Mnet, OCN, CH.CGV, XTM, O`live, Tooniverse 등의 채널 운영 및 통합 프로그램 제작 공급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영화사업부문에서는 영화의 제작, 투자 및 배급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영화 배급사별 관객 점유율 1위를 기록. 공연사업부문은 뮤지컬과 콘서트를 비롯해 전시, 문화 이벤트 등 다양한 라이브러리엔터테인먼트 사업 추진중이다.

- 매출구성은 방송 73.95%, 음원온라인 13.18%, 영화제작 11.35%, 공연 1.52% 등으로 구성된다.


2. CJ CGV

- 1999년에 설립되어 2004년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었으며 고품질의 멀티플렉스 극장을 국내 최초로 보급한 영화 상영 서비스 기업이다.

- 영화 상영업계의 선두주자로서 CGV강변 오픈을 시작으로, 2017년 말 기준 145개 사이트 1,085개 스크린을 운영하는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 사업자로서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 고객 니즈에 따라 공간이 변하는 `더 프라이빗 씨네마`, `씨네드쉐프`, `골드클래스`, `4DX`,`스타리움`, `SoundX` 등 차별화 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 동사는 2017년 러시아 시장 신규 진출을 결정하였으며, 러시아 로컬 개발상인 ADG와의 JV를 통해 시장에 진입하여 모스크바를 중심으로 확장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매출구성은 티켓판매 60.84%, 매점판매 16%, 광고판매 9.7%, 기타판매 9.4%, 장비판매 4.07% 등으로 구성된다.


3. 아시아나항공

- 1988년 설립되어 항공운수 사업을 주로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종속회사로 IT서비스, 시스템구축 등 정보통신부문을 영위하는 아시아나IDT와 항공화물하역 등 항공운송지원서비스부문을 영위하는 아시아나에어포트 등이 있다.

- 동사의 사업부문은 항공운수부문(아시아나항공), 정보통신사업부문(아시아나IDT), 항공운송지원서비스부문(아시아나에어포트), 기타부문(금호리조트 외 1개사)으로 구성되어 있다.

- 항공운송업은 그 특성상 유가, 환율, 경기변동 등 외부변수에 영향을 크게 받음. IT서비스산업은 시스템구축 등의 작업이 다양한 산업과 융복합이 진행되며 시장의 성장성 및 시장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 정보통신부문은 ICBM 신기술을 그룹사에 적용함으로서 그룹사의 경쟁력 및 영업력 강화에 기여하고, 그 경험에 기반한 대외 IT 구축 및 운영유지보수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항공운송부문 94.62%, 정보통신부문 4.96%, 항공운송지원서비스부문 4.42%, 기타부문 2.55%, 연결조정 -6.55% 등으로 구성된다.


4. 엔씨소프트

- 동사의 주된 사업은 온라인 게임의 개발 및 서비스 제공을 포함한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관련 인터넷 사업이며 본사를 거점으로 북미, 유럽 등 총 16개의 계열회사로 구성되어 있다.

- 동사의 핵심 경쟁력은 MMORPG에 특화된 세계적 수준의 게임 개발 능력이며 동사는 합병이나 외부 게임의 퍼블리싱을 통해 성장해온 기타 국내 온라인 게임회사와는 다르게 자체 게임 개발 역량 강화를 통해 성장하였다.

- 리니지`의 IP를 기반으로 본사에서 직접 개발한 모바일 RPG인 `리니지 레드나이츠`는 2016년 12월 국내시장 포함 12개국에서 동시 출시한 이래 국내 구글플레이와 앱스토어에서 매출 및 다운로드 1위 기록했다.

- 2017년 6월 `리니지` 기반의 모바일게임 `리니지M` 을 개발해 개발 2일만에 매출 및 다운로드 1위를 기록했으며, 7월 1일 일매출 130억원을 기록하는 등 높은 매출실적 기록 중이다.

- 매출구성은 모바일게임 54.53%, 로열티 11.69%, 블레이드앤소울 9.92%, 리니지 9.85%, 리니지II 4.14%, 길드워2 3.91%, 기타 3.17%, 아이온 2.8% 등으로 구성된다.


5. 넷마블

- 2011년 11월 설립된 동사는 2018년 `넷마블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모바일 게임의 개발 및 퍼블리싱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동사 포함 43개의 계열회사가 존재한다.

- 게임 산업은 무형의 고부가가치 산업인 동시에 재고자산이 없어 원자재 가격상승, 국제경제의 불안정한 흐름 등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다른 문화콘텐츠 산업보다 언어, 국가 문화 등의 장벽이 상대적으로 낮다.

- 게임 라인업 측면에서 MMORPG부터 캐쥬얼 장르까지 다양하게 구성하고 있으며, 구글 플레이, 애플 앱스토어 등 마켓에서 높은 순위를 보이는 게임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온라인 퍼블리싱을 모바일게임에 접목하고 있다.

- 북미지역 확대를 위해 캐쥬얼 게임회사인 Jam City, Inc.를 인수, 글로벌 유명 IP의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는 Kabam, Inc.을 인수하는 등 신규 지역발굴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모바일게임 95.42%, 기타 2.47%, 온라인게임 2.11%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