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산업은 관광규제 완화에 대한 가시성이 높아지기 전 센티멘트의 선행적 회복을 보였지만, 그 후 ‘저조한 단기 실적’이 대조를 보이며 밸류에이션 부담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4월 기준 유커 인바운드 +60.9%, 전체 외국인 입국객 +23.8%으로 중국인 비중은 27.5%(+6.3%p YoY)로 상향되었으며, 일본인 관광객 유입도 +29.0% YoY(21.4만명)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는데요. 특히, 유커 집중 유입되는 제주공항의 중국 항공노선 이용자 수가 142.5% YoY(14.7만명) 급증하며 회복의 직

접적 시그널로 작용했으며, 기존 단체관광 허용된 베이징,산둥성에 이어 5월 기점 우한,충칭 지역 추가 확대 등을 긍정적 사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바운드 회복에 따른 면세점채널의 향후 실적반등은 예상했던 바 ‘불안요소의 해갈’ 수준으로 인식되며, 유커의 월별 데이터와 별개로 업종지수를 견인할 수 있는 ‘잠재적 모멘텀 트래킹’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됩니다. 이와 관련된 몇 가지 화장품 종목 살펴보려합니다.


 


1. 코스맥스

  • 2014년 4월 7일 코스맥스가 사업회사인 코스맥스와 지주회사인 코스맥스비티아이로 분할되어 재상장하였으며, 현재 9개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다.
  • 동사는 화장품 ODM 전문 기업이며, 국내외 600여개 브랜드에 화장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해외고객으로는 세계 최대의 화장품 그룹인 L 그룹을 비롯하여 미국의 M사, J사 등 약 50여개 브랜드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 동사의 젤 타입의 아이라이너는 단일 품목으로는 처음으로 4천만개 이상 생산하였으며, 이중 3천만개 이상을 해외 수출하는 실적을 보인 글로벌 히트 제품이다.
  • 전체 인력의 약 25% 정도를 연구 개발 인력이 차지. 코스맥스 기술연구원은 스킨케어 R&I, 메이크업 R&I 외에도 CF Lab, EM Lab, HM Lab 등 기초와 색조를 하나로 합한 연구조직을 운영하고있다.
  • 매출구성은 화장품 107.05%, 연결조정 -7.05% 등으로 구성된다.


2. 아모레퍼시픽

  • 동사는 화장품의 제조 및 판매, 생활용품의 제조 및 판매, 식품(녹차류, 건강기능식품 포함)의 제조, 가공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며, 화장품과 생활용품, 녹차 사업으로 구분된다.
  • 화장품 사업부문의 주요 제품으로는 설화수, 헤라, 아이오페, 이니스프리, 에뛰드 등이 있으며, Daily Beauty&Sulloc 사업부문의 제품으로는 미쟝센, 해피바스, 덴트롤, 려, 송염, 설록차 등이 있다.
  • 프리미엄 사업부는 혁신적인 신제품과 차별화된 디지털 마케팅 활동을 바탕으로 젊은 고객층을 확대하였으며, 생활용품 사업부는 브랜드 및 제품의 프리미엄화와 유통 채널 다변화에 집중하였다.
  • 오설록 사업부는 오설록 삼다연 삼(杉) 병차가 2016년 시즈오카 세계 녹차 콘테스트에서 금상을 수상, 녹차 우전이 2016 북미 차 챔피언십 덖음차 부문 1등을 차지하는 등 글로벌 명차 브랜드로 위상을 높이고 있다.
  • 매출구성은 화장품 91.07%, Daily Beauty & Sulloc 8.93% 등으로 구성된다.


3. 아모레G

  • 동사는 2006년 6월 인적 분할을 통해 화장품, 생활용품, 식품 등의 제조 및 판매와 관련된 사업을 (주)아모레퍼시픽으로 이전하였으며 연결 대상법인에는 화장품, 제약, 기타사업부문의 총 33개의 법인이 포함된다.
  • 동사는 순수지주회사로서 동사는 자회사의 지분 소유를 통해 자회사의 사업내용을 지배하는 지주사업을 중점으로 하고 있다.
  • 화장품 업계는 브랜드뿐만 아니라 상품을 중요시하는 소비가 활성화됨에 따라 멀티채널 및 멀티브랜드를 이용하는 고객과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제품을 원하는 고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주)아모레퍼시픽, (주)이니스프리 등을 비롯한 동사의 자회사는 신성장 채널인 온라인, 홈쇼핑 등으로 판매채널을 확대,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 매출구성은 화장품 97.74%, 기타 5.8%, 내부거래 -3.54%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31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철강) 중국 인프라투자와 철강 가격상승 이슈를 통해 재평가

2018/05/29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건설/기계) 하반기 중국 수출 호조지속과 북한 개발 가능성

2018/05/28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화학) 중국 환경보호로 인한 가성소다&염소 관련 기업의 실적개선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현대차투자증권 "지수 횡보:불안요소의 해갈, 모멘텀에 대한 갈증"



무엇이든지 배달시키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인터넷으로 배달하는 일이 많아지면 함께 증가하는 것이 있습니다. 자취하는 분들이라면 크게 공감하실텐데 바로 박스 쓰레기 입니다. 박스를 만드는데 필수 원재료인 골판지업체의 성장도 기대가 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골판지 사업은 전체 경기흐름과 강하게 비례되기 때문에 경제성장이 하락세일 경우 주가도 마찬가지의 흐름을 보이기도 합니다. '소확행'이라는 작은 소비가 늘어나면서 작은 박스들의 수요도 많지 않겠냐는 반론을 생각해볼 수도 있겠습니다만 회사의 성장은 여전히 두고 봐야할 문제인 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포장과 골판지 관련 주식을 정리해보려합니다.



1. 동원시스템즈

- 각종 포장재와 알미늄을 제조, 가공 및 판매하는 동원그룹 계열사로 최대주주는 (주)동원엔터프라이즈(지분율 : 79.88%)이다.

- 포장사업부문에서는 연포장재, 알미늄박, 성형용기, 식품용·음료용CAN, E.O.E 등 대부분의 포장재를 생산하며 국내 최초로 식관용 DRD 캔을 개발하였고, E.O.E를 국내 생산하여 수입품 대체뿐 아니라 수출화했다.

- 건설사업부문은 1군 건설업체로서 도로/항만/철도 등 사회간접 시설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LH공사 등으로부터 우수시공업체로 선정된 바가 있다.

- 수지사업부는 LCD보호필름 개발을 발판 삼아 접착제의 별도 도포 없이 필름의 3층 구조상 자체 점착층을 가지는 자가 점착필름을 개발하여 동사의 접착제 없는 필름 시장의 매출 확대가 전망된다.

- 매출구성은 성형/연포장/유리병 39.28%, 제관 22.18%, 공사/분양수익 18.86%, 알미늄 6.61%, 수지 5.24%, 용역/임대수익 4.09%, 인쇄 2.21%, 기타 1.53% 등으로 구성된다.



2. 아세아제지

- 골판지원지 등 산업용지를 주요 제품으로 하며 종속회사를 통하여 골판지상자 제조업, 재생원료 수집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 2012년 금호페이퍼텍을 시너지 극대화 차원에서 흡수합병. 2008년 에이피리싸이클링을 설립해 재생재료 확보 기반을 마련. 2015년에는 자회사 제일산업이 손자회사인 삼성수출포장을 흡수합병하며 효율성 제고했다.

- 소각보일러와 고형화 연료보일러 효율을 극대화하여 원가절감을 통한 수익성을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원료확보와 판매안정을 위한 폐지수집사업과 판지계열화를 한층 강화하여 계열화 전략을 완성했다.

- 매출구성은 골판지원지 61.5%, 골판지 및 상자 36.19%, 기타 2.31% 등으로 구성된다.




3. 태림포장

- 1976년 설립되었으며, 골판지 제조 및 판매, 골판지 상자 수출, 부동산 임대업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며 9개 계열회사를 두고 있음. 이 중 상장사는 태림포장 1개이며, 비상장사는 8개이다.

-수도권의 시화공장을 중심으로 전국의 지역 경제 거점에 위치한 현지 공장들의 첨단 자동화 설비 및 생산 물류 통합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최고 품질의 제품을 신속하게 공급하고 있다.

- 주력 사업은 골판지 상자 생산 및 판매.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의 고강도 지관원지(CB)의 생산으로 지관원지 시장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 골판지 포장산업은 전체 산업의 경기변동에 민감하게 연동되며 계절적인 경기변동은 크지 않다.

- 매출구성은 골판지상자 90.97%, 골판지원지 17.32%, 화물운송 0.04%, 내부매출액 -8.33% 등으로 구성된다.



4. 신대양제지

- 1982년 설립되었으며 골판지 원지를 제조, 판매를 목적사업으로 영위. 7개의 계열회사를 통해 골판지 원지 및 상자를 제조 판매하고 있다.

- 골판지원지는 골을 만들어 완충역할을 하는 골심지와 골심지의 표면에 접합하여 인쇄를 하는 표면지(크라프트라이너지)와 안쪽의 이면지(테스트라이너지)로 구분되는데 동사는 골심지, 이면지, 표면지의 전지종을 생산한다.

- 동사는 2016년도에 골판지용 원지를 527,135톤 생산하였으며, 업계 총 생산량인 4,852,659톤의 10.9%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한다.

- 골판지 원단 및 골판지 상자를 생산, 판매하는 골판지 전문업체로서 업계 상위에 있으며, 구매고객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다품종, 고품질로 계속적으로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진행 중이다.

- 매출구성은 골판지 원지 71.34%, 골판지 상자 28.66% 등으로 구성된다.




5. 수출포장

- 1974년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었으며 골판지용 원지 제조,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골판지 원지부터 골판지, 골판지 상자를 일관 생산하는 업체로 원재료의 빠르고 안정적인 수급이 가능하며, 재고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어 가격경쟁력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

- 골판지 산업은 제조 시 대규모의 용수가 필요하고 건조공정이 필수적으로 전력비, 연료비 등 에너지 관련 비용이 크게 차지하는 에너지 다소비 산업이며 원자재(펄프 및 고지) 점유비율이 매우 높다.

- 골판지 포장시장의 수요는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으며 소규모의 골판지 상자 전문공장은 줄어들고, 대형 일괄생산공장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 매출구성은 골판지상자 및 원단 99.92%, 골판지원지 0.08% 등으로 구성된다.



6. 대영포장

- 1979년 설립되어 1990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으며 골판지 원단 및 골판지 상자를 일괄 생산 판매하는 골판지 전문업체이다.

- 골판지 전문업체의 업계 상위에 있으며, 3중골판지(빠렛트)시장이 수요의 증가로 인한 업계 상위를 유지하고 있다.

- 골판지 제조업체별 브랜드가 없고, 품질 및 기술의 차별성이 적어 업체별로 대형화, 고속화, 자동화로 수주경쟁이 치열하고 정형화된 규격의 품질, 납기, 다품종, 다규격 생산시스템, 물류비 절감 등의 가격경쟁력이 중요하다.

- ISO-9001와 ISO-14001 인증 획득, 이층골심판지로 해외 특허 취득, IR52 장영실상 수상, 다중골심판지, 고강도 골판지상자 제조법과 예비 괘선을 이용한 골판지상자 성형장치 및 방법 특허 취득했다.

- 매출구성은 원단 48.31%, 상자 46.76%, 상품 및 부산물 외 4.93%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 왕초보 주식 공부 > 테마주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관련주식 정리  (0) 2018.03.02
택배 관련주식 정리  (0) 2018.03.02
스마트러닝 관련주식 정리  (0) 2018.03.01
커피 관련주식 정리  (1) 2018.03.01
저가 항공 관련주식 정리  (0) 2018.02.28

시즌마다 헬스나 뷰티와 관련된 재료들이 하나씩 있는데요. 최근에는 티비를 켜면 '히알루론산'을 내세워 광고하는 제품들이 많이 보입니다. 히알루론산이란 동물 등의 피부에 많이 존재하는 생체 합성 천연 물질로, 피부에서 보습 작용의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인간의 피부에도 존재하며, 특히 지렁이의 피부에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습 작용이 있으므로 화장품 등에 많이 들어있고, 다양한 상피세포에서 발현되어 있는 CD44단백질과 반응하여 다양한 생리적 작용을 조절하는 물질입니다. 오늘은 이슈 물질인 '히알루론산' 관련 수혜 테마주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휴메딕스

- 핵심이슈 :: 히알루론산 필러 ‘엘라비에’와 휴톡스를 연계해 미용성형과 에스테틱(피부미용) 분야에서 매출 시너지를 극대화해 나가기로 했다. (출처: 비즈조선)

- 히알루론산 기반의 의료기기 및 관절염치료제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다.

- 히알루론산 기반의 원천기술과 PEG(PolyEthylene Glycol) 유도체 합성 기술은 약품(바이오 의약품 포함), 의료기기, 화장품 및 이들의 기초가 되는 기능성소재에 사용된다.

- 주요제품은 천연 생체 고분자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기반으로 하는 의약품(골관절염 치료제) 및 의료기기 더말 필러(dermal filler)이다.

- PEGnology를 이용한 개발타당성이 있는 의약품들과 바이오-베터(Bio-better) 개발을 위한 후보품목들을 스크리닝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제품 91.54%, 상품 7.94%, 기타 0.52% 등으로 구성된다.



2. 파마리서치

- 핵심이슈 :: 히알루론산 필러 ‘클레비엘’ 브랜드를 확보함으로써 피부과 등을 통한 전문 피부미용 사업을 확대한다는 계획하고 있다. (서울경제)

- 연구 중심의 조직재생의약을 선도하는 바이오 제약회사로 해양 바이오 의약신소재인 PDRN/PN 제조 기술을 확보하고, 해당 소재를 기반으로 한 의약품, 의료기기 및 헬스케어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재생과학 전문회사이다.

- PDRN, PN은 인체 고유의 재생 매커니즘을 활성화 및 촉진시키는 물질로서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인된 재생의학원료로서 연어의 생식세포에서 분리된 DNA를 분리, 정제하여 의약품 및 의료기기 원재료로 사용한다.

- 당기 중 미국내 현지법인 신설 예정에 있다.

- 매출구성은 상품 기타 41.93%, PDRN제품 37.43%, PDRN상품 13.39%, 제품 기타 6.11%, 기타 1.14% 등으로 구성된다.




3. 메디톡스

- 핵심이슈 :: 히알루론산 필러 ‘뉴라미스’ 시리즈가 출시 5년만에 누적 판매량 800만개를 돌파했다는 소식이 들렸다. (출처: 비즈조선)



4. 일동제약

- 핵심이슈 :: 프로바이오틱스 코팅 소재에 수화 히알루론산을 활용한 특허기술을 취득했다. 프로바이오틱스 섭취시 위장관 내에서의 균 생존율을 높이고 장 점막에 자리잡도록 하는 부착능 등을 개선한 것이다. (출처: 비즈조선)

- 분할 전 회사인 일동홀딩스가 영위하던 사업 중 의약품, 의약품 원료부문 일체를 영위하고 있다.

- 제약산업은 신약개발을 위한 연구에서부터 원료 및 완제 의약품의 생산과 판매 등 모든 과정을 포괄하는 첨단 부가가치 산업으로, 소득수준 및 삶의 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며 사회적 수요와 시장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 동사는 아로나민 류, 사미온, 후루마린 등의 기존 주요 의약품의 국내매출을 유지 및 확장함과 동시에 비오비타의 베트남 수출을 시작으로 향후 동남아시아 및 일본수출에 전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 동사는 서울대학교와 기술이전 및 협력을 통한 신약개발사업인 펩타이드 항암치료제(GRS), LG생명과학과 차세대 B형 간염 치료제 출시를 위한 B형간염 치료제(베시포비르) 사업 등 다양한 신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기타 68.39%, 제품 29.42%, 상품 2.19% 등으로 구성된다.




5. LG화학

- 핵심이슈 : 히알루론산 필러 ‘이브아르’ 패키지 리뉴얼했다. (출처: 한경헬스)

- LG그룹의 계열사로 기초소재사업과 전지사업, 정보전자소재 및 재료사업과 바이오산업을 영위. 자회사 ㈜팜한농은 작물보호제, 비료, 종자 등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한다.

- ABS, SAP 등을 생산하는 기초소재 사업과 편광판, 수처리필터 등 정보전자소재와 휴대폰, 전기자동차에 쓰이는 리튬 이온전지를 생산/판매하는 전지사업, 의약품, 백신, 작물보호제 등을 생산하는 생명과학 사업을 영위한다.

- 기초소재 사업은 기존 범용 제품 중심에서 고부가가치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재편했다.

- 최근에는 기초소재 사업을 고도화하는 동시에 에너지, 물, 바이오를 신성장 동력으로 선정하고 미래 산업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 매출구성은 기초소재 사업부문 67.45%, 전지 사업부문 17.17%, 정보전자소재 및 재료 사업부문 10.53%, 공통 및 기타부문 2.77%, 생명과학부분 2.08%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중국 관련 이슈들의 변동 장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사드 이후 새로운 결정탄이 나오고 있지 않은 가운데에 등락을 반복하고 있지만 유커들의 소비 하락세도 어느 덧 주춤하고 또 다른 이슈 재개에 따라 주가의 횡복가 방향을 잡지 않을까 싶습니다. 오늘은 이런 중국 관련 테마인 면세와 화장품 관련 주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신세계

- 백화점 13개점 매장을 운영

- 백화점사업, 의류 제조/판매 수출입사업, 면세점사업, 부동산 및 여객터미널업, 관광호텔업을 영위



2. 호텔신라

- TR부문, 호텔&레저부문으로 2개 사업부문 영위

- 면세유통사업을 통해 서울ㆍ제주 시내 면세점 및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등 국내 뿐만 아니라 싱가포르 창이국제공항, 마카오 국제공항 면세점 등 해외로도 지속적인 사업 확장

- 항공, 호텔, 차량 등 일련의 기업 출장 서비스를 대행하는 BTM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미국, 영국, 독일 등에 해외법인을 설립하는 등 사업확장에 본격적으로 착수하여 신규 시장 개척에 박차



3. 아모레퍼시픽

- 화장품사업에서 럭셔리 사업부는 차별화된 브랜드 역량을 바탕으로 럭셔리 시장을 선도

- 면세점 경로는 외국인 관광객 증가 및 온라인과 글로벌 면세 확장으로 성장세를 이어감




4. 한국화장품

- 화장품의 판매 및 부동산 입대사업부문이 분할

- 기초화장품과 색조화장품을 비롯하여 700여 종류의 화장품을 판매하는 종합화장품회사

- 전국 약 250여개의 특약점 및 대리점과 306여개의 가맹점, 유통점 등을 통하여 방문판매 및 제도판매를 병행하여 화장품 및 건강식품 등을 판매

- 유통질서확립을 통한 특약점 손익개선 및 적극적 현장밀착영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연결대상 종속회사인 (주)더샘인터내셔날은 브랜드샵 관련 화장품판매 사업을 영위함




5. 잇츠한불

- 화장품 제조 및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9년 2월 18일에 한불화장품 주식회사로 설립

- 2017년 5월 1일을 합병 기일로 하여 주식회사 잇츠스킨을 흡수 합병하였음

- 국내 최초 `코스메슈티컬` 컨셉의 브랜드샵으로 런칭하였으며, 피부 고민별로 해결책을 제시하는 클리니컬 스킨 솔루션 코스메틱 컨셉으로 피부고민을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체계적이고 신뢰적인 뷰티 브랜드임

- 2016년 중국 내 유통채널 다각화를 위해 New World Group의 HOKO-Mall 입점, 상하이 중푸 면세점 입점 , 최근에는 LA지역의 물류창고도 확대하는 등 가파른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음

- 동사의 제품 잇츠스킨 프레스티지 끄렘 데스카르고는 중화권 SNS를 통해 소비자의 큰 반응을 얻었으며 2014년 ~ 2017년 4년 연속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몽드셀렉션의 최고 금상인 Gold Grandprix를 수상

- 매출구성은 화장품 100% 임



(출처: 와이즈에프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