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나만의 금융철학카테고리에는 제가 투자, 경제, 금융, 일상 등에서 느끼는 금융과 관련된 단상들을 적어두려합니다. 저의 생각이다보니 검증되지도 않고, 주관적인 이야기들이 많을 것입니다. 대한민국의 수많은 소액 투자자 중 한명은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구나 정도로 가볍게 읽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읽지 않으시면 자신만의 금융철학을 가질 수 있으니 더 좋겠죠?!

 


1. 주식 투자에는 2가지만 존재한다.

오늘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방향성인데요.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제가 생각하기에 투자에서 존재하는 포지션은 결국 2가지 뿐이다라는 것입니다. 물론 이 문장은 제가 주식투자와 암호화폐 투자만 해보았으므로 이 두가지 금융시장에 국한하는 문장입니다. (참고로 매우 소액을 투자하였습니다.)

 

종목을 매수하실 때 아주 단순하게 per 지표만 보고 투자하는 분도 계시고, 10개 이상의 차트지표를 함께 고려하셔서 투자하시는 분도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아마도 모두들 각자 최적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 투자 결정을 내리시는거겟죠?

 

제 경우에는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딱 2가지만 고려했을 때, 그러니까 상방이냐, 하방이냐만을 고려했을 때 가장 큰 수익을 얻었던 것 같습니다. 대표적인 케이스로 코스닥레버리지ETF(2017년말~2018년초)와 남해화학(20184)을 들 수 있는데요. 두 가지 모두 다른 것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상방이라는 판단하에 매수한 것들이었습니다.


 

2. CASE A: 코스닥레버리지(KODEX코스닥150레버리지)


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아 대략적으로 매매내용을 적어보겠습니다.

- 종목명: KODEX코스닥150레버리지

- 매수시점: 201712

- 매도시점: 20181

- 수익률: 25~30%

이 종목은 당시 상당히 심플하게 코스피 상승에 비해서 코스닥 상승이 낮아서 괴리감을 느꼈고, 문재인 정부가 코스닥 상장기업을 비롯한 벤쳐, 중견,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확대를 늘린다는 정책뉴스를 통해 상방이라고 판단하고 매수하게되었습니다. 운좋게 수익을 내고 전량 매도하였으나 현재까지 보유하였어도 괜찮았을 것 같습니다.

 

 

3. CASE B: 남해화학


- 종목명: 남해화학

- 매수시점: 2018312/ 13,575(2회 분할매수)

- 매도시점: 2018330/ 14,650

- 수익률: 7%

- GOOD: 호재를 일찍 발견

- BAD: 수익을 끌어가지 못함

이 종목은 김정은과 트럼프 간의 회담 기조 뉴스를 발견하고 철저하게 테마에 대한 기대감으로 매수했던 종목입니다. -미 관계 개선이 남-북 관계 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했고, 매수 이전에 해야할 선택은 김정은이 협조적일 것이냐, 비협조적일 것이냐에 대한 추측만 남았는데 저는 잘 될 것이라는 쪽에 기대를 걸었고 운이 좋게 수익을 낼 수 있었습니다그러나 매수 이후에 테마에 대한 호재가 더욱 커져서 더 큰 수익을 낼 수 있었으나 다소 빨리 처분한 점이 크게 아쉬운 종목입니다.


 

4. 양자택일론(?)의 장점

이런 식으로

- CASE A: 코스닥도 코스피처럼 오르냐(상방), 그렇지 않느냐(하방)

- CASE B: 김정은이 협조적일 것이냐(상방), 그렇지 않느냐(하방)

양자택일로 매수 종목에 대한 문제를 심플하게 만들면 여러 가지 매매요인을 고려하느라 그 종목에 대한 본질을 잃거나, 매수하기 전에 힘이 다 빠져서 수익을 기다릴 에너지가 없어지는 일이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 매수 과정이 비교적 심플하기 때문에, 상방을 선택했다면 잠시 종목이 하락을 하더라도 자신이 믿는 방향성에 대해서 심플한 믿음으로 기다릴 수 있다는 심리적인 장점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 방법에서 방향성에 대한 판단만큼 중요한 것은 그 방향성으로 가는 과정 중에 있는 파동을 견딜 수 있는 인내인 것 같습니다. 사실 인내만 있다면 방향도 무엇이 그리 중요할까 싶기도 합니다. 내가 수익을 내는 그 구간이 곧 방향일테니까요.

 

그래도 철학이 있으면 즐겁습니다. 내가 믿는 것을 실험해보는 실험실이라고 생각하면 손실도 마음이 조금 덜 아프지 않을까합니다.

핀리입니다. 매일 블로그에 양질의 주식정보를 제공하고 싶은데 쉬운 일이 아니에요. 지난 주 후반~ 이번 주에는 삼성증권 공매도 사건으로 금감원을 비롯한 전체 증시시장이 뜨겁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의 신뢰를 완전히 박살내버린 사건이 아닐지 싶네요. 하지만 이런 시장에서도 상승하는 종목들은 꾸준히 발생하는 군요. 누군가가 주식 역시 생물이라 했던 것처럼 삶을 계속해서 이어나가는 듯 보이네요.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 이은 '우리나라에 상장한 중국기업'의 마지막 시리즈인 3탄입니다. 중국 관련된 기업들을 한번에 정리해보실 기회가 되길 바라겠습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지난 글

2018/04/09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우리나라 상장에 성공한 중국 기업 2탄

2018/04/09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우리나라 상장에 성공한 중국 기업 1탄


10. 컬러레이

- 동사는 2013년 10월 해외상장을 목적으로 설립된 홍콩지주회사로서 실질영업자회사인 저장컬러레이의 지분을 100% 소유하고 있고, 저장컬러레이는 더칭커러를 100% 지배하여 실질적으로 하나의 회사처럼 운영되고 있다.

- 동사는 진주광택안료를 기반으로 하는 화장품용 진주광택안료의 연구개발, 제조와 판매 및 유통, 운모파우더의 제조, 유통 및 판매를 수행중이며 지속적인 신제품 개발을 통해 제품 라인업은 1,000여종에 달할 만큼 다양하다.

- 연간 5,000톤 규모의 화장품용 진주광택안료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어 중국 진주광택안료 업계를 선도 중이며 동사의 제품은 미국 FDA, 유럽 연맹EO 표준에 맞춰 화장품용 진주광택안료 생산을 진행 하고 있다.

- 판매 네트워크 우위를 기반으로 제품이 해외 판매상을 통해 유럽, 미국 등 글로벌 브랜드가 포진한 지역으로 판매 중이며 대상 기업은 로레알, 에스티로더, 유니 레버, 존슨앤존슨, P&G 등 글로벌 대형 화장품 기업이다.

- 매출구성은 기타 진주안료시리즈 46.13%, 간섭효과 진주안료시리즈 24.74%, 실버화이트 진주안료시리즈 17.38%, 운모파우더 5.96%, 실버화이트 진주안료시리즈II 5.79% 등으로 구성된다.




11. 에스앤씨엔진그룹

- 동사는 지주회사로서 상장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이고, 자회사로는 홍콩의인국제, 바오신엔진, 산리엔진, 청다기어, 육안청다 및 연대청다의 총 6개사로 구성되어 있다.

- 홍콩의인국제는 중국을 설립근거지로 하는 바오신엔진을 완전자회사로 두고 있고, 바오신엔진은 각 중국을 설립근거지로 하는 산리엔진 및 청다기어를 각 완전자회사로 두고 있다.

- 동사가 생산하는 제품으로는 제초기, 모터싸이클, 부품 등이 있다.

- 동사의 잔디깎이제품은 이미 K-Mart , Bunnings 등 국외의 여러 유명한 매장에 입점. 기어제품의 최종고객은 GM, 제1자동차, 제2자동차, 산서파스터 등 자동차산업의 leading기업이다.

- 매출구성은 청다기어 42.19%, 모터싸이클 30.13%, 제초기 15.17%, 연태청다 7.57%, 부품 4.94% 등으로 구성된다.




12. GRT

- 동사는 해외상장을 목적으로 2012년 설립되었으며, 실제 중국 국내 영업자회사인 강음통리광전과학기술유한공사는 2002년에 설립했다.

- 의약품과 식품포장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박막 소재 생산을 시작으로 현재 정밀 코팅 보호 소재나 위조지폐 방지, 블루라이트 차단 등 기능성 코팅 소재, 정밀 코팅 접착 소재 등을 생산된다.

- 월필름 소재부터 정밀 코팅 필름까지 수직계열화 생산시스템을 구축했을 뿐 아니라 제품 다변화 노력을 지속해 업계 내 최대 제품 라인업을 갖춤. 삼성, 애플 등 글로벌 기업 300여개 이상과 거래를 지속하고 있다.

- 2015년 6월 제2공장 건설을 마치고 2016년부터 생산을 시작. 이 공장에는 12개의 정밀 코팅 생산 라인이 갖춰졌으며 부가가치가 높은 기능성 필름 등을 생산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광학보호필름 40.25%, 광학접착필름 26.67%, 포장필름 20.39%, 윈도우필름 8.49%, 3D필름 및 블루라이트 필름 4.19%, 기타 0.01%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트럼프가 중국을 향해서 "불공정무역을 끝내야 한다."라고 강경하게 말한 가운데에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어떤 전개로 흘러갈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중국 역시 강한 기세로 '이번 무역전쟁을 과거 항미무역원조전쟁과 같은 마음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하는 입장입니다.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고 미국과 중국 사이에 끼어서 혹여나 우리나라 기업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을 지 걱정입니다. 이미 철강 관세로 몇몇 업체들이 손실을 코앞에 두고 있긴하지만요. 3월말 미국에서 우리나라에는 철강 관세를 면하기로 합의가 되었지만 한치 앞을 예견할 수 없는 상황이니, 불확실성 속에서 기업도, 주주들도 불안한 마음을 함께할 것 같습니다. 오늘은 불확실성 속에서도 우리나라 상장에 성공한 중국 기업들을 살펴보려 합니다.




1. 오가닉티코스메틱

- 해외 상장을 위해 홍콩에 설립된 지주회사로서 중국 내 실질 영업자회사는 해천약업과 조농실업이 있습니다.

- 중국 내 유아를 대상으로한 피부케어, 클렌징 제품, 여름용 화장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습니다.

- 성인에 비해 민감하고 연약한 유아 피부에 부합하는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해 화학 원재료에 차에서 추출한 사포닌, 폴리페놀, 산차(동백)오일 등 천연 원재료를 첨가하여 모든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는 것이 차별점입니다.

- 거대 중국 내수 시장에서의 인지도를 확고히 하기 위해 자사 브랜드인 `티베이비(TeaBaby)`를 주인공으로 TV 방송용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습니다.

- 매출구성은 여름용화장품 29.93%, 클렌징화장품 26.78%, 피부케어화장품 23.08%, 기능성화장품 11.12%, 영아화장품 9.1% 등으로 구성됩니다.




2. 골든센츄리

- 동사는 해외상장을 목적으로 2014년 9월 케이만에 설립되었으며 실질 영업회사는 중국 내에 있는 양주금세기(주제품: 트랙터용 휠), 낙양동방홍(주제품: 트랙터용 휠) 및 낙양금세기(주제품: 트랙터용 타이어)가 있습니다.

- 휠 제품은 주로 트랙터에 적용되며 자체 브랜드인 강위를 통해 중국의 주요 트랙터 생산업체인 제일트랙터, 상주동풍, 강소워드, 서주카이얼 등에 납품하고 있으며 타이어는 자체 브랜드 동방홍으로 생산 및 판매되고 있습니다.

- 중국 최대 트랙터 생산업체인 제일트랙터로부터 납품업체 중 가장 우수한 품질의 휠을 생산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인증을 받은바 있으며 일부 특대형 제품과 수출용 트랙터는 동사의 제품만 사용되는 등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 뛰어난 품질 및 고객에 대한 높은 책임감으로 `강위`라는 브랜드를 통해 시장 내에서 매우 높은 인지도를 얻게 되었으며 현재 제일트랙터, 상주동풍, 강소워드 등 주요 트랙터 생산업체의 주요 공급처로 자리 잡았습니다.

- 매출구성은 휠 65.09%, 타이어 30.57%, 기타 4.34% 등으로 구성됩니다.


3. 로스웰

- 동사는 해외상장을 목적으로 2014년 2월 홍콩지주회사로 설립되었으며 실제 중국 국내 영업자회사인 강소로스웰전기유한회사는 2006년 4월 설립되었습니다.

- 동사의 실질영업자회사인 로스웰전기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용 전장부품의 연구, 제조와 차량용 에어컨 및 히터 등 공조제품의 제조 및 판매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주요생산 자동차 부품은 크게 자동차 계측 제어 장비들 간의 디지털 통신을 제공하는 CAN 제어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전자제품과 자동차의 쾌적성을 결정짓는 에어컨, 히터 등 차량용 공조설비가 있습니다.

- 동사는 CAN 제어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전자 제품의 생산 및 판매에 종사하고 있어 단일제품 또는 센서와 같은 다른 제품의 생산과 판매에 종사하는 기타 경쟁기업보다 제품 종류면에서 독보적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매출구성은 CAN bus 제품 57.19%, 전기차제품 22.47%, 자동 에어컨디셔닝 등 20.34% 등으로 구성됩니다.




4. 헝셩그룹

- 동사는 완구를 자체 설계하고 연구개발하는 완구제조업체로서 실제 중국 내 영업자회사인 진장헝셩완구유한회사는 1992년 3월 설립되었고 해외상장을 목적으로 2014년 7월 홍콩지주회사 헝셩그룹유한회사를 설립하였습니다.

- 진장헝셩완구유한회사의 완구제품은 봉제완구, 전동완구 및 애니메이션광구가 있으며 모두 아동완구를 위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 완구 생산국이며 산아제한 정책 완화 등의 영향으로 완구 시장 발전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 췐저우Jazzit어페럴유한회사는 헝셩그룹의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바탕으로 자체적인 브랜드인 Jazzit를 소유하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판매하는 제품으로 아동의류, 아동신발 및 아동가방 등이 있습니다.

- 애니메이션-완구 기업에서 종합적인 Family ENT-EDU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한국 기업 중 양질의 캐릭터 IP, 로봇, 스마트 토이, 모바일 게임, 교육 컨텐츠 업체와 제휴하여 함께 중국시장에 진출을 노리고 있습니다.

- 매출구성은 플라스틱완구 57.65%, 아동복 19.31%, 봉제완구 18.19%, 아동화 4.73%, 기타 0.12% 등으로 구성됩니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KRX300이 지난 2월 5일 첫등장한 이후로 증권거래업체들은 관련 인덱스펀드들을 연이어 내놓고 있습니다. 한달 반 가량이 지난 현재로써는 아직 기대만큼의 수익율이나 성과를 보여주고 있지는 않지만, 호황기에 철저하게 수혜를 입을 수 있는 펀드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시장이 안좋을때는 타격을 받겠죠? 다만 코스피와 코스닥을 동시에 반영하니 조금의 상쇄작용이 있을 수도 있겠습니다. 부족한 개인적 견해는 뒤로하고 자세한 내용을 함께 공부해보려 합니다. 주가지표와 인덱스펀드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은 천천히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1. KRX300 이란 무엇인가

시장의 주요지표를 개발하는 한국거래소(KRX)에 따른 KRX300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에 상장된 종목중 섹터별로 우량기업을 선정하여 총 300종목으로 구성.  국내 주식시장을 대표하는 벤치마크지수.

죽, 유가증권시장(코스피)와 코스닥에서 우량한 300개의 기업을 선정한 종합지표라는 의미입니다.



2. KRX300의 등장 이유

그렇다면 한국거래소는 어떤 이유로 KRX300 지표에 대한 연구개발을 하게 되었을까요?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연기금 등의 기관의 자금을 코스닥 시장으로 유입하기 위해서입니다. 2017년 말부터 코스닥이 한창 상승랠리를 달렸을 때가 있었죠? 정부의 코스닥 활성화 정책 때문이었는데요. 이번 등장한 KRX300 역시 정부의 코스닥 활성화 정책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어떻게 KRX300을 통해서 코스닥의 자금 유입이 이루어지는지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벤치마크(MB)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3. 벤치마크(BM)란 무엇인가

벤치마크의 사전적 의미는 '기준이 되는 점'입니다. 주식 시장에서 역시 벤치마크 지수는 하나의 기준이 되는데요. 무엇의 기준이 되냐하면 '나의 운용률을 평가하는 기준이 됩니다.' 예를 들어 2017년 한 해 나의 펀드 수익률이 5%를 기록했는데 이 수익률은 잘한 것일까요, 못한 것일까요? 기준이 없으니 판단이 되질 않겠죠? 이 때 가장 대표적인 벤치마크 지수인 '코스피200'와 비교를 하는 것입니다. 2017년도 수익률이 7%였다면 나는 5%라는 수익을 얻었어도 운용을 잘 못한 것이 됩니다.


그러므로 펀드의 벤치마크 지수를 무엇으로 잡느냐에 따라 그 펀드의 성향이 달라집니다. 만약 나의 펀드가 코스피200을 벤치마크로 잡고 있다면 그 펀드는 아마도 코스피 종목 위주의 거래를 할 확률이 큽니다. 코스피 종목이 많아질수록 패시브(passive)한 리스트가 되겟지만 적어도 벤치마크 수익률에 웃돌 가능성은 높아지겠죠?


같은 논리로 만약 한국거래소에서 밀고 있는 KRX300이 새로운 하나의 벤치마크 기준으로 자리잡는다면, 물론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이는 코스닥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핀리입니다. 최근 코스피와 코스닥이 파죽지세로 상승하던 흐름이 잠시 끊긴 듯한 느낌을 받고 있습니다. 코스피도 코스닥도 물량의 흐름에 주가가 많이 좌지우지되는 모습을 보입니다. 작년에 코스닥레버리지로 40% 정도의 수익을 올린 적이 있었는데, 이처럼 개별종목은 불안정하지만 시장 전체의 흐름은 확실할 때는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오늘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매수해 볼 수 있는 인덱스 펀드를 소개할까합니다.




1. KODEX 코스피: 코스피를 그대로 따라감

- 코스피 지수(이하 '기초지수'라 합니다.)를 완전복제하는 방식



2. KODEX 200: 코스피 상위 200개 종목을 그대로 따라감

-  KOSPI200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하는 것을 목표

- 한국거래소가 산출하는 KOSPI200 지수는 한국을 대표하는 200개 종목의 시가총액을 지수화



3. KODEX 레버리지: 코스피를 2배로 따라감

- KOSPI200 지수 일간변동률의 양의 2배수와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하는 것을 목표




4. KODEX 인버스: 코스피 하락에 베팅. 하락률만큼 상승.

- F-KOSPI200 지수 일간변동률의 음의 1배수와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하는 것을 목표

- 한국거래소가 산출하는 F-KOSPI200지수는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KOSPI200 주가지수선물의 최근월물의 가격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표시하는 지수



5.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 코스닥 상위150개를 2배로 따라감

- 코스닥150지수 일간변동률의 양(陽) 2배수에 연동

- 코스닥150지수는 코스닥 시장 상장종목 중 시가총액, 유동성, 업종분포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 150종목을 구성종목으로 하여 개별 종목의 유동주식수를 감안한 유동시가총액가중방식으로 산출한 지수




(출처: 와이즈에프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