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최근 코스피 지수가 하향세를 보이면서 한국 전체 증시가 난항을 겪고 있는데요. 코스피를 이해하는데 기준이 되어줄만한 수치들을 종합해놓은 기사를 발견해서 공유드립니다. 힘든 상황 속에서 각자의 희망이 생기기를 기원합니다.


코스피와 PBR

코스피 지수가 확정 주가순자산비율(trailing PBR) 1배에 근접한 상황이다. 역사적으로 코스피는 PBR 1배 수준에서 강한 지지력을 보였다. 추가하락에 대한 우려는 제한적이라 할 수 있다.


반면, 경제성장률 둔화로 코스피의 상승 전환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미·중 무역분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수출에 대한 우려도 확대되고 있다. 최근 급등한 원·달러 환율의 추가 상승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국 증시의 하향압력이 높아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21일 코스피 시가총액은 1561조원을 기록했다. 지난 12일(증시 본격 하락 전) 1649조원 대비 5.3% 하락한 수치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인상 등이 증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결과다. 


증시가 하락하면서 코스피 지수는 확정 주가순자산비율(trailing PBR) 1배 수준으로 내려온 상황이다.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당시도 강한 지지력을 보였던 구간이다. 증시가 하락을 멈추고 재차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 중 하나다. 




코스피와 GDP

반면, 경제지표는 코스피 지수 상단을 제한하는 모습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코스피 시가총액 비율은 지난해 말 기준 92.8%를 기록했다. 경기과열 국면이었던 2007년(91.2%) 이후 최고치다.  올해 경제성장률을 3%로 가정할 경우 GDP/시가총액 비율(21일 시총 기준)은 87.5%다. 코스피의 밸류에이션 매력은 돋보이나 추세적 상승을 낙관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코스피와 환율

코스피 지수는 원·달러 환율과 높은 마이너스(-)의 상관관계를 지닌다. 원·달러 환율은 2017년 증시 대세 상승장에서 줄곧 내림세(원화 강세)를 보였다. 올해 들어서는 추가 하락을 멈추고 최근에는 1100원 수준을 돌파했다. 코스피 지수는 역으로 하락했다. 원화 약세는 우리나라 수출 중심 경제구조에 긍정적이다. 다만, 환율 효과가 기업의 실적에 반영되기까지 약 3~6개월의 시간이 걸린다.


코스피와 환율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4/10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금리, 인플레이션과 금값의 영향을 받는 금 관련 주식정리

2018/07/08 - [▶ 재밌는 금융이야기/경제 이슈 이해하기] - 미중 무역전쟁 관세우려와 협상기대

2018/07/04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단기 이슈 무역전쟁 + 유가상승 투자전략


※ 출처

(1)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40272

(2) 팍스넷

1. 프리뷰

  • 국내 주식시장은 이번주(6월11일~15일) 굵직한 이벤트 속에 차익실현 매물이 나타나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 북미 정상회담이 구체적인 비핵화, 경제협력 관련 내용이 부재한 채로 종료됐기 때문에 오히려 그간 기대감에 올랐던 남북 경협 업종에 대해 차익실현 매물이 점증됐습니다. 

2. 코스피 매매동향

  •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개인은 5022억원 어치 주식을 사들였으며 기관도 6200억원어치 주식을 매수했습니다.
  • 반면 외국인은 1조11628억원 규모의 매도 우위를 나타내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습니다.
  • 금융투자업계는 7926억원 규모의 순매수를 나타냈지만 지수 하락을 막아내진 못했습니다. 


3. 코스닥 매매동향

  •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한주동안 920억원, 310억원 규모의 주식을 사모았습니다.
  • 개인은 코스닥 시장에서 860억원 매도 우위를 나타보였습니다. 


4. 이후 증시 행보의 예상

  • 내주부터 2분기 실적 프리뷰 시기로 실적이 양호한 기업들의 행보가 주목됩니다.
  • 국내 증는 대형 이벤트 이후 바닥다지기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6/08 - [▶ 재밌는 금융이야기/경제 이슈 이해하기] - 외인 공매도 vs 개인 신용매수 격돌

2018/04/27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북한 천연광물 지하자원 관련 주식 정리

2018/04/26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남북경협을 넘어 통일까지, 외국인의 눈으로 본 통일 테마주 정리



※ 참고자료

(1) http://finance.naver.com/news/news_read.nhn?mode=mainnews&office_id=014&article_id=0004040508



당국의 정책적 효과가 시장에 반영되기 시작하면 정책 관련 수혜 기업이 주목을 받으면서 실제 성장하는 기업을 찾기는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신한금융투자에서는 정책 기대감에 가려져 있지만 실제로 성장하고 있는 기획 리포트를 작성해주었는데요. 신한금융투자는 올해 KOSDAQ EPS 증가율을 20.1%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IT와 소재 그리고 산업재 순으로 이익 증가가 전망되며, 사회 기조 변화로 내수 및 서비스 부문 성장과 한-중 관계 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죠. 이에 따라 하반기 성장 수혜 기업으로 선정하기 위한 3가지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중국 소비 수혜 기업에 대한 관심입니다. 대(對) 중국 관계 개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중국인의 소득 증가에 따라 소비 패턴이 변화하고 있고, 이에 따른 수혜 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인데요.




둘째는 내수 및 서비스 부문 성장 기대에 따른 수혜 종목입니다. 1) 일과 생활의 균형(워라밸)이 강조되는 사회 기조 변화, 2) 소득 주도 경제 성장 정책 효과, 3) 원화 강세 등이 내수 및 서비스 부문의 성장을 지지하는 내용들입니다. 이러한 사회적 환경 변화에서 수혜 가능한 기업에 주목하자는 의견입니다.


셋째는 Big Cycle이 지속되는 반도체 소재 기업에 주목하자는 것입니다. 반도체 수요는 과거와 달리 산업구조의 변화가 성장을 견인하는데요. 구조적 변화 요인으로 1) 서버 수요 증가, 2) 스마트폰 메모리 탑재 용량 증가, 3) HBM, CIS용 DRAM 및 가상화폐 등 신규 수요가 상당하할 전망입니다. DRAMexchange에 따르면 올해 DRAM B/G 22.2%, NAND B/G 40.1%가 예상됩니다. 수요 증가가 이끄는 성장에 반도체 소재 기업의 수혜가 기대됩니다.


이와 관련된 종목들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1. 글로벌텍스프리

  • 2005년 12월 설립된 동사는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내국세 환급대행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외국인의 국내 소비에 대한 부가세를 환급해주면서 일정 부분을 환급대행사인 동사가 수수료로 수취하면서 매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공항, 항만 등에 설치된 환급창구, 무인자동환급기기 등을 통해 환급대행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중국인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중국 최대 핀테크인 알리페이와의 업무제휴를 통해 알리페이 계좌로 택스리펀드 환급금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 유니온페이와의 제휴를 통해 세계 최초로 유니온페이 온라인 실시간 환급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7년 1월 UnionPay International(UPI) 전세계 최우수 택스리펀드 협력사에 선정된 바 있다.
  • 매출구성은 부과세환급 100% 이다.


2. 현대리바트

  • 동사는 1999년 6월 2일 설립되었으며 가정용, 사무용, 아파트용 가구 등을 제조, 판매하는 종합가구회사로 2012년 2월 현대백화점 그룹에 편입됐다.
  • 품질경영을 최우선으로 실천하여 ISO 9001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다양한 소비자의 Needs 충족과 토탈인테리어 가구라는 개념에 부합하고자 2000년 디자인 연구소와 2006년 환경기술연구소 설립했다.
  • 2014년에는 자체 쇼핑몰을 리뉴얼오픈하고 모바일 구매환경을 구현하는 등 온라인 시장에서의 성장에 힘쓰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 주요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 2017년 3분기말 서울, 수원을 비롯한 수도권에 10개, 대전 및 광주, 울산에 각 1개를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핵심상권 별로 확대시켜 나갈 예정이다.
  • 매출구성은 빌트인 38.22%, 가정용 27.5%, 기 타 19.6%, 사무용 9.47%, B2B 5.2% 등으로 구성된다.


3. 원익QnC

  • 동사는 쿼츠, 세라믹, 램프, 세정의 4개 부문으로 제조 생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쿼츠부문은 해외 3개(미국, 대만, 독일)의 종속기업을 보유하고 있다.
  • 반도체용 석영유리(QUARTZ WARE)는 반도체 제조공정 중 산화, 식각, 이온주입, 화학증착공정에서 Wafer를 불순물로 부터 보호하거나 이송하는 용기로 사용되며 시장규모는 반도체 산업의 발전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 세정사업부문은 2011년 하반기 세정 SAMPLE LINE 구축 후 삼성전자로부터 품질 승인을 완료하였다.
  • 2017년은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른 제조사들의 DRAM 공장가동률 상승 및 대규모 공장투자 및 가동으로 인하여 쿼츠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전년대비 매출액은 31.8% 증가했다.
  • 매출구성은 반도체용 석영유리 79.84%, LCD 등 세라믹제품 13.69%, 반도체소재 부품 등 세정 10.86%, 기타 0.82%, 내부거래 -5.21%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4/20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인천공항의 새로운 면세사업자는 누구, 면세점 관련 주식정리

2018/02/27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카지노 관련 주식 총정리

2018/05/20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시스템반도체 관련 주식정리,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을 위한 반도체의 세대교체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신한금융투자 "하반기 중소형주 랠리는 계속된다"



주식시장은 크게 장내시장과 장외시장으로 구분되며, 장내시장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장외시장은 일반 장외시장과 프리보드시장으로 구분됩니다.



1. 장내시장

'장내시장'이란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주식과 채권, 수익증권을 매매하는 시장을 말합니다.


1-1)유가증권(KOSPI)시장

유가증권시장은 장내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 중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에 의해 설립경과 3년 이상, 자기자본 100억 이상, 최근 3년 동안의 감사 결과가 적정 의견(최근), 적정 또는 한정 의견(직전)이며, 최근 연도에 영업이익, 경상이익, 당기순이익을 실현하는 등 까다로운 규정을 통과한 기업의 주식 종목이 거래되는 시장입니다.

 

따라서 유가증권시장의 주식은 유동성이 좋아, 언제든 자신이 원하는 시기와 시간에 매매가 가능하며 장세가 좋을 때는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장이란 과정을 통해 기업 가치가 정해진 뒤이기 때문에, 기술 개발이나 M&A 등으로 회사 가치가 크게 변화하지 않는 한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기는 어렵습니다.

 

1-2) 코스닥(KOSDAQ)시장

'코스닥시장'은 미국의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나스닥을 본 떠 이름이 지어진 것으로 벤처기업 및 유망 중소기업이 직접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설립한 시장입니다.

 

코스닥시장은 기업 규모는 작지만 성장성이 높은 기업이 등록하는 곳으로, 유가증권시장 보다는 등록 기준이 상당히 완화되어 있으며 투자위험이 높은 반면, 그만큼 수익 가능성도 높습니다. 한국거래소의 코스닥 시장본부가 전담, 관리하고 있습니다.

 


2. 장외시장

2-1) 일반 장외시장

'장외시장'이란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은 주식이 유통되는 시장입니다. 장외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은 장외주식이라고 합니다. 장내시장에는 거래 시간이나 거래 장소, 매매?중개업자 등 엄격한 규제를 하지만, 장외시장에서는 매매?중개업자 없이 매매 당사자끼리 어디서든 자유롭게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거래 상대자나 거래 사실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고 거래상의 문제가 생겨도 이를 감독하거나 책임을 가려줄 기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투자위험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2-2) 프리보드시장

'프리보드시장'이란 비상장기업 중 성장단계에 있는 벤처기업 등이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장외시장에서 산발적으로 거래되는 주식 가운데 일부 종목을 지정하여 한국금융투자협회가 운영하는 증권시장입니다. 프리보드 시장은 데 주식 유통에 필요한 최소한의 형식적 요건을 갖춘 기업이라면 어떤 기업이든 참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험이 크지만 그만큼 수익 가능성도 커서 관심을 보이는 투자자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그만큼 투자자의 자기책임이 특별히 강조되는 시장으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18/02/22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확실한 종목이 없을때는 지수를 따라가는 인덱스펀드 추천

2018/03/31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코스닥, 코스피를 함께 반영하는 벤치마크(BM)지표 KRX300와 인덱스펀드(ETF)


 

전문출처

http://korfinance.co.kr/gnuboard4/bbs/board.php?bo_table=category0&wr_id=112

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2018년 중으로 코스닥에 [카카오게임즈] 상장을 앞두고 기업공개 IPO에 대한 관심 역시 증가하고 있는데요. (※ 이전 글: 

2018/04/24 - [===왕초보 주식 공부===/경제 이슈 이해하기] - 게임테마주에 새로운 대장주 등장? 카카오게임즈 코스닥 상장 코앞으로

오늘은 IPO란 무엇이고, IPO를 통해 초보 투자자들이 어떤 이익과 손실을 볼 수 있을지 주의점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업공개 IPO란 무엇인가?

위키백과의 사전적 정의를 빌려오자면 기업공개 (IPO, Initial public offering), 기업 설립 후 처음으로 외부투자자에게 주식을 공개하고, 이를 매도하는 업무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공식)장외에서만 거래되던 회사의 주식을 공개하여 더 많은 투자자들이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코스피 또는 코스닥에 상장하는 것을 이야기하겠죠.

 

2. IPO를 하는 이유

그렇다면 기업이 IPO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장외에서도 충분히 기업의 유지,존속,계속성,성장성에 지장이 없다면 굳이 주식을 공개하여 더 많은 투자자를 얻어야하는 이유는 뭘까요?

 

간단히 말하자면 기업의 더 크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이 성장에 필요한 자금이 필요한데 기업공개IPO가 가장 저렴하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IPO가 아닌 가장 대표적인 기업의 자금조달 방법은 회사채인데요. 회사채는 말 그래도 채권을 파는 것이기 때문에 이행된 이자율이 존재하고, 그것을 반드시 갚아야만 합니다. 하지만 IPO는 아니죠. IPO는 자신들의 회사가 잘 해보겠다, 성장하겠다라는 성장가능성을 구매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익을 약속하는 회사채보다 훨씬 싸고, 더 많은 투자자들에게 접근이 가능한 매우 유혹적인 자금조달 방법입니다. 특히나 최근에 미국이 금리인상을 연속적으로 단행하면서 저금리 시대보다 회사채의 금리도 올라가기 때문에 IPO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기업들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3. 2017IPO 기업들의 주가로 답해보는 IPO 관련 궁금증

자신의 회사가 주식 시장에 상장한다니 대단한 일일텐데요, 아무래도 투자자들에게 실제 투자의 수익률이 중요하겠죠? 이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기 위해서 2017년에 IPO를 실행한 기업들의 투자수익률을 한번 알아보앗습니다. 금융감독원이 발행한 자료입니다.

 

3-1) IPO 기업들은 수익률이 좋을까?


2017IPO를 한 기업들의 수익률은 최초공모가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상장년도말 대비 유가증권시장은 평균 12.7%, 코스닥 시장은 평균 41.2%의 수익률을 기록하여 양호하다고 판단이 됩니다.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기업들이 조금 더 선전하였네요.

 

3-2) IPO 기업들은 가격거품이 심하지 않을까?

3-1)에서 살펴본 결과로 전체 IPO기업들의 [평균]수익률은 양호하였지만 공모가 하회 건수를 조회하였을 때 전체 IPO상장 기업 62개사 중 24개의 회사가 공모가 보다 상장연도의 종가가 낮았음이 확인되었습니다. 보수적으로 절반 정도의 상장사들이 1년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가격거품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1)과 3-2)의 결과를 종합해보자면, IPO상장 기업이라고 특별히 좋은 것은 아니며 몇개 상장사들이 큰 수익을 이끌어간다 라고 이해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IPO상장사던지 일반상장사던지 결국은 거래자의 선택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