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 변하는 만큼 혼수도 변하고 있습니다. 혼수로 어떤 가전제품이 인기인지를 알아보면, 가전제품 시장의 트렌드를 알 수 있다고 하는데요. 최근에는 LG스타일러스와 같은 의류관리기나 세탁물 건조기, 공기청정기, 제습기 등이 인기라고 합니다. 냉장고나 TV보다 저렴한 가격대에 실속적인 제품들이라서 그런걸까요. 오늘은 이 중에서도 제습기와 관련된 국내 상장 기업들을 알아보려합니다.



1. 위닉스

  • 1986년 설립되었으며, 2000년에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제습기, 공기청정기, 정수기, 에어워셔 등을 제조하고 있는 기업이다.
  • 본사와 연결대상 종속회사로서 중국, 태국에 소재하는 해외법인에서는 제습기, 에어컨, 냉장고 등의 핵심부품인 열교환기를 제조, 판매하고, 미국과 유럽에 소재하는 해외법인은 본사의 생활가전 완제품을 현지에 판매하는 기업이다.
  • 제습기를 비롯하여 공기청정기, 에어워셔, 정수기 등 기존 제품들에 대하여, 매년 다양한 신모델과 차별화된 기능을 부가한 신제품을 출시 함으로써, 시장확대 및 매출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 2015년 제습기의 미국수출이 재개하였으며, 공기청정기는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중국시장을 비롯하여 미국, 유럽 등으로 수출이 진행 중이다.
  • 매출구성은 공조기군 70.6%, Evaporator 8.88%, 기타 6.74%, 정수기군 6.23%, 상품 3.08%, 에어컨부품 2.67%, 기타매출 1.8% 등으로 구성된다.

2. 신일산업

  • 동사는 1959년 설립되어 1975년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으며 선풍기, 난방제품 등의 소형가전 제품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 동사는 국내 선풍기 시장에서 현재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계절 상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연간 매출액의 81% 이상을 차지한다.
  • 소형가전제품이 내구재에서 소비재로 전환되고, 1인가구의 증가 등으로 매년 동일 규모(선풍기의 경우 약 380~400만 대) 이상의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 해외의 중저가제품이 밀려오면서 저급의 상품 판매 경쟁력을 떨어지나, 국내 생활수준의 상승에 따라 앞선 기술과 다양한 디자인의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
  • 매출구성은 선풍기 57.12%, 난방 22.18%, 기타 19.96%, 밥솥 0.74% 등으로 구성된다.


3. LG전자

  • 동사는 2002년 4월 1일을 기준일로 분할 전 LG전자(주)의 전자 및 정보통신사업부문을 인적 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LG계열의 회사이고, 2017년 12월 31일 현재 LG계열에는 68개의 국내 계열회사가 있다.
  • 사업부문은 TV 등을 생산하는 HE사업본부, 이동단말을 생산하는 MC사업본부, 생활가전제품을 생산하는 HA사업본부, 자동차부품을 제조하는 VC사업본부, LED사업 등을 영위하는 엘지이노텍, 기타 등으로 6개로 구성된다.
  • Home Appliance는 핵심 부품 기술에 기반한 대용량, 고효율 중심의 제품 차별화와 지역 적합형 제품 개발 역량을 확보하였고, 원가 경쟁력 부분에서도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동종업계에서도 높은 수익성을 유지중이다.
  • TV에서는 차별화된 시장 선도 제품을 지속적으로 기획ㆍ개발ㆍ출시하여 기존 3D TV 시장 선도에 이어, 고화질 울트라HD TV의 보급형 모델을 출시하여 대중화를 리딩, 세계 최초 올레드TV 출시 및 판매 확대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HA사업부 31.31%, HE사업부 30.42%, MC사업부 19%, 이노텍 12.45%, VC사업부 5.68%, 기타 및 연결조정 1.14% 등으로 구성된다.


4. 삼성전자

  • 1969년 설립 된 글로벌 기업으로, 주요사업은 CE부문(TV, 냉장고 등)과 IM부문(컴퓨터, HHP 등), DS부문(DRAM, 모바일AP, LCD, OLED 등), Harman(인포테인먼트 등)으로 구성된다.
  • 지역별로는 본사를 거점으로 한국 및 CE, IM부문 산하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산하 해외 5개 지역총괄의 생산, 판매법인 등 270개의 동종업종을 영위하는 종속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 IM부문은 프리미엄 브랜드 갤럭시를 필두로 소비자 친화적이며 혁신적인 제품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Samsung Pay와 같은 Mobile Payment, Cloud 등 미래 성장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 반도체 사업 부문에서 NAND의 경우, 경쟁사 대비 앞선 기술력을 확보한 Vertical NAND를 4세대 적층 제품을 본격 양산하고 있으며, 이를 고성능 SSD에 탑재하여 프리미엄 시장에 적극 진입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IM 44.42%, 반도체 30.92%, CE 18.79%, DP 14.35%, Harman 2.96%, 기타 -11.44% 등으로 구성된다.


5. 코웨이

  • 1989년 설립되어 2001년 상장된 기업으로 정수기, 공기청정기, 비데 등 환경가전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환경가전 전문기업이다.
  • 1998년 혁신적인 마케팅기법인 렌탈비즈니스 개념을 업계 최초로 도입하고 서비스 전문가인 코디(CODY)를 통해 사전서비스라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 2010년 9월부터 국내 화장품 사업에 진출하였으며 최근 기존 회원들에게 판매제품을 확대 할 수 있는 아웃소싱 부문(커피메이커 등)과 테팔, 필립스, 삼성전자 등의 브랜드 제품 제조사의 방문판매 대행사업을 시작했다.
  • 동사는 업계 최대의 생산시설과 R&D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우수한 제품개발 역량을 통해 소비자의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에 부합하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 생산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렌탈 79.51%, 일시불 17.67%, 기타 2.82% 등으로 구성된다.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국내 페인트 시장은 약 3~5조원 규모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한국페인트잉크협동조합의 자료에 따르면 이중 건축용 페인트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38%이며, 선박용은 18%, 자동차용 14%, 기계공업용 10%, 기타 20%로 추정되는대요. 


산업용 페인트는 최근 시장이 축소되고 있지만 B2B인테리어 페인트 시장이 확대되면서 2016년 이후 연간 500억원 대(추산)의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지난 3년간 가정용 페인트의 성장률은 20~30% 가까이 될 것으로 업계에서는 예측하고 있죠. 이와 같은 가정용 페인트 시장이 성장한 이유는 친환경과 DIY 페인트 등 고부가가치 페인트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고, 수입 브랜드들이 이 시장에 발 빠르게 대응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오늘은 이러한 페인트 관련 국내 상장 기업들을 알아보려합니다.




1. KCC

  • 동사는 건축자재 산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2005년 사명을 (주)금강고려화학에서 (주)케이씨씨로 변경하여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 지배회사 케이씨씨는 수익을 창출하는 용역의 성격에 따라 주요 영업부문을 건자재, 도료, 기타 부문으로 구분하고 분리 운영하고 있다.
  • 도료 부문은 건축용, 자동차용, 선박용 등 도료 제품이 있으며, 동사를 포함한 상위 5개사가 전체 시장의 약 80%를 점유하고 있다.
  • 유가의 불안정, 기후변화협약의 규제 대응 등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재인식되면서 기술 개발 및 보급 확대 추진되었으나 전세계적인 경제위기로 수요 정체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도료 43.32%, 건자재 40.85%, 기타 22.32%, 연결조정 -6.49% 등으로 구성된다.


2. 노루페인트

  • 동사는 주식회사 노루홀딩스에서 2006년 6월 1일자로 인적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도료의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사업부문을 건축, 공업용도료 등 부문과 PCM도료 등 부문으로 나누고 있다.
  • 도료는 타 산업의 중간재로 건설, 철강, 금속, 선박, 자동차 등 광범위한 마감소재로 사용되며, 산업의 특성상 봄, 가을의 판매량이 높은 계절성을 띈다.
  • 노루(NOROO)라는 브랜드로 도료 및 잉크 시장에서 성장해 온 (주)노루페인트는 오랜 인지도를 기반으로 한 차원 높은 다양한 Supply Chain System을 구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건축,공업용 도료 등 95.47%, PCM 도료 등 17.16%, 내부거래 -12.63% 등으로 구성된다.


3. 노루홀딩스

  • 동사는 1945년 대한잉크제조공사로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2006년 6월 제조부문과 지주회사부문으로 인적분할하여 제조 및 판매 부문은 (주)노루페인트로 이관하였고 (주)노루홀딩스는 지주회사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주요제품으로 도료는 타 산업의 중간재 역할을 하며 건설, 자동차, 선박, 철강 등의 전방산업의 영향이 대단히 큰 산업이며 산업 특성상 원재료의 수입 비중이 높고 매출은 내수 비중이 높은 편이다.
  • 현재 매출액기준 상위 5개사의 시장 점유율이 80%의 과점체제를 형성하고 있으며 환경규제로 인해 친환경과 기능성 도료 등 품질을 요구하는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 17년 10월 농생명 연구 클러스터인 더기반 안성 연구단지를 준공하여 종자산업분야에서 사업기반 구축과 함께 사업 다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공업용제품 52.56%, 공업용상품 26.12%, PCM용 도료 18.36%, 자동차용제품 16.4%, 기타 6.81%, 자동차용상품 4.62%, 연결조정 -24.87% 등으로 구성된다.


4. 삼화페인트

  • 동사는 1946년 4월 9일 창업한 이래 본점을 거점으로 국내를 포함한 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 등에 총 13개의 계열회사를 설립하여 페인트 생산을 주요사업으로 하는 글로벌 도료업체이다.
  • 도료산업은 화학제품의 원료 기술개발과 응용기술이 집약된 정밀화학공업의 한 분야로써 건설, 철강, 금속에 이르는 산업용 수요는 물론 가정용 수요 등 여러 방면에서 사용되고 있다.
  • 도료는 공산품과 달리 최종소비자가 직접 사용하는 경우에 따라 마감 상태가 결정되며, 반제품의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도장업자 및 라인성 제조업체의 도장 공정을 거쳐 최종 제품, 상품 형태로 최종소비자에게 제공된다.
  • 철도 차량 전두부 제조 위한 난연 겔코트와 적층용 제품 개발을 진행하였으며 철도 차량 화재 시험 위험등급 3등급 시험 항목을 개발 완료했다.
  • 매출구성은 페인트 제품 71.6%, 페인트 상품 27.48%, IT 용역 0.46%, IT 상품 0.24%, 금융 0.1%, 도료 용역 0.1%, 운송주선 0.01% 등으로 구성된다.


5. 강남제비스코

  • 동사는 1952년에 설립되어 1975년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었으며 도료와 안료의 제조 및 판매를 전문으로 영위하는 기업이다.
  • 동사의 주요 제품은 건축, 선박, 자동차, 강관 등에 사용되는 도료 및 관련 제품이며 동부인천스틸(주), (주)가나피엔씨, HHIC-PHIL KOREA, 현대성우메탈(주) 등이 주요 매출처이다.
  • 도료산업은 전방산업의 경기에 따라 경기변동이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이며 건축용 도료와 같이 계절적 요인에 의한 계절적인 경기순환체계와 전반적인 산업 경기동향에 따라 순환주기를 갖는 경기변동 구조이다.
  • 2017년에 중금속 프리 하이솔리드락카 황색, 자동차보수용 무광크리어, TGIC Free Type 분체도료 등의 개발실적이 있으며 판매확대가 기대된다.
  • 매출구성은 도료 86.51%, 상품 11.3%, 기타도료 6.74%, 내부거래제거 -4.54%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 보면 좋은 글들

2018/04/17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일코노미(1-economy)'의 시대, 혼밥 혼술 관련 주식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www.imw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07

1. SCI평가정보

  • 1992년 설립된 동사는 3개의 종속회사와 신용평가업, 신용조회업, 채권추심업, 신용조사업, 전자상거래업, 소프트웨어개발 및 공급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신용정보업은 국내경기가 회복기에는 활발한 경제활동으로 인한 상거래의 증가로 향후 부실채권 방지를 위한 사전 신용정보의 수요가 많으며, 반대로 경기침체기에는 채권추심을 포함한 사후 신용정보에 대한 수요가 많다.
  • 신용조회업은 신용정보를 수집ㆍ정리 또는 처리하고 의뢰인의 조회에 따라 신용정보를 제공하는 업무임. 본인임을 확인 받을 수 있는 사이버 신원확인번호인 아이핀서비스 제공 하고 있다.
  • 채권추심업은 채권자에게 모든 법적 권리를 위임 받아 채무자에게 합법적인 절차로 재산조사와 변제를 촉구하고, 직접 채권을 회수하는 서비스이다.
  • 매출구성은 채권추심 46.74%, 신용조회 39.52%, 신용조사 6.87%, 신용평가 6.73%, 광고 0.15% 등으로 구성된다.


2. 한국전자인증

  • 동사는 공인인증서 서비스 사업, 글로벌 인증 서비스 사업, 보안서버 인증서비스 사업, 인증서비스 아웃소싱 사업 및 인증솔루션 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목적사업으로 전자서명법에 의거한 인증업무, 전자상거래 관련 인증서비스, 기타 전자인증관련 부가업무, 전자적 수단에 의한 금융결제 관련업무 등이 있다.
  • 국내 유일의 글로벌 수준의 인증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 인증기관으로 경쟁사 대비 모든 인증서 분야를 커버할 수 있는 기술력과 서비스 대응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 도메인 등록 서비스업, 인공지능 및 로보틱스 연구개발, 제조 및 판매업, 모바일 인증서비스, 기기 인증서비스 등의 신규 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 매출구성은 공인인증서비스 63.5%, 글로벌인증서비스 21.59%, 인증솔루션 14.92% 등으로 구성된다.


3. NICE평가정보

  • 동사는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신용평가, 신용조회, 신용조사, 채권추심 사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5년 2월 28일에 설립된다.
  • 종합적인 기업관련 정보의 제공 및 금융기관을 대상 신용리스크관리시스템을 컨설팅·구축해 주는 기업정보사업, 개인신용정보 및 개인신용평점시스템을 제공하는 개인신용정보사업, 연체채권 관리 업무를 제공하는 자산관리사업 영위하고 있다.
  • 동사가 보유한 기업DB를 기반으로 KISLINE 등 온라인 정보서비스 및 데이터 판매, 자본시장솔루션(KIS Value, 상장온라인분석 등), 기업기술평가,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한 신용평가모형 컨설팅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 CB사업은 신용정보 데이터의 보유량, 데이터 가공에 대한 노하우 및 안정적인 IT 인프라 확보 등이, 솔루션사업은 안정적인 솔루션의 확보여부, 개발경험 및 컨설팅 역량 등이 시장에서 주요 경쟁요소로 각각 작용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CB 63.96%, 기업정보 19.11%, 자산관리 17.16%, 기타 1.55%, 내부거래 -1.79% 등으로 구성된다.


4. NICE

  • 2010년 투자사업부문과 신용조회사업부문을 인적 분할하고 투자사업부문을 존속법인으로 하여 인적 분할된 투자사업부문을 흡수 합병, 현 상호로 변경 했다.
  • 동사는 지주회사로서 나이스신용평가㈜, 나이스인프라㈜, 한국전자금융㈜, 나이스정보통신㈜ 등 30개 종속회사를 두고 있으며, 동사의 영업수익은 종속회사 및 기타 투자회사로부터의 배당수익, 용역의 제공 등으로 구성된다.
  • 종속회사를 통해 회사채 및 기업어음 등에 대한 신용평가사업, 기업정보 및 개인신용정보사업, CD/ATM 관리사업, 신용카드거래승인과 현금영수증발행에 관한 정보처리와 기기를 유통하는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 종속회사인 나이스신용평가㈜는 서비스에 대한 가격탄력성이 낮고, 충성도가 높은 고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보Sourcing, 업데이트의 신속성 및 부가정보 제공능력 등으로 경쟁우위에 있다.
  • 매출구성은 신용카드VAN 42.07%, 기업 및 개인신용정보 20.15%, 제조업 15.73%, CD/ATM 12.83%, 자산관리 4.1%, 기타 3.58%, 신용평가/PF평가 2.35% 등으로 구성된다.


5. 한국정보인증

  • 동사는 1999년 7월 2일에 설립되었으며, 국내 최초의 공인인증기관으로서 공인인증서의 발급, PKI솔루션 개발 및 판매, SSL(웹 보안서버) 판매, 메일(공인전자주소) 중계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 동사의 인증서 발급, 인증서 등록관리 솔루션 등은 상당 기간의 구축 및 운영경험을 통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주요 공공기관과 시중은행, 일반기업 등에 구축되어 있는 상황이다.
  • 범용법인인증서가 가장 많이 쓰이는 분야는 전자입찰시장(조달청 나라장터 등)이며 동사는 국내 범용법인인증서 시장의 약 42%를 점유하고 있는 1위 사업자이다.
  • 동사의 해외 PKI 기술 수출실적은 국내 최고 수준으로서, 케냐, 르완다 등 아프리카지역, 필리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 지역, 코스타리카, 파나마, 에콰도르 등 중남미 지역 등 전세계에 PKI기술을 수출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공인인증 83.17%, PKI솔루션 10.3%, 기타 6.53% 등으로 구성된다.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1. 오리엔트바이오

  • 동사는 `실험동물 생산, 수출, 수입 및 생명과학 관련 연구개발업 등`을 주된 영업목적으로 영위하고 있다.
  • 국내 유일의 국제표준유전자 고품질 실험동물의 생산 공급과 의료 및 실험에 소요되는 장비 개발, 발모제 등 신약개발, 신의료기술 및 생명과학 연구개발업, 이종장기 이식 연구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 세계 최대 신약개발업체인 Charles River Laboratories사와 기술제휴하여, 신약개발 기준 협의기구인 ICH가 인정하는 국제표준규격인 CD(SD)IGS 생물소재를 양산하여 공급하고 있다.
  • 독자적인 연구를 통하여 탄생한 개별공조 케이지 시스템은 우수한 성능을 호평 받으며 미국, 일본, 유럽 등지로 수출되고 있는 세계적인 제품으로 2005년 산자부선정 세계일류 상품에 선정된 기술 및 제품이다.
  • 매출구성은 자동차부품 51.74%, 전원공급장치 22.82%, 생물소재 19.06%, 비나 3.63%, 도시자원 3.33%, 시계 1.66%, 해외생물소재 1.33%, 조정매출 -3.57% 등으로 구성


2. 바이오니아

  • 동사는 1992년 설립되어 2005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바이오벤처 1호로 분자진단 및 유전자 시약 부문을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다.
  • 유전자 기술의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IT, 생물정보 기술, 나노바이오 기술을 접목하여, 특히 바이오헬스 분야의 분자진단, RNAi 유전자신약 분야에서 핵심 특허 기술들을 개발하여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 분자진단사업 분야 진출과 RNAi 신약 연구개발 투자 확대와 관련하여 생산능력 및 연구시설 확장을 위해 일부 설비를 확충해 왔으며, 인력 운영에 있어서는 고급인력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늘려왔다.
  • 영업을 총괄하는 영업부문을 신설하고, 영업부문 아래 3개의 본부(국내영업본부, 해외영업본부, 학술마케팅본부)를 두는 것으로 조직변경. 본격적인 사업 전문화를 위해 2017년 자회사 (주)에이스바이옴을 설립했다.
  • 매출구성은 유전자 시약 및 분자진단키트 등 79.43%, 상품 11.72%, 유전자 분석 및 진단 장비 8.85% 등으로 구성된다.



3. 웰크론

  • 동사는 고기능성 극세사 섬유를 이용한 침구 및 섬유 제품 제조업, 복합방사 방식의 나노섬유를 이용한 부직포 필터여제 제조업, 방위산업 관련품목의 제조가공판매 및 수출입업을 영위하고 있다.
  • 주력품목인 고기능성 청소용품은 내수보다는 수출 위주로 영업 활동을 전개, 특히 극세사 클리너는 2001년 3월 산업자원부로부터 세계일류상품에 선정될 정도로 세계적으로 경쟁력이 뛰어난 제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 2000년부터 3M 본사와 독점공급계약을 체결하여 전 세계 3M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대형거래처 발굴에 성공하여, 전세계 약 40여개국에 극세사 청소용품을 수출하고 있다.
  • 종속회사 (주)웰크론한텍은 지난 2016년 9월 일본법인 IMARI GREEN POWER Co., Ltd.의 지분 90%을 취득하여 신재생에너지발전사업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했다.


4. 에프티이앤이

  • 동사는 나노 섬유를 사용한 각종 섬유와 필터제품을 개발 및 생산하며, 에너지관련기술사업, 환경관련기술 사업을 진행하는 회사다.
  • 주요 사업은 나노 사업과 에너지사업으로 구분. 20여 년 동안의 연구 결과로 독특한 전기 방사 기술을 토대로 세계 최초 나노 멤브레인(nano membrane)의 대량 생산 기술을 개발하여 상용화 하고 있다.
  • 동사 나노섬유의 전형적인 우위요소는 나노섬유 고유의 특징인 방수성 및 통기성뿐만 아니라 고객사의 다양한 Grade 요구에 부여하는 여러 형태의 폴리머를 부직포에 적용 가능하게 한 것이다.
  • 현재, 동사는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다양한 소재에 적용 가능한 Nonwoven Nano Coating 기술과 Nano Nonwoven Fabric 제조기술을 적용하여 대량생산체제를 갖추고 있다.
  • 매출구성은 나노 72.75%, 에너지 27.25% 등으로 구성된다.


5. 일양약품

  • 동사는 1946년 설립되어 전문의약품과 자양강장제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연구개발 중심 제약회사이다.
  • 동사 및 연결사의 주요제품으로 전립선치료제(하이트린), 제산제(알드린), 자양강장제(원비디) 등이 있으며 관련 원재료의 경우 매년 하락하고 있다.
  • 사업부문의 경우 의약품의 제조 및 판매가 주요사업부문이며 그 중 전문의약품의 생산비중이 일반의약품보다 높은 편이다.
  • 동사는 매출 수익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부가치 백신인 4가플루백신, 일본뇌염백신, 세포기반 플루백신등 백신사업에 지속적인 R&D투자를 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하이트린 28.9%, 알드린 24.2%, 원비디 24.03%, 알마게이트 11.1%, 홍삼녹용골드 9.89%, 아세클로페낙 1.88% 등으로 구성된다.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1. 이동평균선이란


주식시장이나 파생상품시장에서 기술적 분석을 할 때 쓰이는 기본 도구 중 하나입니다. 과거의 평균적 수치에서 현상을 파악하여 현재의 매매와 미래 주가를 예측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예를 들어, 10일 이평선은 과거 10일 동안의 주가를 평균낸 값을 매일 점으로 표시하고, 이를 계속 이어서 표시합니다. 이렇게 형성된 이동평균선과 현재 주가의 괴리가 얼마나 벌어져 있는지를 통해서 추세를 가늠하는 것이죠.

 


2. 정배열과 역배열의 의미

이동평균선은 계산기간을 얼마로 두는 지에 따라 n일선 이라는 호칭을 붙입니다. HTS 등에 기본설정되어있는 이동평균선은 보통 5, 10, 20, 60, 120일선이고 단기간의 이평선에서 장기간의 이평선 순으로 배열되는 것에 따라 정배열 또는 역배열이라고 불리며 추세를 가늠하는데에 도움을 줍니다.

 


2-1. 정배열

정배열은 단기간 이평선이 장기간 이평선 위에 있는 것을 말합니다. 주가가 상승 추세에 있다고 판단합니다.

 

2-2. 역배열

역배열은 단기간 이평선이 장기간 이평선 아래에 있는 것을 말합니다. 주가가 하락 추세에 있다고 판단합니다.

 


3. 이동평균선 지표 참고의 장단점

이동평균선은 확실히 과거 주가의 평균점을 나타내어 추세를 보여주지만, 주가가 평균을 회귀한다는 전제를 두고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매수 또는 매도를 하게 되면 기업의 펀더멘탈이나 이슈 등을 의사결정에 반영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4/30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기술적 지표로 수익내기 - 볼린져밴드이 의미와 활용

2018/04/30 -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기술적 분석 지표로 수익내기 - 스토캐스틱

 

참고자료

(1) https://namu.wiki/w/%EC%9D%B4%EB%8F%99%ED%8F%89%EA%B7%A0%EC%84%A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