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몬티홀 문제 (Monty Hall Problem)

여러분 몬티홀 문제란 것을 들어보셨나요? 영화 '21'에서 블랙잭을 하는 주인공의 대학강의 장면에 나와서 더 유명한 문제인데요. 몬티 홀 문제(Monty Hall problem)는 미국의 TV 게임 쇼 《Let's Make a Deal》에서 유래한 퍼즐입니다. 이 게임 쇼의 진행자 몬티 홀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죠. 퍼즐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세 개의 문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문 뒤에 있는 선물을 가질 수 있는 게임쇼에 참가했다. 한 문 뒤에는 자동차가 있고, 나머지 두 문 뒤에는 염소가 있다. 이때 어떤 사람이 예를 들어 1번 문을 선택했을 때, 게임쇼 진행자는 3번 문을 열어 문뒤에 염소가 있음을 보여주면서 1번 대신 2번을 선택하겠냐고 물었다. 참가자가 자동차를 가지려할 때 원래 선택했던 번호를 바꾸는 것이 유리할까?


2. 판단의 근거 - 확률

여러분은 어떤 것이 더 유리하다고 생각하셨나요?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확률적으로 사고해보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3개의 문이 있고, 그 중 1개의 문은 거짓(False)이라고 밝혀졌으니 나머지 2개의 문 중에 참(True)이 있다고 말이죠. 이 때의 확률은 1/2, 50%가 됩니다. 그렇다면 선택했던 방번호를 바꾸거나, 그렇지 않거나 내가 선택한 방의 확률은 50%로 동일합니다.


만약 이렇게 계산을 하게 된다면, 이것은 문제의 핵심 정보를 놓치고 있는 것입니다. 바로 진행자는 자동차와 염소가 어떤 문에 있는지 알고 있기 때문에, 진행자가 자동차가 있는 문을 여는 일은 절대 발생하지 않을 거라는 정보 말이죠. 문제를 다시 가져와보겠습니다.


세 개의 문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문 뒤에 있는 선물을 가질 수 있는 게임쇼에 참가했다. 한 문 뒤에는 자동차가 있고, 나머지 두 문 뒤에는 염소가 있다. 이때 어떤 사람이 예를 들어 1번 문을 선택했을 때, 게임쇼 진행자는 3번 문을 열어 문뒤에 염소가 있음을 보여주면서 1번 대신 2번을 선택하겠냐고 물었다. 참가자가 자동차를 가지려할 때 원래 선택했던 번호를 바꾸는 것이 유리할까?

진행자가 3번 문을 열었다는 것 자체가 하나의 정보가 됩니다. 이 사실 때문에 확률은 아래의 그림처럼 계산됩니다. 


그러므로, 사회자가 문을 바꾸겠냐고 물어봤을 때는 바꾸는 것이 더 좋습니다. 바꿔서 당첨될 확률이 2/3, 66% 정도 되는 것이니까요.


3. 상황 너머를 보는 힘

저는 이 몬티홀 문제를 보면서 금융시장에서 개인투자자가 가진 맹점도 이와 비슷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회자가 문을 여는 행위 자체가 일종의 정보, 정보선점자의 설계 행위라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히 눈앞에 놓여진 문 2개만 보고 확률이 50%라고 단순화해버리는 경우가 개인투자자들에게는 많을테니까요.


어떤 정보가 노출된 것, 그 정보의 유통경로, 정보가 일으키는 영향 까지도 정보의 하나로써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넓은 안목을 가질 수 있도록 언제나 겸손해야할 것 같습니다.



※ 참고자료

(1) https://ko.wikipedia.org/wiki/%EB%AA%AC%ED%8B%B0_%ED%99%80_%EB%AC%B8%EC%A0%9C



2017년 차량용 반도체 시장 규모는 약 345억 달러로 추정됩니다. 전체 반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8%로 크지 않지만, 2022년까지 연평균 7.7% 증가하면서 동기간 전체 반도체 산업 성장률인 3.2%를 큰 폭 상회할 전망입니다. 이는 자동차 산업의 변화를 주도하는 1)자율주행, 2)친환경차, 2)연결성 및 보안 강화에 기인하는데요. 예로 자동화 단계에 따라 자동차 한대당 채용되는 반도체 콘텐츠 규모는 2단계 150달러, 3단계 580달러, 4단계 860달러 수준으로 확대되며, 일반 전기차의 경우 가솔린 차량보다 2배 이상의 반도체를 필요로 합니다. 또한, 차량 내 무선충전, 스마트키, 보안 등의 모듈 분산은 반도체 적용 영역을 확장시키는 요인이죠. 전장 시장의 견고한 성장을 향유하는 차량용 반도체 부품업체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몇가지 기업들 살펴보겠습니다.


AUTO DRIVE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1. 해성디에스

  • 동사는 2014년 3월 6일 주식회사 엠디에스라는 상호명으로 설립되었으며 2016년 6월 한국거래소에 상장, 반도체 Substrate(Package Substrate, 리드프레임)를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한다.
  • 독자적인 PPF 도금 기술을 바탕으로 자동차용 반도체 리드프레임과 같이 제품의 품질 검증이 매우 중요한 제품들을 생산하며 세계에서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자동차용 반도체 리드프레임은 종합반도체업체인 Infineon, ST Micro 등과 거래를 하고 있으며, 조립외주업체는 ASE, Amkor, SPIL, STATS CHIPPAC 등의 업체와 거래를 유지하고 있다.
  • 전자의료기기용 교체형 스마트 체온계 제품개발을 추진하여 2018년 사업화를 목표로 하고, 그래핀 Flake의 사업화를 신규사업으로 추진 중이다.
  • 매출구성은 리드프레임 79.38%, Package Substrate 20.61%, 그래핀 0.01% 등으로 구성된다.


2. 리노공업

  • 동사는 1978년 11월에 리노공업사로 창업 이후, 1996년 12월에 법인전환 하였으며, 2001년 1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 현재 계열회사는 없다.
  • 동사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검사용 PROBE (SPRING CONTACT PROBE:LEENO PIN)와 반도체 검사용 소켓(IC TEST SOCKET)을 자체브랜드로 개발하여, 제조 판매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주요 납품 업체로는 삼성전자, 삼성전기, 삼성SDI, 하이닉스, 한국소니전자, LG전자, 엠코, ASE코리아, 스태츠칩팩, 세크론, 디아이, 티에스이 등이 있다.
  • 콘텍부의 오염방지를 통한 수명연장을 위해 패키지와 직접 콘텍하는 부분의 구조와 재료 및 제작 기술을 연구 중이다.
  • 매출구성은 LEENO PIN 류 50.44%, IC TEST SOCKET 류 43.97%, 상품 외 5.59% 등으로 구성된다.


3. 삼화콘덴서

  • 동사는 종합콘덴서(축전기) 제조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56년 8월 14일에 설립, 1976년 6월 상장, 연결회사는 3개가 존재한다.
  • 사업영역별로 보면 MLCC, DCC, EMI필터 및 BEAD, INDUCTOR, CHIP POWER INDUCTOR 를 생산ㆍ판매하는 회로부품사업과 FC를 생산ㆍ판매하는 기기용사업으로 구성된다.
  • 향후 추진하려는 사업은 하이브리드부품 개발-전기자동차용 세라믹 커패시터 모듈, 슈퍼콘덴서 - EDLC부품 개발, 내장형 캐패시터용 고신뢰성 복합체 개발 등 총 6가지가 있다.
  • 콘덴서는 총생산의 60% 이상을 수출하는 전형적 수출산업이며 연결회사의 매출액 중 수출비중은 15년 60.2%, 16년 61.8%, 17년에는 61.4% 를 차지한다.
  • 매출구성은 MLCC 43.69%, 기타 17.65%, FC 16.45%, DCC 10.23%, DC-LINK 6.93%, CI 5.04% 등으로 구성된다.


4. 아비코전자

  • 1973년 10월에 설립되어 전자제품에 들어가는 수동부품인 INDUCTOR 부류와 Chip Resistors, Lead Resistors 등의 RESISTOR 부류를 전문 생산/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동사의 시장예측 자료 16년 말 기준으로 시장점유율은 Lead Inductor(70%), Chip Inductor(40%), Power Inductor(10%), Lead Registor(40%) 등을 차지한다.
  • 동사가 주력하는 인덕터는 전자유도 코일 및 쵸크로, 전자유도 코일 및 쵸크는 전자코일, 변성기 및 기타 전자유도자 제조업에 해당한다.
  • 다양한 휴대기기가 각광받으면서 고집적도 및 고정밀도를 요구하는 부품시장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는 동사의 주 제품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매출구성은 인덕터 제조 100%, 임가공 4.76%, 연결조정 -4.76% 등으로 구성된다.


5. 아모텍

  • 동사는 신소재를 바탕으로 한 부품의 제조와 판매를 주사업으로 하고 있는 종합 소재부품 전문기업으로 세라믹 칩 부품부문, 안테나 부품 부문 및 BLDC 모터 부문 사업부문을 연구하고 있다.
  • 세라믹 칩 부품의 세계 시장 Top Maker로서 규모의 경제에 의한 가격 경쟁력과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경쟁력을 제고하고 있으며, 급변하는 시장의 요구에 다양한 제품을 개발 하고 있다.
  • 새로운 결제 시스템인 NFC, MST를 채택 함으로서 각광받고 있으며, 동사도 소재 및 설계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NFC 및 MST 안테나를 개발 완료하여 고객사에 공급하기 시작 하였다.
  • 세탁기용 BLDC 모터는 꾸준히 매출 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초박형의 대용량 세탁기용 DD모터의 추가 프로젝트 및 Global 업체들과의 신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안테나 부품 46.66%, 세라믹 칩 부품 41.15%, BLDC 모터 6.37%, 기타전자부품 5.82%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24 - [▶ 왕초보 주식 공부/산업섹터 분석] - 중소형 반도체 관련 주식정리, 반도체주 매수의 기회?

2018/05/20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시스템반도체 관련 주식정리,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을 위한 반도체의 세대교체

2018/05/08 -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3D낸드플래시(NAND FLASH) 반도체 관련 주식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하나금융투자 리포트 "스마트폰 역성장이 불편하다면, 올라오는 전장을 보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