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일 붐이 뜨겁습니다. 글로벌 에너지시장의 무게중심도 셰일로 옮겨지고 있는 중인데요. 중국과 중동이 셰일 개발을 본격화했고 미국에 광구를 가진 SK이노베이션은 미국 셰일개발업체 지분 인수에 뛰어들었습니다. 반면 셰일의 본고장 미국에서는 셰일사업에 대한 경영환경 악화 전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셰일업체들의 비용부담 우려에 사업전망 지수가 전년보다 하락했다.


국내 업체 중에서는 SK가 셰일 개발에 가장 적극적입니다. SK이노베이션이 지난달 21일 미국 셰일업체인 롱펠로우의 지분을 전량 인수한다는 소식을 알렸습니다. 지분 인수에 필요한 구체적 금액과 미국 내 광구 규모 등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업계에서는 지분 인수에만 약 3000억원이 쓰였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죠. 앞서 SK E&S는 지난 2013년 3억6000만달러를 들여 미국 텍사스의 우드퍼드 셰일광구 지분 50%를 인수했고, 2014년에는 SK이노베이션이 오클라호마 지역 내 광구 운영권을 획득한 바 있습니다. (출처: 뉴스토마토)


당장의 미국시장은 좋다고 할 수 없지만 대체 에너지로 시장의 흐름을 타고 있는 셰일가스를 주목할만한 가치는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셰일가스 호황을 함께 누릴 수 있는 국내 기업들을 알아보려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이전 포스팅

2018/04/12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천연가스(LNG) 관련 주식 정리





1. SH에너지화학

- 동사는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물질 제조, 가공 및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58년 5월에 설립되었다.

- 국내 동종업체는 동사를 비롯해 (주)LG화학, 현대EP(주) 등 6개 업체가 있으며, 생산품목인 EPS레진은 중간원료로 사용되어지고, 동사는 20.7%의 시장점유율로 1위를 유지 중이다.

- 합성수지 사업부는 EPS레진을 주 제품으로 하고 있으며, 자체기술을 보유함에 따라 용도 변경 및 수급상황에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

- 신규사업으로 나노산화아연 사업을 개시했으나 사업성 결여에 따라 철수 예정에 있다.

- 매출구성은 합성수지 등 제조 101.37%, 금융투자 0.59%, 자원개발 0.01%, 내부거래 -1.98% 등으로 구성된다.




2. 세아제강

- 동사는 강관, 판재 등의 제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60년 설립되었으며, 세아그룹 내 21개 계열사 중 하나이다.

- 동사는 본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본사를 거점으로 생산, 판매법인 및 투자법인 등 13개의 연결대상회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강관제조 및 판재제조 등 두 개의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 강관산업은 건설, 조선, 자동차, 기계, 에너지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으며, 기존 업체들의 증설 및 중소기업들의 시장 진입으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 동사는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해서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기존설비의 개선에도 투자 지속중이다.

- 매출구성은 강관 66.41%, 해외 59.98%, 판재 16.28%, 연결조정금액 -42.67% 등으로 구성된다.


3. SK이노베이션

- SK(주)가 2007년 투자사업부문을 영위할 SK(주)와 석유, 화학 및 윤활유 제품의 생산 판매 등을 영위할 분할신설법인인 동사를 인적 분할함으로써 설립됐다.

- 2009년 10월 윤활유 사업부문을, 2011년 1월 석유 및 화학 사업부문을 각각 물적 분할하였으며, 동일자를 기준일로 사명을 SK에너지(주)에서 SK이노베이션(주)로 변경하였다.

- 사업부문은 동사가 직접 영위하는 석유개발 및 기타사업부문과 종속회사들이 영위하는 석유사업부문, 화학사업부문, 윤활유사업부문 등으로 구분된다.

- 2017년 9월말 기준 9개국 13개 광구 및 4개 LNG 프로젝트를 통해 전 세계에서 활발한 석유개발사업을 진행 중이며, 확인 매장량 기준 총 5.3억 배럴의 원유를 확보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석유사업 70.84%, 화학사업 20.14%, 윤활유사업 6.63%, 석유개발및기타사업 2.38% 등으로 구성된다.




4. SK가스

- 동사는 1985년 설립되었으며 LPG수입, 저장, 판매회사로 대부분의 LPG를 중동지역으로부터 장기공급계약을 통한 수입 및 SPOT거래처로부터 수입하여 정유사, 석유화학업체 등에 공급 중이다.

- 동사의 국내매출은 일반용(가정상업용, 운수용, 산업용 등)과 석유화학용(석유화학업체의 원료용)으로 구분된다.

- 석유공사 국내석유정보시스템 통계기준으로 2017년 3분기 동사의 국내 LPG 시장점유율은 46.7%로 2016년(44.3%) 대비 증가하였다.

- 본사를 중심으로 중부지사, 동부지사, 서부지사, 제주지사 총 4개의 국내영업지사를 통해 전국적인 유통망을 구축하고 국내 유수의 정유사와 석유화학사, 가스공사 등의 대형고객을 비롯하여 주요산업체에 LPG를 안정적 공급중이다.

- 매출구성은 LPG사업 94.25%, 부동산개발업 5.04%, 수탁저장수입 0.72% 등으로 구성된다.


5. 우림기계

- 동사는 2000년 3월 우림기계 주식회사라는 사명으로 산업용감속기, 건설중장비용 감속기, 풍력발전기 부품 등을 생산, 판매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감속기는 기간산업 및 장치산업에 소요되는 제품으로 국가나 기업의 투자에 영향을 받고 있으나 산업의 특성상 계획된 투자는 지속적으로 이루지고 있어 경기변동에 덜 민감한 편이다.

- 300톤 급 전로경동장치를 국내 최초로 국산화 개발에 성공하여 공급하고 대형 밀감속기, 유성감속기 등 제철설비용 고부가가치 대형감속기 및 대형정밀기어 수주를 확대하고 있다.

- 동사는 현재 미국수출용 기어박스를 시험 진행 중에 있고 철도차량용 부품, 90T 주행감속기, 전기차용 기어박스등의 제품을 개발 중에 있다.

- 매출구성은 산업용감속기 51.81%, 트랜스미션 48.19%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이전 포스팅에서 엘론 머스크의 '테슬라'사와 전기차에 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데요. 물을 이용한 '수소차'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석유를 대체할 대체에너지와 이를 활용하는 기기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듯 합니다. 한국에서도 수소차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관련 기업을 조금 정리해보겠습니다.




1. 유니크

- 동사는 차량부품의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76년 4월 21일 설립되어 1993년 12월 22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다.

- 자동차부품업이 지배적 단일산업부문이며, 주요 제품으로 자동차용 시계류, 시가라이트류, 유압솔레노이드 밸브, 밸브류, 센서류, 인디케이터류 등이 있다.

- 유압솔레노이드 밸브를 92년 일본의 TOSOK 사와 기술제휴로 국산개발에 성공 및 현대기아자동차, 현대파워텍 등에 납품하고 있으며 국내시장의 약 7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 자사의 연구소에서 지속적인 제품개발로 다단변속기에 적합한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개발에 참여함으로써 미래선도기술을 확보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유압 SOLD VALVE 47.86%, VALVE 류 12.44%, DCT SOLENOID VALVE 12.05%, 중국 청도유니크 7.41% 등으로 구성된다.


2. 삼보모터스

- 동사는 자동차의 자동변속기를 구성하는 부품 및 자동차 내부의 air, water, oil 등이 이동하는 통로가 되는 파이프류 제품을 전문 제조하는 자동차부품 제조업체이다.

- 연결대상에 해당되는 일조삼보기차배건유한공사는 지배회사인 삼보모터스로부터 완성품 또는 반제품을 수입하여 현지에서 가공, 조립 및 완성하여 현지에 판매하는 형태로 운영되는 회사로, 주된 판매처는 현대기아차 계열이다.

- 연결대상에 해당하는 (주)프라코는 자동차용 bumper, instrument panel, pillar 및 garnish 등의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갖춘 플라스틱 제품 및 금형 생산업체이다.

- 현재 국내완성차 업계의 OEM 매출에 편중된 영업활동을 개선하고자 해외시장 개척에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글로벌 OEM에 대한 직수출 비중이 전년대비 더욱 확대되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매출구성은 플라스틱제품 60.21%, PIPE PART 19.44%, AUTO PART 8.32%, 금형 7.61%, 기타 3.41%, 플라스틱상품 0.82%, 자동차튜닝 0.2% 등으로 구성된다.




3. 이엠코리아

- 동사는 2003년 3월 20일 공작기계제조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05년 10월1일 공작기계핵심부품 및 방산제품, 발전설비제품을 생산하는 동우정밀을 자산양수.도 방식으로 인수하였다.

- 동사가 영위하는 주요사업으로 신재생에너지 관련사업, 수소연료전지 관련사업, 태양광발전 관련 사업 등이 있다.

- 공작기계는 기계를 만드는 기계(Mother Machine)로서 자본재산업의 핵심 산업이며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제조업 경쟁력강화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산업으로 전·후방 산업관련 효과가 매우 크다.

- 동사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으로 수소발생장치, 수소스테이션 및 수소플랜트사업을 신규사업을 개발 및 추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공작기계 48.86%, 방산부품 30.48%, 수소스테이션 등 9.43%, 선박평형수처리장치/음식물처리장치 5.26%, 건설기계장비 4.1%, 분철 및 임대매출 1.87% 등으로 구성된다.


4. 우수AMS

- 동사는 자동차 부품 전문 생산 업체로서 조향부품, 구동부품 등 자동차부품의 제조를 그 주된 사업으로 하고 있다.

- WOOSU CZECH의 경우 현대자동차 체코법인에 제품 판매를 위하여 2012년 04월 05일에 설립하였다.

- 현재 국내자동차 3사 등에 엔진브라켓트, 샤시파트, 변속기부품 등 기존 물량을 계속 공급 및 신차개발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자동차 메이커의 신뢰성확보로 안정적인 성장기반을 확보했다.

- 2015년 3월 동사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소재공장을 착공, 2015년 12월 준공하여 공장가동 중에 있다.

- 매출구성은 기타 85.7%, 6속 DIFF-CASE 10.75%, BRKT ASSY TM SUPT 2.83%, 상품매출 0.38%, 세타 일체형 NON PS 0.34% 등으로 구성된다.




5. 뉴로스

- 동사는 2000년 5월 9일에 터보기기 및 터보엔진 제품 개발, 제조 및 판매 등을 주 사업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종속회사인 TMC는 동사가 제조한 제품의 중국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쿤산공장 설립 후 A/S 시행 및 압축기 사업을 신규로 진행 중에 있다.

- 블로워 제조기업은 인버터 등의 전자부품과 임펠러 등의 기계부품을 공급받은 후 품질검사 및 조립의 과정을 통해 블로워를 제조한 후 수요처인 오수/폐수처리장, 석유화학플랜트, LCD/반도체 공정 등을 보유한 업체에 공급한다.

-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면서 에너지 절약형 산업용 기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기 시작했고 감압 시의 에너지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신개념의 저압 압축기가 등장함에 따라 압축기 시장에서도 고효율 에너지 장비의 수요 증가 예상되고 있다.

- 매출구성은 터보블로워 82.39%, 기타(용역/상품) 17.61%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고농축 미세먼지를 알리는 재난 문자가 휴대폰으로 전달되었네요. 방독 수준의 마스크를 사용하시는 분들의 모습도 자주 보이고 있습니다. 인간이 파괴해놓은 자연이 그대로 인간에게 돌아오고 있는 것일까요. 에너지 절약과 환경보전은 21세기 최고의 화두가 아닐까 싶습니다. 4차산업혁명이라는 키워드에 가려져있지만 '자연,에코,환경'이라는 키워드가 조금 더 큰 차원의 대화가 아닐까 생각되기도 하네요. 태양광, 수소에너지, 전기에 이은 또 하나의 대체에너지원, 풍력과 연구하는 또는 관계된 기업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 유니슨

- 1984년 설립된 동사는 풍력발전기 생산 및 풍력발전단지 조성 및 운영, 유지보수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지분을 소유한 계열회사는 9개사로 모두 비상장업체이다.

- 주요제품으로 풍력발전시스템, 풍력발전타워 등이 있으며 관련 생산실적은 전년대비 소폭 증가하였다.

- 경상남도 사천시에 국내 최대규모 풍력발전 전용공장을 통해 풍력발전시스템 완제품을 생산함에 따라 가격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대규모 야적장과 해안에 인접한 최적의 물류체제를 보유하고 있다.

- 국내 최초로 750㎾ 기어리스형 풍력발전시스템 개발해 냈고, 이어 2MW 및 2.3MW 풍력발전시스템을 개발하여 세계시장에 도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풍력발전사업 100% 이다.


2. 씨에스윈드

- 2006년 설립되었으며 풍력발전 설비 및 제조, 관련 기술 개발, 강구조물 제작 및 설치, 풍력발전 관련 컨설팅 및 지원서비스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이다.

- 풍력발전기는 높은 위치에 설치될수록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하며, 동사는 풍력발전기를 높은 곳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풍력발전 타워 및 풍력발전 타워용 알루미늄 플랫폼 등을 생산하고 있다.

- 2011년 이후 세계 풍력발전기 상위 10개 사 중 5개 사를 고객으로 확보하였으며, 판매지역도 북미와 유럽 뿐만 아니라 남미, 아시아, 아프리카 등 다수 지역으로 확대하고 있다.

- 향후 해상풍력 시장이 풍력산업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베트남 공장 설비를 증설하고, 향후 유럽 해상풍력 시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되는 영국에 신규 해상풍력 타워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 매출구성은 풍력타워 제품 99.75%, 서비스 매출 0.25%, 풍력타워 상품 0% 등으로 구성된다.




3. 동국S&C

- 2001년 7월 설립된 동사는 풍력 금속 구조재, 건설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주력제품으로는 풍력발전기용 WIND-TOWER가 있다.

- 주요 사업부문으로는 철강사업부문, 칼라강판부문이 있으며 풍력산업은 전력수요의 증가와 경제성, 저탄소배출에 따른 환경친화성의 부각으로 기대와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 해상풍력시장은 해상풍력 기술검증 및 track record 가 부족한 초기시장 단계이나, 기술 검증 완료 및 대량생산 체제 구축시 풍력사업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향후 높은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 철강사업부문에서 제품생산을 위해 사용하는 원재료는 국내업체는 주로 동국제강, 포스코와 해외업체는 Nanjing Iron And Steel Group, Aier Group(Hu) Limited 등에서 조달받고 있다.

- 매출구성은 강판외 49.76%, WIND TOWER 35.15%, 건설 14.51%, 제품기타 0.58% 등으로 구성된다.


4. 태웅

- 동사는 풍력발전, 플랜트산업, 조선업, 발전, 산업기계 등 수요산업에 소요되는 핵심 단조부품을 생산, 공급하는 자유형단조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단조업은 크게 자유형 단조와 금형 단조로 구분되는데 금형단조는 크기가 작고 규격이 표준화된 제품(자동차부품, 소형 공구 등)을 금형을 사용해서 대량생산하는 단조방식이며, 자유형 단조는 대부분 주문생산 공급된다.

- 품질, 납기, 가격이 자유형 단조업의 주요 경쟁요소이며 제품생산에 적합한 특화된 생산능력, 공정별 제조기술, 숙련된 기술들이 요구된다.

- 단조사업의 수익성을 제고하고 일관생산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2013년부터 전기로 제강사업에 설비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자유형단조품 92.47%, SLAB 7.53% 등으로 구성된다.




5. 삼강엠앤티

- 1996년 설립되었으며 특수강 및 스텐레스 강관 제조 및 도,소매업, 선체블록 및 조선기자재 제조업, 철구조물 제작 제조업 등을 주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이다.

- 해양구조용 파이프 및 송유관용 파이프는 주로 유전개발을 위한 해양구조물을 건설하고, 채굴된 원유를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파이프이며 2016년 말 기준으로 전체 매출액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다.

- 경남 고성의 조선해양산업특구(일반산업단지 포함)는 약 12만평 면적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선박용 블록 및 해양플랜트 제작 공장이다.

- 세계적 메이저 석유회사인 Exxon Mobil, Chevron, Total, Shell, Pttep 등으로부터 인증을 받아 전세계 어떠한 프로젝트에도 참여할 수 있는 자격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선박용 블록 및 해양플랜트 63.64%, 후육 강관 36.36%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