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오늘은 주가를 분석하는 두 가지 큰 틀에 대해서 알아보려하는데요. 주가를 분석할 때 수급이 좋기 때문에 매수를 권합니다.’라는 표현이나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대하고 있기 때문에 매수를 권합니다.’라는 등의 표현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두 가지 표현 중 전자는 [기술적 분석]에 의해서, 후자는 [기본적 분석]에 의해서 각각 매수를 추천하고 있는데요. 같은 결과를 놓고는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주식분석의 큰 틀 2가지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공부해보려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먼저 [기술적 분석]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1. 기술적 분석이란?

주식시장을 비롯한 금융시장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기법 가운데 하나로, 주로 가격 그래프(차트)를 이용해 분석한다. 분석 기법에서 기본적 분석과 대비됩니다. 기술적 분석은 시장의 가격 그 자체에만 관심을 갖고, 그런 가격 움직임의 원인에는 관심을 두지 않습니다. 몇가지 가정과, 과거와 현재의 가격 움직임에 따라 미래의 가격이 어떻게 움직일지를 예측하는데요. 기술적 분석은 이론적인-재무적인 혹은 기업의 본질적인- 뒷받침이 거의 없으며, 분석의 유효성은 과거의 시장 경험에 의존합니다. 오늘날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됨에 따라 매우 확산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소액투자자들이 분석하는 도구이기도 합니다.

 


2. 기술적 분석의 기본 전제

존 머피(<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의 저자)는 다음을 기술적 분석의 기본 전제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 시장의 움직임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
  • 가격은 추세를 이루며 움직인다.
  • 역사는 되풀이된다.

3. 기술적 분석의 기본 도구


3-1) 차트


▶추세

가격이 일정 기간 계속 같은 방향(/아래/)으로 움직이는 것을 추세라고 합니다. 상승추세는 고점과 저점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정의하며, 하락추세는 고점과 저점이 점차 낮아지는 것의 하는 식으로 정의합니다. 추세를 예측하거나 감지, 확인하는 것이 기술적 분석의 기본 목표입니다.

 

▶지지와 저항

가격이 내리다 더 내리지 않고 멈추는 것을 지지, 반대로 더 오르지 못하고 멈추는 것을 저항이라 합니다. 보통 이전 고점이나 저점에서 지지선이나 저항선이 나타납니다. 또 가격이 저항선을 뚫고 올라가면 이 저항선은 지지선으로 바뀌기도 합니다.

 

▶ 패턴

가격이 차트에서 특정한 형태를 띨 때, 그 형태에 따라 추세가 바뀌거나 계속된다고 예측합니다. 추세 전환을 예고하는 패턴은 반전형, 추세가 이어지는 도중에 생기는 패턴은 지속형이라고 부릅니다. 반전형 패턴은 머리어깨형이 대표적으로, 차트가 사람 머리와 두 어깨 모양이면 추세가 바뀜을 뜻합니다. 지속형은 삼각형 패턴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3-2) 기술적 지표


기술적 지표(technical indicator)는 가격이나 거래량 같은 기본 데이터를 가공한, 수학 공식에서 나오는 '값'에 해당합니다. 지표의 종류는 매우 많으나, 대개 비슷한 성질을 갖는 것끼리 묶어서 사용합니다.

 

▶ 이동평균

이동평균(moving average)은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의 평균을 그래프로 그린 것입니다. 예를들어 오늘의 20일 이평값은 오늘의 가격(종가)부터 19일전의 종가까지를 평균한 값이죠. 20일 이평선은 이런 이평값(점)을 그래프로 이은 것입니다. 이동평균은 추세를 계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개발된 기본적이고 강력한 도구이며, 기술적 분석 밖에서도 많이 채용됩니다. ( 응용 지표의 예: MACD) 


▶ 오실레이터

기준선을 중심으로 아래위로 움직이는 성질을 갖는 지표를 오실레이터라 합니다. 대개 추세 변화를 빨리 감지하려는 목적이며, 그래프의 기울기(변화량)를 측정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 응용 지표의 예: 스토캐스틱, RSI 등)


※ 참고자료

(1) 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C%88%A0%EC%A0%81_%EB%B6%84%EC%84%9D

주식시장은 크게 장내시장과 장외시장으로 구분되며, 장내시장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장외시장은 일반 장외시장과 프리보드시장으로 구분됩니다.



1. 장내시장

'장내시장'이란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주식과 채권, 수익증권을 매매하는 시장을 말합니다.


1-1)유가증권(KOSPI)시장

유가증권시장은 장내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 중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에 의해 설립경과 3년 이상, 자기자본 100억 이상, 최근 3년 동안의 감사 결과가 적정 의견(최근), 적정 또는 한정 의견(직전)이며, 최근 연도에 영업이익, 경상이익, 당기순이익을 실현하는 등 까다로운 규정을 통과한 기업의 주식 종목이 거래되는 시장입니다.

 

따라서 유가증권시장의 주식은 유동성이 좋아, 언제든 자신이 원하는 시기와 시간에 매매가 가능하며 장세가 좋을 때는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장이란 과정을 통해 기업 가치가 정해진 뒤이기 때문에, 기술 개발이나 M&A 등으로 회사 가치가 크게 변화하지 않는 한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기는 어렵습니다.

 

1-2) 코스닥(KOSDAQ)시장

'코스닥시장'은 미국의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나스닥을 본 떠 이름이 지어진 것으로 벤처기업 및 유망 중소기업이 직접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설립한 시장입니다.

 

코스닥시장은 기업 규모는 작지만 성장성이 높은 기업이 등록하는 곳으로, 유가증권시장 보다는 등록 기준이 상당히 완화되어 있으며 투자위험이 높은 반면, 그만큼 수익 가능성도 높습니다. 한국거래소의 코스닥 시장본부가 전담, 관리하고 있습니다.

 


2. 장외시장

2-1) 일반 장외시장

'장외시장'이란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은 주식이 유통되는 시장입니다. 장외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은 장외주식이라고 합니다. 장내시장에는 거래 시간이나 거래 장소, 매매?중개업자 등 엄격한 규제를 하지만, 장외시장에서는 매매?중개업자 없이 매매 당사자끼리 어디서든 자유롭게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거래 상대자나 거래 사실에 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고 거래상의 문제가 생겨도 이를 감독하거나 책임을 가려줄 기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투자위험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2-2) 프리보드시장

'프리보드시장'이란 비상장기업 중 성장단계에 있는 벤처기업 등이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장외시장에서 산발적으로 거래되는 주식 가운데 일부 종목을 지정하여 한국금융투자협회가 운영하는 증권시장입니다. 프리보드 시장은 데 주식 유통에 필요한 최소한의 형식적 요건을 갖춘 기업이라면 어떤 기업이든 참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험이 크지만 그만큼 수익 가능성도 커서 관심을 보이는 투자자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그만큼 투자자의 자기책임이 특별히 강조되는 시장으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18/02/22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확실한 종목이 없을때는 지수를 따라가는 인덱스펀드 추천

2018/03/31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코스닥, 코스피를 함께 반영하는 벤치마크(BM)지표 KRX300와 인덱스펀드(ETF)


 

전문출처

http://korfinance.co.kr/gnuboard4/bbs/board.php?bo_table=category0&wr_id=112

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최근 탈모환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남성은 물론이고 여성까지, 그리고 환자 연령대가 점점 낮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탈모는 하나의 질병으로써 의학으로 해결해야하는데요. 탈모 환자의 증가는 달리 말하면 탈모 관련 소비 시장의 증가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TV광고에 탈모 관련 샴푸를 많이 보셨죠? 근 몇년간 급격히 증가했다고 느끼지 않으셨나요? 커져가는 탈모시장에서 이익을 기대해볼 수 있는 탈모 관련 주식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1. LG생활건강

- 닥터그루트라는 탈모전용 샴푸를 출시.

- Healthy(생활용품)부문, Beautiful(화장품)부문, Refreshing(음료)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음.

- 국내 생활용품 시장에서는 1위, 화장품 시장에서의 2위, 음료 시장에서 2위의 지위를 유지.



2. 아모레퍼시픽

- 탈모전용상품 중 선점한 격인 '려' 브랜드를 가지고 있음.

- 화장품의 제조 및 판매, 생활용품의 제조 및 판매, 식품(녹차류, 건강기능식품 포함)의 제조, 가공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며, 화장품과 생활용품, 녹차 사업으로 구분됌.

- 매출구성은 화장품 88.82%, MCandS 11.18% 등으로 구성.




3. 동아에스티

- 바이오벤처인 네오믹스와 탈모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

- 동아제약(주)에서 인적 분할하여 2013년 3월 1일에 설립되었으며 주된 사업은 전문의약품 등의 제조 및 판매임. 자가개발의약품, 바이오의약품, 제네릭, 도입의약품 등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음

- 다수의 블록버스터 제품을 바탕으로 시장지배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음

- 2016년 스티렌의 개량신약인 스티렌2X, 당뇨병치료제 슈가논과 슈가메트, 골다공증치료제 도입신약 테리본을 발매하였으며, 손발톱무좀치료제 주블리아의 도입 계약을 체결하여 제품포트폴리오를 강화

- 2016년 개발된 신제품으로는 위염 치료제인 스티렌투엑스정, 당뇨병 치료제인 슈가논정 및 슈가메트서방정, 골다공증치료제인 테리본주, 고지혈증치료제인 듀오논정 등이 존재

- 매출구성은 기타 61.03%, 수출 8.85%, 타리온 4.58%, 플라비톨 4.03%, 모티리톤 3.99%, 스티렌 3.73%, 리피논 3.41%, 그로트로핀 3.2%, 가스터 2.01% 등으로 구성



4. 우노앤컴퍼니

- PVC 가발 원사 및 난연 PET 가발 원사 등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기업으로 중국, 동남아, 아프리카 등 해외국가에 생산량의 95% 이상을 수출하고 있음

- 인모처럼 가정용 드라이기나 고데기를 사용하여 머리 손질이 가능한 난연가발사와 비난연 가발사를 생산함

- 가발사는 한국, 일본에서 생산되고, 가발의 봉제는 중국, 동남아 등 값싼 노동력이 풍부한 지역이나 가발이 직접 소비되는 아프리카에서 제조되고 있으며, 가발의 소비는 미국, 유럽, 아프리카의 흑인 여성에 의해 이루어짐




(출처: 와이즈에프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