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우연히 인터넷에서 삼성에서 개발중인 '인폴딩' 폴더블 스마트폰의 사진을 봤습니다. 접었을 경우에는 일반 스마트폰의 크기, 펼치면 태블릿PC 정도의 사이즈가 되더군요. 공상과학 소설이나 영화에서나 보던 기계를 실생활에서 사용하게 될 날도 멀지 않은 것 같습니다. 폴더블 스마트폰과 관련해서 열심히 연구개발중인 기업들을 알아보려합니다.




1.코오롱인더

- 동사는 (주)코오롱의 제조사업부문이 2009년 12월 31일자로 분할되어 신설된 제조회사이다.

- 산업자재군(자동차소재 등), 화학소재군(종합화학제품), 필름/전자재료군, 패션군(패션, 아웃도어 제품), 의류소재군의 5개 사업군으로 구성된다.

- 산업자재부문은 타이어코오드를 비롯하여 에어백 원단 및 쿠션, 산업용사, SPB(부직포), 샤무드(인공피혁), 아라미드, MBR(멤브레인)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다.

- 약 880억원을 투자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핵심부품인 윈도우 커버용 CPI필름 생산설비를 구축 중에 있다.

- 매출구성은 산업자재군 37.96%, 패션군 21.84%, 화학소재군 19.49%, 필름/전자재료군 11.13%, 의류소재등군 9.59% 등으로 구성된다.


2.SKC코오롱PI

- 동사는 2008년 6월 폴리이미드 필름 및 관련 가공제품의 연구개발, 생산 및 판매를 주 목적으로 하여 SKC와 코오롱인더의 합작설립 PI 필름은 대부분의 전기·전자제품에 전반적으로 적용되는 핵심 소재이다.

- PI 필름은 스마트폰 및 Display 분야에 주로 사용되며, 절연용으로 사용되는 PI 필름은 중공업, 조선, 건설 분야 뿐만 아니라 전기자동차, 고속철도 등 그 수요와 적용분야가 증가하고 있다.

- 동사는 전세계 PI 필름 Maker 중 유일하게 절연용-FPC용-Sputtering용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타 Maker에서는 잘 대응되지 않는 특수(Customized) 두께 제품, 특수폭 제품 또한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 기존 FCCL 內 제품 포트폴리오 다각화 및 신규 적용시장 등에 대한 PI(Polyimide) 필름 지속 연구개발을 통하여 매출을 확대할 예정이며 2016년 기준 시장 점유율은 23.6%이다.

- 매출구성은 PI필름 99.98%, 임대 0.02% 등으로 구성된다.




3.경인양행

- 동사는 염료산업 및 사카린을 비롯한 화학산업을 주요사업으로하며, 1977년 10월 14일에 설립되어 1995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됐다.

- 종속회사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전자재료를 생산하는 주요종속회사인 (주)와이즈캠을 포함해 총 5개의 회사로 구성된다.

- 염료산업을 주 사업으로 하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사카린 등을 취급하는 연결대상 계열회사인 JMC를 바탕으로 한 화학산업으로 사업부를 구성된다.

- (주)와이즈켐 출자를 통하여 OLED,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재료사업으로의 사업영역영역을 확장하는 등 사업다각화를 통한 수익성향상 추진중에 있다.

- 매출구성은 염료부문 90.09%, 화학부문 24.71%, 내부거래 및 연결조정 -14.8% 등으로 구성된다.


4.LG디스플레이

- 동사는 TFT-LCD, OLED 등의 기술을 활용한 Display 및 관련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Display 단일 사업부문으로 구성된다.

- OLED는 2013년 1월 55인치 OLED TV를 세계 최초로 공급한 데 이어, UHD OLED TV, 플렉서블 OLED 스마트폰, Wearable용 원형(Round) OLED 패널 등을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 노트북과 모니터 제품 등 전통 IT 제품 시장은 성장 정체 혹은 역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빠르게 진화 중인 e생태계 환경에 발맞춰 Smartphone등 중소형 Display 시장이 꾸준하게 성장 중이다.

- LCD에서는 IPS 기술 기반의 초대형/고해상도 UHD TV 및 대형/IPS/21:9 Curved 모니터 등 차별화 제품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in-TOUCH 기반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생산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Display 패널 100% 이다.




5.트레이스

- 동사는 2011년 4월 27일 합병으로 인하여 주된 사업내용이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에서 전자부품 제조업으로 변경됐다.

- 동사는 국내 메이저 휴대폰 제조사인 LG전자를 후레쉬 광모듈 제품의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으며, 현재 고객사에서 판매되는 휴대폰 중 후레쉬 모듈이 적용되는 주요 프리미엄폰에 후레쉬 모듈이 납품되고 있다.

- 동사는 현재 Full-HD LED TV 및 모니터를 중국에 위탁 생산하여 총판 계약을 통해 자사 브랜드로 공급하고 있으며, 총판에서 필요한 물건을 사전에 주문 받아 중국에 원하는 사양대로 주문하여 판매하고 있다.

- 동사는 지난 10년 여간의 관련 개발 및 제조, 그리고 납품을 통해 관련 설계 및 제조 기술을 확보하고 또한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IT 모듈 65.55%, 기타전자부품 상품 34.45%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애플 아이폰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28% 이상, 세계 시장 점유율은 50%가 넘습니다. 스마트폰이라는 하드웨어 및 운영체제라는 소프트웨어의 플랫폼 두 가지 모두를 독점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플랫폼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4차산업혁명에서 엄청난 자본이 될텐데요. 우리 나라에서도 애플의 아이폰 호황을 함께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오늘은 이런 기업들을 알아보려 합니다.


1. LG이노텍

- 동사는 1970년 금성알프스전자(주)로 설립되었으며, 전기전자부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종합 전자부품업체임. 2009년 LG마이크론(주)와 합병했다.

- 현재 광학솔루션 사업부문, 기판소재 사업부문, 전장부품 사업부문, LED 사업부문의 4개 사업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모바일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 자동차, LED 조명 등의 주요 부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 국내외 주요 거점 별로 11개 생산기반과 10개 판매거점을 구축하여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보하였으며, 국내와 일본에 R&D 캠퍼스와 연구소를 운영하며 혁신기술과 시장선도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글로벌 TOP 지위를 확보한 Display 부품 사업군은 신기술 개발 및 신제품 선 제안을 통한 시장선점으로 안정적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광학솔루션사업부 외 54.38%, 전장부품사업부 18.69%, 기판소재사업부 16.41%, LED사업부 10.51% 등으로 구성된다.


2. 하이비젼시스템

- 동사는 비젼기술을 응용한 각종 검사 및 공정장비의 개발/제조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설립되어, 2012년 (주)하이비젼시스템과 합병, 상호를 (주)하이비젼시스템으로 변경하였다.

- 주로 휴대폰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공정 및 검사의 자동화 장비의 개발 및 제조를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독보적인 비젼인식 기술과 카메라 모듈에 대한 프로세싱과 자동보정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 주요 고객사는 휴대폰 카메라모듈 제조사이며 카메라 모듈을 소비하는 글로벌 엔드 유저 중 내작을 하지 않는 대부분의 업체에 (삼성전자, LG이노텍 등) 장비가 공급되고 있다.

- 카메라모듈 부문의 국내 최대 업체인 LG이노텍, 삼성광통신 등에 납품이 이루어지고 있고 Cowell, Primax, Sharp 등 해외 대규모 카메라 모듈 제조 업체에도 동사의 장비가 일부 공급된다.

- 매출구성은 CCM자동화검사장비 70.75%, 영상평가장치 및 기타 25.61%, 3D 프린터 등 3.64% 등으로 구성된다.


3. LG디스플레이

- 동사는 TFT-LCD, OLED 등의 기술을 활용한 Display 및 관련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Display 단일 사업부문으로 구성된다.

- OLED는 2013년 1월 55인치 OLED TV를 세계 최초로 공급한 데 이어, UHD OLED TV, 플렉서블 OLED 스마트폰, Wearable용 원형(Round) OLED 패널 등을 지속적으로 출시했다.

- 노트북과 모니터 제품 등 전통 IT 제품 시장은 성장 정체 혹은 역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빠르게 진화 중인 e생태계 환경에 발맞춰 Smartphone등 중소형 Display 시장이 꾸준하게 성장 중이다.

- LCD에서는 IPS 기술 기반의 초대형/고해상도 UHD TV 및 대형/IPS/21:9 Curved 모니터 등 차별화 제품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in-TOUCH 기반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생산 체계를 구축했다.

- 매출구성은 Display 패널 100% 이다.


4. 프로텍

- 동사는 1997년 9월 1일에 반도체장비 및 자동화 공압 부품 등의 제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01년 8월 발행주식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 시스템사업부는 DISPENCER M,C등의 장비를 삼성전자, 앰코테크놀러지, 스태츠칩팩코리아 등에 공급하고 있으며, 뉴메틱 사업부는 PNEUMATIC CYLINDER 등의 장비를 공급 한다.

- BGA 패키지에 대한 후공정 디스펜서 장비는 국내시장은 외국업체와 동사가 시장을 선점. 국내 생산업체 중에서 유일하게 해외진출에 성공하여 ATS 및 골콘다 등을 통해 싱가포르 및 대만 시장에서 외국업체와 대등한 경쟁하고 있다.

- 동사는 기존 주력제품인 디스펜서 장비 관련 연구 개발뿐만 아니라, 반도체 장비의 개발, 제조의 Know-How를 이용 LED제조장비 기술개발 중에 있다.- 

- 매출구성은 시스템 91.7%, 뉴메틱 8.3%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