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오늘은 주가를 분석하는 두 가지 큰 틀에 대해서 알아보려하는데요. 주가를 분석할 때 수급이 좋기 때문에 매수를 권합니다.’라는 표현이나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대하고 있기 때문에 매수를 권합니다.’라는 등의 표현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두 가지 표현 중 전자는 [기술적 분석]에 의해서, 후자는 [기본적 분석]에 의해서 각각 매수를 추천하고 있는데요. 같은 결과를 놓고는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주식분석의 큰 틀 2가지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공부해보려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먼저 [기술적 분석]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1. 기술적 분석이란?

주식시장을 비롯한 금융시장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기법 가운데 하나로, 주로 가격 그래프(차트)를 이용해 분석한다. 분석 기법에서 기본적 분석과 대비됩니다. 기술적 분석은 시장의 가격 그 자체에만 관심을 갖고, 그런 가격 움직임의 원인에는 관심을 두지 않습니다. 몇가지 가정과, 과거와 현재의 가격 움직임에 따라 미래의 가격이 어떻게 움직일지를 예측하는데요. 기술적 분석은 이론적인-재무적인 혹은 기업의 본질적인- 뒷받침이 거의 없으며, 분석의 유효성은 과거의 시장 경험에 의존합니다. 오늘날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됨에 따라 매우 확산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소액투자자들이 분석하는 도구이기도 합니다.

 


2. 기술적 분석의 기본 전제

존 머피(<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의 저자)는 다음을 기술적 분석의 기본 전제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 시장의 움직임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
  • 가격은 추세를 이루며 움직인다.
  • 역사는 되풀이된다.

3. 기술적 분석의 기본 도구


3-1) 차트


▶추세

가격이 일정 기간 계속 같은 방향(/아래/)으로 움직이는 것을 추세라고 합니다. 상승추세는 고점과 저점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정의하며, 하락추세는 고점과 저점이 점차 낮아지는 것의 하는 식으로 정의합니다. 추세를 예측하거나 감지, 확인하는 것이 기술적 분석의 기본 목표입니다.

 

▶지지와 저항

가격이 내리다 더 내리지 않고 멈추는 것을 지지, 반대로 더 오르지 못하고 멈추는 것을 저항이라 합니다. 보통 이전 고점이나 저점에서 지지선이나 저항선이 나타납니다. 또 가격이 저항선을 뚫고 올라가면 이 저항선은 지지선으로 바뀌기도 합니다.

 

▶ 패턴

가격이 차트에서 특정한 형태를 띨 때, 그 형태에 따라 추세가 바뀌거나 계속된다고 예측합니다. 추세 전환을 예고하는 패턴은 반전형, 추세가 이어지는 도중에 생기는 패턴은 지속형이라고 부릅니다. 반전형 패턴은 머리어깨형이 대표적으로, 차트가 사람 머리와 두 어깨 모양이면 추세가 바뀜을 뜻합니다. 지속형은 삼각형 패턴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3-2) 기술적 지표


기술적 지표(technical indicator)는 가격이나 거래량 같은 기본 데이터를 가공한, 수학 공식에서 나오는 '값'에 해당합니다. 지표의 종류는 매우 많으나, 대개 비슷한 성질을 갖는 것끼리 묶어서 사용합니다.

 

▶ 이동평균

이동평균(moving average)은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의 평균을 그래프로 그린 것입니다. 예를들어 오늘의 20일 이평값은 오늘의 가격(종가)부터 19일전의 종가까지를 평균한 값이죠. 20일 이평선은 이런 이평값(점)을 그래프로 이은 것입니다. 이동평균은 추세를 계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개발된 기본적이고 강력한 도구이며, 기술적 분석 밖에서도 많이 채용됩니다. ( 응용 지표의 예: MACD) 


▶ 오실레이터

기준선을 중심으로 아래위로 움직이는 성질을 갖는 지표를 오실레이터라 합니다. 대개 추세 변화를 빨리 감지하려는 목적이며, 그래프의 기울기(변화량)를 측정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 응용 지표의 예: 스토캐스틱, RSI 등)


※ 참고자료

(1) 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C%88%A0%EC%A0%81_%EB%B6%84%EC%84%9D

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물타기와 불타기] 그리고 [제시 리버모어]에 대한 이야기에서 이어지는 오늘의 포스팅은 [피라미딩]에 대한 것입니다. 이전 글들을 함께 보고 오시면 더 도움이 되실테니 링크를 걸어두겠습니다


※ 함께보기

2018/04/25 - [===왕초보 주식 공부===/주식의 개념원리] - 추가 매매의 두 가지 종류, 물타기와 불타기

2018/04/25 - [===왕초보 주식 공부===/투자의 고수들] - 피라미딩(불타기)과 공매도의 콤비전략, 수익률 40만% 월가의 큰곰 제시 리버모어


1. 피라미딩 이란?

[피라미딩]이란 간단히 이야기해서 주가가 상승함에 따라 추가로 매수하여 비중을 늘리는 기법입니다. 피라미드의 우상향 곡선처럼 그 곡선을 따라가며 투자비중을 늘려가는 것이죠.


2. 기본 피라미딩 기법


<시골의사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를 참고한 제시 리버모어의 사례로 살펴볼 기본 피라미딩 기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자산의 1/3을 투자하여 A종목을 100달러에 산다.

(2) A종목의 가격이 105달러가 되면, 다시 1/3을 투자한다.

(3) A종목의 가격이 110달러가 되면, 다시 1/3을 투자한다.


만약 90만원을 가지고 위처럼 투자한다고 가정한다면,

(1) 30만원으로 A종목을 10,000원에 샀다.

→ 전체 수량30주, 평균매수단가 10,000원

(2) A종목이 10,500원으로 올라서, 다시 30만원을 투자하여 28주를 추가 매수했다.

→ 수량58주, 평균매수단가 10,241원

(3) A종목이 11,000원으로 올라서, 다시 30만원을 투자하여 27주를 추가 매수했다.

→ 수량85주, 평균매수단가 10,482원



위처럼 분할매수하면서 항상 [평균매수가]가 [현재가]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합니다.

만약 예측불가한 상황에서 나올 수 있는 리스크에는 아래와 같이 대비할 수 있습니다.
(1) 1차 매수때에 종목에서 수익이 나오지 않으면 추가매수하지 않는다.
(2) 2차, 3차 매수를 하는 과정 중에 평균매수가가 현재가보다 높아지면 손절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손실리스크를 관리하면서 수익을 길게 끌고 갈 수 있습니다.


3. 응용 피라미딩 기법 (feat.박스권이론)


위의 기본 방법을 박스권이론과 결합하여 추가매수를 박스권에서 하는 것으로 변형할 수도 있습니다. 이 응용방법은 위에서처럼 시황을 배제한 채 추가매수를 할 때보다 안정된 박스권 가격에서 추매가 이루어짐으로써 평균매수단가를 조금 더 투자자에게 유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오늘은 틱 차트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많은 초보거래자들이 분봉이나 일봉을 단위로 거래하는데요. 자신의 매매주기에 따라 단기매매에 집중하시는 분들은 1~ 봉을, 스윙을 하시는 분들은 일봉을, 조금 더 길게 중장기로 보유하시는 분들은 일봉, 그 이상 바이앤홀딩(buy&holding) 전략을 갖고 계시는 분들은 주봉이나 월봉까지도 참조하시는걸로 알고있는데요. HTSMTS에 기능은 있으나 초보자들이 쉽게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는 것이 바로 차트입니다. 저 역시 마찬가지인데요. 모르는 부분을 이번에 알고 넘어가기 위해 이런 포스트를 준비해보았습니다.



1. 틱의 의미

1틱은 1호가를 말합니다. 호가는 최소거래단위로 주식의 가격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구체적인 가격의 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만약 1백만원으로 거래되는 A라는 주식이 1원 단위로 1,000,001원 이런 식으로 거래가 된다면, 거래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해져서 시장이 혼란스러워지겠죠? 시장의 편의성을 위해 이렇게 각 가격대별로 호가 역시 단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 종목으로 이해해보자면,


현재가 5070원대에 거래되고 있는 [현대상선]의 호가창은 10원단위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틱의 종류로 이해하는 틱 차트

2-1) 틱의 발생

틱 자체가 한 개의 호가라는 것을 이해했다면, 틱의 발생 역시 호가가 거래되는 실거래 발생에서 그래프가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정리하자면 [틱 차트는 시간의 흐름과는 관계없이 실제 거래가 발생될 때 생긴다.]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틱 차트의 종류로 조금 더 깊이 이해해볼까요?

 

2-2) 1틱과 10, 60틱으로 조금 더 이해하기

틱차트를 [1]으로 설정해놓으면, 그래프는 모든 실거래를 모두 보여줍니다. 1개 거래가 생길때마다 그 거래의 호가가 얼마였는지를 틱으로 보여주는 것이죠만약 [10]으로 설정해놓으면, 그래프는 10개의 거래를 모아서 그 안의 호가 범위를 차트에 표시합니다. [60], [120] 등도 마찬가지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겠죠?

 

3. 틱 차트 활용하기: 지지선과 저항선

실거래가를 실시간으로 조회된다는 장점 때문에 틱 차트는 초단기매매를 하는 분들이 많이 활용됩니다. 시간개념이 배제되어있기 때문에 매매자들의 실제 저항과지지 심리를 조금 더 가격과 직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요즘 물린 분들 많은 [안트로젠] 차트로 단순하게 이해해볼까요. 안트로젠의 4월24일 20틱 차트입니다.

 


 

3-1) 틱 차트로 이해하는 지지선

먼저 가운데에 있는 [형광색선은 시가]입니다. 저는 이 글(http://cluster1.cafe.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1BDOC&fldid=7Eo8&contentval=0000hzzzzzzzzzzzzzzzzzzzzzzzzz&fenc=wXr29by.HpQ0&t__nil_ucc=uptxt&nil_id=6)을 참고하여 지지선과 저항선을 이해해보았는데요. 표시되어있는 형광색선이 지지와 저항을 이해하는 기준점이 됩니다.


그 아래로 [파란색선은 지지선]이됩니다. 장초반에 2개의 저점을 이어서 표시해보았는데요, 이후 9시30분~10시 사이에 이 지지선이 깨지면서 주가가 흘러내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역시 장초반에 거래량이 집중되어있는 것이 확인되네요.

 

3-2) 틱 차트로 이해하는 저항선

마찬가지로 [빨간색선은 저항선]이 됩니다. 9시30분 이전인 장극초반에 첫번째로 형성된 고점에 이어서 다시 비슷한 가격대에 형성된 두번째 고점을 통해 저항선이 형성되었는데, 이후 주가가 이 저항선을 뚫으면 장중최고가인 122,200원을 찍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다시 이 선을 터치하지 못하면서 힘을 잃어갔네요.


 

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해드릴 투자고수는 '워렌 버핏'입니다. 한국 주식 초보들이 입문하면 많이 듣게 되는 유명 투자자 중 한명일 텐데요. 제 개인적으로는 워렌 버핏이 가지고 있는 리스크에 관한 생각을 좋아하여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기도 합니다. 2008년에는 포브스 선정 세계 부자 1위, 2010년에는 이보다 조금 낮은 3위가 되었지만 1위던 3위던 상상도 안되는 액수이니 그의 돈에 대한 이야기는 차후로 미루고 오늘은 그가 가지고 있는 투자에 대한 철학을 중점적으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버핏의 투자는 크게 3가지 컨셉으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장기투자, 복리, 리스크관리] 인데요. 3가지 모두 투자의 베이직에 촛점을 맞춘 정석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많은 후배 투자자들이 워렌 버핏을 모델로 하고, 그를 '가장 위대한 투자자'라고 부르기도 하겠죠. 각각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 시간의 힘, 장기투자

버핏은 어렸을 때부터 돈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껌 같은 것을 사다가 되팔기도 하고, 11살에 이미 주식 매매를 하기도 했었죠. 당시 그는 '시티 서비스'라는 석유 회사의 주식을 37달러에 3주 매입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40달러에 전량 매도하였는데 이후 그 주식이 200달러까지 오르는 것을 보고 장기적으로 홀딩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달았다고 합니다.


이런 그의 경험에서 '10년을 투자하지 않을 거라면 단 하루도 보유하지 말라'라는 말이 나오게 되었고, 그는 대부분의 수익을 장기 홀딩 전략에서 오는 높은 수익률로 보상받게 됩니다. 1990년대의 '웰스 파고' 케이스와 2000년대의 '비야디' 케이스를 대표적으로 이야기해볼 수 있겠네요.


1-1) 수익률 5000%, 웰스 파고

버핏은 웰스 파고 은행의 주식을 1989년부터 사들이기 시작했습니다. 고점 대비 다소 낮은 금액에 매집하기 시작한 이 주식을 버핏은 우량기업이라 판단했죠. 그러나 90년대에 들어서 부동산 대출의 폭탄돌리기의 초시계가 시작되자 은행의 자금은 빠져나가기 시작했고 많은 사람들이 웰스 파고 주식을 매도하였습니다. 이 때 버핏은 50%의 평가손실을 보았지만 굴하지 않고 계속 매집을 해나갔습니다. 그렇게 2013년까지 매집한 주식이 수는 4억6천주를 넘어섰고, 웰스 파고 주식의 평가가치와 그동안 받은 배당금을 합친 버핏의 수익률은 5천%을 웃돌았습니다.


1-2) 수익률 800%, 비야디

1995년 중국에서 처음으로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차량을 선보였던 '비야디'에 버핏은 관심을 가지게 되고, 명확한 파이오니어로써의 해자가 있다고 판단 비야디 주식을 매집하기 시작합니다. 버핏이 한창 매집을 하던 시기는 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로 전세계적인 금융위기가 닥쳤을 때였기에 그의 비야디 매수 결정에 많은 이들은 위험한 선택이라는 의견을 보이기도 하였습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버핏의 매수 이후 비야디는 몇년간 큰 폭의 적자가 계속되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핏은 매도하지 않고 기다렸습니다. 10년이 지난 작년~올해, 중국은 본격적으로 친환경 정책을 펴기 시작하고 비야디는 그 수혜주로 편입되어 정책적 혜택을 등에 업고 버핏에게 800%의 수익률을 안겨주게 됩니다.


2. 돈은 벌어서 쓰는 것이 아니라, 벌어서 더 버는 것이다. '복리의 힘'

그가 큰 돈을 벌 수 있었던 이유가 '장기투자'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좋은 종목을 보는 안목만도 물론 아니죠. 많은 사람들이 워렌 버핏의 'Buy & Hold' (사고 버틴다) 전략 때문에 그를 안전성을 추구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만 그가 자신의 수익을 다시 투자에 사용하는 레버리지를 사용한다는 점 역시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복리&레버리지 극대화로 노년으로 갈수록 더 많은 부를 축적하고 있는 버핏>


객관적으로 생각해보면 버핏이 자신이 믿고 있는 주식이 하락하고 있을 때 좋아하면서 더 매수하는 것은 개미투자자들에게 가장 조심하라고 당부하는 '물타기'행위입니다. 다만 버핏은 자신의 종목을 믿고 기다릴 수 있는 '장기투자'라는 전제조건이 있었기에 물타기 이후 더 큰 손실을 입고 빠져나오는 개미투자자들과는 달리 자신의 손익 실현 시점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었기에 큰 수익을 만들어냈다는 것만이 차이점이겠죠.


'벌고-다시 투자하고-다시 벌고' 이 과정에서 계속해서 레버리지 효과로 이자가 배수로 늘어나게 되고 그렇게 쌓인 그의 추정 복리수익률은 108만8029%에 달합니다.


3. 돈을 버는 방법: 잃지 않는다, 리스크 관리(분산투자와 헤지)

워렌 버핏은 많은 명언을 남겼지만 가장 유명한 것은 아마도 그가 말한 투자의 2개 원칙이 아닐까합니다. 그는 '투자의 1원칙은 돈을 잃지 않는 것이며, 2원칙은 절대 돈을 잃지 않는 것'이라고 할만큼 손실에 대해서 민감하게 반응하였습니다. 그런 그의 성향은 그가 분산투자와 헤지로 그의 포트폴리오를 관리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3-1) 분산투자

그는 다양한 국가의 다양한 주식 종목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기업들 중 몇몇 곳도 그의 포트폴리오에 속해있죠. 그만큼 다양하고 많은 숫자의 종목들을 매수하였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종목의 자산을 분배해놓는 분산투자는 하나의 리스크 관리 전략이 되어서 특정 종목이나 특정 국가, 시장이 다소 약세장에 들어서거나 하락장에 들어섰을 때도 그에 반하는 시장의 효과를 보는 곳에서 이 수익을 커버해줄 수 있게됩니다. 전문가들이 분산투자를 하여 자신들의 펀드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죠. 더 잘게 포트폴리오를 짤수록 결국은 ETF펀드를 매수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낫게 되어서 결국 개인 개미 투자자들이 돈을 벌 수 있는 가장 적당한 방법은 ETF라는 말이 종종 나오는 것이기도 합니다.


3-2) 헤지(Hedge)

많은 사람들이 버핏이 주식만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그는 부동산, ETF, 펀드, 채권, 파생상품 등 다양한 금융시장을 실제로 거래하고 있다고하는데요. 특히 파생상품은 주로 숏(short, 매도) 포지션을 취한다고 합니다. 버핏은 이렇게 실물주식은 롱(long,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거시경제인 파생상품은 숏 포지션을 취함으로써 결국 앞서 말했던 분산투자와 같이 하락장과 상승장 두 가지 시장상황에 모두 대비할 수 있는 리스크 관리를 하고 있는 것이죠.

※ 함께 읽으면 좋은 이전 글들

2018/04/05 - [===비고용소득 늘리기===/구글 애드센스] - 구글 애드센스로 소극적, 수동적 수입 벌기

2018/04/18 - [===비고용소득 늘리기===/구글 애드센스] - 애드센스 광고 시작하기 첫단계, 블로그 개설 (티스토리, 이글루스, 워드프레스)



핀리입니다. 소극적 수입을 늘려야한다는 이야기에서 그 수단으로 애드센스를 선택하는 과정까지 거쳤는데요. 이제는 애드센스를 통해서 실제로 소득을 만드는 것에 도전하는 포스팅으로 넘어가겠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애드센스에 가입해야겠죠? 준비물부터 체크해보시죠.


1. 애드센스 가입을 위한 준비물

애드센스 가입을 위해서는 [구글 계정, 티스토리 블로그] 이 두 가지가 필요합니다. 구글 계정은 애드센스 계정에 가입하기 위해서, 티스토리 블로그는 애드센스 가입 과정 중에 자신의 웹사이트를 입력하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2. 애드센스 가입

이제 애드센스에 가입합니다. 특별히 주의할 내용은 없습니다. 가이드 되는대로 쭉 따라가시면 됩니다. 다만 개인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하셔야합니다. 이후에 애드센스 광고 수익이 10달러를 넘어가면 해당 주소로 수익이 입금될 계좌를 입력할 권한이 주어지는 PIN번호가 우편으로 배달되기 때문입니다.


3. 티스토리 스킨에 애드센스 심사 코드 삽입하기

가입을 무사히 마쳤다면 이제 구글에서 ‘당신의 블로그를 심사’할 목적으로 부여된 코드를 구글이 심사할 수 있도록 블로그에 입력해두어야 합니다.


우선 코드를 잘 복사하시고,



[티스토리 블로그 – 관리 – 꾸미기 – 스킨편집 – html편집] 으로 들어가서 <head> 와 </head> 사이에 붙여넣기 합니다. 저장을 하는 순간부터 구글은 여러분의 블로그 정보를 크롤링하여 AI가 심사를 하게됩니다.


하지만 블로그에 아무런 내용이 없다면 심사할 수가 없겠죠? 이제부터 심사할 거리들을 많이 만들어 줄 차례입니다. 심사 승인을 목적으로하는 블로깅은 단순히 글을 많이 올리는 것과는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심사 통과를 위한 전략적인 블로깅에 대해서 글을 써보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