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가 점점 고조되고 있습니다. 종전에 대한 가능성도 시사하면서 증시 역시 이 기대감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상승효과를 누리고 있는데요. 정치와 금융계 모두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는 큰 이슈가 되었네요.


큰 이슈인 만큼 북측 통일각에서 4·27 남북정상회담을 위한 의전·경호·보도분야 2차 실무회담을 갖고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간 첫 악수부터 생방송으로 전 세계에 알리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는 이번 정상회담이 공동경비구역(JSA) 내 남측 지역인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열린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사실상 김정은 위원장이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오는 순간부터 전파를 타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처: 동아일보)


특히 강원도는 남북을 잇는 동해북부선을 시작으로 도로·항공·해운 등 남과 북을 잇는 땅길·하늘길·바닷길 개척에 나서, 정부에 동해북부를 연결하는 SOC건건설을 위한 자금을 신청한다고 합니다. (출처: 강원도민일보) 관련된 기업들은 어떤 곳들이 있을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도화엔지니어링

- 1957년 설립된 도화종합설계사무소를 모태로 1962년 도화종합기술공사로 설립되어 2011년 도화엔지니어링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 상하수도, 수자원개발, 도시계획, 조경, 도로교통, 교량, 터널, 항만, 철도, 환경 등 엔지니어링 전 분야 업무를 수행하는 종합 엔지니어링 컨설팅 회사이며 플랜트 사업과 EPC 사업 등도 영위하고 있다.

- 개발도상국의 인프라 투자 확대에 힘입어 해외시장의 잠재성이 높으며 동사는 국내뿐 아니라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필리핀, 네팔 등 국내외의 기술용역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다.

- 부문별로 2개의 연구실을 두고 있음. 최근 연구 개발 실적으로는 노후도로 표면 보수 사업화 등이 있다.

- 매출구성은 설계 82.08%, 감리 14.97%, 공사 2.79%, 전력판매 0.16% 등으로 구성된다.


2. 에코마이스터

- 1982년 8월 설립된 동사는 금속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래그를 재활용하는 환경사업과 철도차량 유지 보수하는 철도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환경사업의 장비부문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한 친환경 슬래그 처리 특허기술인 SAT를 적용한 슬래그 처리설비(SAP)를 제작 및 설치, 운영하여 사업장폐기물 배출자인 금속제조사의 슬래그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 슬래그 처리설비(SAP)를 통해 생산된 PS Ball(슬래그 가공제품)을 폐기물인 아닌 유가물로 제조하여 산업 소재로 판매하고 있다.

- 철도차량 차륜 검사 및 가공을 위한 철도차량 차륜가공기계와 철도차량 계측 및 검수 장비를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 유일의 철도차량 차륜가공기계 메이커로서 공작기계 중 고유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CNC 전삭기 등 50.83%, 슬래그처리비 23.24%, PS Ball 16.17%, 환경기타 8.70%, 철도기타 0.98%, SAP 0.08% 으로 구분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문재인 케어'를 두고 정부와 의사협회의 언쟁이 뜨겁습니다. 문재인 케어란 문재인 대통령이 보건 관련 주요정책으로 내세우고 있는 것으로 자기공명영상촬영(MRI·엠아르아이), 로봇수술, 2인실 등 그동안 환자가 100% 부담해야 했던 3800여개의 비급여 진료항목들이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보험 적용돼 환자 부담을 크게 줄이는 것이 목표인 정책입니다. 이를 위해 2022년까지 31조원 투입해 건강보험 혜택 강화하고, 고가의 검사, 수술, 약에 환자 부담 100%에서 예비 급여에 포함시켜 30~90%로 낮추기로 하였으며, 현재 건강보험 보장성 63%에서 70%로 높이는 것이 최종 목표입니다. (출처: 한겨레) 오늘은 이와 관련된 의료 기업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오스템임플란트

- 1997년 1월에 설립되어 치과용임플란트 및 치과용소프트웨어에 대해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동사를 제외하고 26개의 해외법인과 9개의 국내법인 계열회사를 가지고 있다.

- 치과용 임플란트사업과 치과용 소프트웨어사업을 병행하는 유일한 기업이며 해외 유수 기업과의 판매 계약을 바탕으로 한 치과기자재 수입판매와 반제품 및 원재료 수출, 용역 매출 사업도 영위 중이다.

- ISO9001인증과 CE마크 획득을 시작으로 많은 나라에서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12년에는 TSⅢ CA제품을 출시하여 안전성과 품질을 세계적으로 인정 받고 22개 해외법인 및 해외 딜러 등을 통해 전세계에 공급중이다.

- 2017년도 고객인 치과의사와 최종 소비자인 일반인을 대상으로 브랜드 차별화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전개하고 거래처와의 밀착영업을 심층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AIC교육을 꾸준히 진행해오고 있다.

- 매출구성은 치과용임플란트 78.64%, 치과용기자재 17.69%, 교육, A/S 2.15%, IT 소프트웨어 1.28%, 서적 등 0.24% 등으로 구성된다.




2. 메디프론

- 동사는 1997년 03월 18일에 설립되었으며 컨텐츠 제공 서비스 사업, 유통사업부문의 IT사업부문, 신약사업부문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컨텐츠 서비스 및 모니터, 공유기, 마우스 등을 판매하고 비마약성 강력진통제, 치매치료제, 치매진단키트 등을 개발 판매하고 있다.

- 뇌 신경세포를 죽이는 독소의 형성을 차단하는 기전의 효과적인 치매 치료제 후보물질을 확보하였으며 대웅제약과 공동으로 2011년 식약청으로부터 국내 임상 1상 시험허가를 득하였다.

- 기존에 바닐로이드 수용체로 알려져 있는 TRPV1 수용체의 길항작용을 이용하여 통증을 억제하는 약물을 독일 그루넨탈 제약과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여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모니터/마우스 외 93.88%, 컨텐츠제공 5.87%, 비마약성 강력 진통제 외 0.25% 등으로 구성된다.


3. 씨트리

- 동사는 1998년 4월 설립되었으며 주요 목적사업은 완제의약품과 원료의약품의 개발 및 제조이다.

- 펩타이드 의약품인 씨트렐린 구강붕해정은 국내에서 동사가 유일하게 원료의약품과 완제의약품의 생산기술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

- 주요 제품은 의사의 처방에 의한 전문의약품인 ETC에 속하는 `씨트리시메티딘정`, `로자틴정`, `라베피아정` 등과 약국에서 판매되는 일반의약품인 OTC에 속하는 `지노베타딘질좌제`, `씨트리피록시캄겔` 등으로 구성된다.

- 한달지속형 항암제 주사제, 1주형 펩타이드 주사제, Spongy-like porous PLGA microspher 등의 연구개발이 진행중이다.

- 매출구성은 ETC 42.65%, OTC수탁 20.53%, OTC 16.03%, ETC수탁 14.29%, 상품매출액 4.9%, 기술용역료수입 0.81%, 기타제품 0.78%, 기타매출액 0.02% 등으로 구성된다.




4. 명문제약

- 1983년 설립되어 2008년 한국거래소에 상장하였으며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 목적사업으로 하고 있다.

- 주요제품으로 골관절염치료제(명문아트로다캅셀), 소염진통제(디크놀주사), 소화기용제(씨앤유캡슐)등이 있으며 가장 인지도가 높은 제품으로 멀미약인 키미테가 있다.

- 신규사업으로 고지혈증 치료 복합제인 로젯정, 마약성 진통제인 도미덴주, 항암제(위암/두경부암/췌장암) 3제 복합제인 테고캡슐을 발매할 예정이다.

- 동사는 14억원 가량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하였으며 보유하고 있는 7개의 특허권 중 2-(2-프탈이미도에톡시)아세트산의 제조방법을 최근 취득하였다.

- 매출구성은 의약품 95.16%, 서비스부문 4.84% 등으로 구성된다.


5. 유유제약

- 동사는 1941년 2월 28일 유한무역주식회사로 설립되어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하고 있는 전문의약품 주력 회사이다.

- 신약/개량신약/제네릭 의약품을 국내 병, 의원에 공급하며, GMP생산시설을 확보함으로써 국내 유수의 제약기업에 제품을 납품하는 수탁 사업과 동남아시아 등에 완제 전문 의약품을 수출하고 있다.

- 주력제품으로는 타나민(뇌, 말초순환장애), 유유크리드(혈전, 색전), 맥스마빌(골다공증), 유판씨 등이 있다.

- 기술혁신과 제품개발, 선진제약업체와의 기술제휴, KGMP, KGSP제도, 의약분업제도, 실거래가 상한제, 약가 관리 등과 같은 정책상의 변화에 영업실적이 크게 영향을 받는 구조이다.

- 매출구성은 의약품 86.5%, 건강기능식품 13.61%, 내부거래제거 -0.12%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이 발표됐습니다. 대선 공약에 따라 지난해 12월 68곳을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지역으로 선정했으며, 재원 마련 방법을 포함한 유형별 시행 계획을 이번에 내놓은 것인데요. 국토교통부는 올해 안에 도시재생법 등 관련 법제를 정비할 예정입니다.


도시재생사업은 도시로 인구가 집중되며 나타나는 난개발과 도시 외곽으로 주거지가 확대되며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에 대한 일련의 대응 방안을 말합니다. 익숙하게 아는 재개발, 재건축 사업도 이 범주로 볼 수 있죠. 이번에 발표된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은 기존 철거 위주의 도시 정비 방식에서 탈피해 보전, 개량 방식으로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도시 환경을 더욱 다양화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출처: 부산일보 칼럼)


본격적으로 도시재생사업이 시작되면서 함께 도움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관련 기업들을 정리해보려합니다.




1. 정산애강

- 1990년 1월 설립된 동사는 PB배관재의 급수급탕 및 난방 배관재와 CPVC의 소방배관재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

- 동사는 건설환경사업부문만을 영위 동사의 제품군으로는 C-PVC, PB파이프, PB연결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 C-PVC 배관제는 EU지역 및 북미지역에서 소방자재로 사용되어 온 자재로 제품의 안정성이 확보된 제품으로 대체재인 금속관 용접 시 발생하는 연기의 발암물질로부터 자유로운 친환경적인 제품이다.

- 주요 목표시장은 APT와 주택의 설비공사 자재시장(음용수관/난방/CPVC소방배관)이며 APT는 본사에서 직접 건설사를 대상으로, 주택시장은 전국 대리점 및 특약점들이 소형 건설업자를 대상으로 영업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C-PVC 외 43.96%, 파이프군 27.7%, 상품매출 18.48%, 연결구군 9.86% 등으로 구성된다.




2. 자연과환경

- 1999년 설립되었으며 지배회사인 동사는 환경생태복원사업, 조경사업, 환경플랜트사업, 기타 건축공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종속회사는 조림사업, 조경 자재 생산 및 수출업, 토양오염정화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 자회사인 N.E.P(필리핀 소재)에서 직접 생산한 토양개량재, 코코넛블록(CDB) 등 기존 제품보다 품질이 뛰어나고 차별화된 자재의 품질로 조경원예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 조경/원예 부문의 주요 매출처는 국가기관인 국토관리청, 서울시청 등 공공기관이며 국가의 정책적인 방향에 영향을 받아 경기변동에 비탄력적이며, 안정적인 매출과 수익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 동사의 지오그린 다공성 식생블록은 자동화공장 대량생산 체계를 확립하여 기존의 콘크리트 제품에 비하여 가격우위의 제품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매출구성은 녹화공사, 수질정화 외 73.21%, 호안블록 및 투수블록 등 19.82%, 토양오염복원 4.39%, 조경원예 종자 및 자재 2.59% 등으로 구성된다.


3. 동화기업

- 동사는 1948년에 설립되었으며, 2013년 10월 1일을 기일로 인적 분할의 방법으로 목재사업과 자동차사업 부문으로 구조 개편을 실시했다.

- MDF산업은 국내 MDF 6개사의 메이커들이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전형적인 장치산업으로서 초기 설비투자비용이 높고, 설비투자기간이 길어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에 속한다.

- 동사는 국내 강화마루 시장점유율 40%를 상회하는 국내 업계 1위의 기업이며 파티클보드 또한 30%를 상회하는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 VRG Dongwha MDF(베트남법인)에서는 MDF생산라인 증설, 2017년 5월부터 상업생산 예정이며 이에따라 VRG Dongwha MDF의 생산 Capa는 약 60% 증가 될 예정이다.

- 매출구성은 소재사업 79.6%, 하우징사업 15.96%, 미디어사업 9.92%, 연결조정 -5.48% 등으로 구성된다.




4. 진흥기업

- 1959년 설립되어 1977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건설회사로 토목, 건축, 플랜트의 3개 분야에 진출하고 있다.

- 공공부문의 발주는 도로, 항만, 철도 등의 정부 발주 위주의 SOC투자시설과 대규모 장치산업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최근에는 정부 단독 발주 위주의 형태가 아닌 민자법인 설립을 통한 SOC사업, 턴키, BTL등이 활성화되어 있다.

- 2016년 시공능력평가액 5,636억으로 도급순위 53위를 기록했다.

- 공공 공사 발주물량 정체 및 수익성 악화로 선택과 집중을 통하여 수익성 있는 공사 수주에 전력 효성그룹의 일원으로써 그룹사 글로벌 네트워크 활용을 통한 그룹 시너지 창출 방안 모색중에 있다.

- 매출구성은 민간건축 67.74%, 관급토목 17.32%, 관급건축 14.94% 등으로 구성된다.


5. 일신석재

- 동사는 1971년 2월 26일 설립되어 건축석재 가공 및 판매, 석산개발 및 채석, 석공사, 건축석 수출입, 석재공예품 판매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석재산업은 원석을 채취하는 채석업과 그 원석을 건축용, 공예품 및 일상 생활용품 등 기타용도에 맞게 제품으로 만드는 석재가공업, 가공된 석재를 판매하는 석재판매업 등으로 구분된다.

- 건축시장의 마감재료 고급화 및 천연 재료의 선호 경향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기에 있다.

- 화강석 최대 생산단지인 경기도 포천에 연간생산량 약 2,000,000才 규모의 석산을 보유하고 있어 관급 공사 등 대형공사에 자재를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 매출구성은 석재제조 및 유통 64.58%, 석공사업 33.63%, 임대매출 1.79%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어제(2018년 4월 10일) PD수첩을 보셨나요? '남북정상회담 특집, "한반도, 대전환의 순간" 이라는 제목으로 보도된 이번 회차에서는 이명박~박근혜 정부시절 북한쇠퇴론에 근거한 대북단절정책이 실제 북한의 성향과 경제성장, 그리고 우리나라를 향해서 취하려하는 포지션과는 거리가 먼 일방적인 다소 똑똑한 외교가 아닌(?) 입장이었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평창올림픽을 통해 실제 북한이 취하고자 하는 스탠스가 명확해졌고, 최고통치자인 김정은이 나아가려하는 방향이 '경제성장'이라는 것이 분명해짐으로써 더이상 독재를 위한 독재가 아닌 성장을 위한 독재를 하려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증거로 북한이 우리나라와 미국에 취하고 있는 입장과 가장 특징적인 합의조건인 '비핵화'에 대한 결심을 보여줬다는 것이 있겠는데요.



위와 같은 상황에서 현정부와 대조되는 이명박~박근혜 정부, 특히 박근혜 정부의 개성공단 폐쇄라는 특단의 조치가 더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폐쇄 당시 통일부에서는 '개성공단 북측 노동자들의 임금이, 핵개발을 위한 자금으로 유입된다'라는 것을 이유로 너무나 스피드하게 개성공단 폐쇄를 결정하였는데요. 당시 개성공단에 입주하여 매년 20~50%씩 성장을 하던 기업들은 이로 인해 많은 재고를 떠안으며 어려움에 처하기도 했습니다.


남북 관계가 개선되려는 조짐이 슬며시 올라오는 것 같기도 한데, 아마 첫 정책적 모멘트는 개성공단 재개가 아닐까 싶기도하네요. 오늘은 이와 관련하여서 개성공단과 관련된 기업들을 살펴보려 합니다.




1. 신원

- 동사는 섬유제품 제조 및 섬유의류 판매, 수출입업 등의 사업을 영위한다.

- 바이어로부터 니트, 스웨터, 핸드백 제품에 대한 오더를 수주 받아 과테말라 등 7개 계열사에 생산, 수출하고 있는 수출 부문과 BESTI BELLI 등 8개의 자체브랜드 사업을 전개하는 패션부문으로 구분한다.

- 동사는 중국에 동관지사를 설립하여 현지화 전략을 통한 신규 바이어 확보 및 양질의 오더 수주에 노력하고 있으며 이태리 명품 브리오니와 프리미엄 데님 씨위를 독점 전개하여 명품사업에 안착했다.

- 2016년 04월 14일 중국 진잉국제무역유한공사와 총투자액 USD 10,000,000 규모의 홍콩합작법인을 설립하는 합자계약을 체결했다.

- 매출구성은 수출부문 58.45%, 패션부문 41.55% 등으로 구성된다.


2. 좋은사람들

- 동사는 메리야스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3년 5월 1일에 설립되어 연결대상 종속회사를 3개 보유하고 있다.

- 트렌드와 타깃에 따라 보디가드, 섹시쿠키, 예스, 돈앤돈스, 제임스딘, 리바이스 등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으며, 2012년도에 런칭한 SPA브랜드 퍼스트올로(1st OLOR)는 현재 활발한 매장전개를 진행하고 있다.

- 급변하는 유통환경과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반영하여 백화점 내 새로운 콘셉트의 편집숍 M2S를 전개하는 등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며 트렌드를 주도해 나가고 있다.

- 국내 내의시장은 동사를 비롯하여 신영와코루, 남영비비안, BYC, 쌍방울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상위 5개사의 매출 규모가 서로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 매출구성은 내의류 100% 이다.




3. 재영솔루텍

- 동사는 금형기술을 기반으로 한 핸드폰 부품, 폰 카메라용 렌즈 등의 나노광학부품, 반도체 검사용 IC 소켓 부품 및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제조 및 판매를 주된 사업목적으로 하는 종합엔지니어링 회사이다.

- 플라스틱 사출금형의 자동차 바디, 도어와 가전제품, 컴퓨터, 통신기기 등의 본체와 부품의 제조를 하고 있으며, 다른 금형에 비해 안정적인 수요기반을 가지고 있다.

- 동사의 보유기술은 고광택 금형기술, 직가공미세홀, STACK MOLD, E-MOLD, 2색 사출(2K mold) 등의 신기술이며, 독자적 금형 생산 통합 시스템도 개발하고 있다.

- CCTV, 자동차용 렌즈의 개발 및 양산을 하고 있으며, 액추에이터와 렌즈의 인프라를 모두 갖추고 CCTV, 차량용 카메라 등 다른 사업 영역으로의 확장도 추진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나노광학 50.71%, 금형 24.92%, 부품 18.97%, 기타 5.39% 등으로 구성된다.


4. 에머슨퍼시픽

- 동사는 1987년 1월 16일에 피혁 및 관련제품의 제조,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고 2004년 1월 29일 최대주주가 변경된 후 사업목적과 업종이 골프장 레저사업으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 레저시설 개발 및 건설, 운영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2개의 종합 골프 리조트와 3개의 회원제 골프장 및 최고급 리조트인 아난티 펜트하우스 서울, 해운대로 구성되어 있는 레저 전문그룹이다.

- 오랜 기간 그룹 내 축적해온 경험 및 전문성을 바탕으로 레저시설의 개발 및 건설, 운영, 분양 등 관련 전 부문을 직접 모두 수행 가능한 전문성 및 경쟁우위 요소를 갖추고 있다.

- 종속회사인 에머슨부산(주)는 부산시 동부관광단지 내 랜드마크 호텔 개발을 위해 2014년 1월 사업계획 승인을 완료하였으며, 현재 호텔 및 리조트를 운영 중이다.

- 매출구성은 분양 74.27%, 리조트 운영 25.56%, 기타 0.17% 등으로 구성된다.




5. 인디에프

- 동사는 의류의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주사업으로 영위한다.

- 주요 상표 여성복으로는 조이너스, 꼼빠니아, 예츠, 예스비, 신사복으로는 트루젠, S+, 트루젠, 캐주얼 브랜드인 TATE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 원단의 원,부재료는 중국 등 해외조달을 확대하고 있으며 특수소재는 일본, 유럽 등 선진국에서 생산은 국내외 외주가공업체와 개성공장에 외주하청 방식으로 생산 중이다.

- 동사는 비효율 매장 교체를 통한 수익성 개선효과 기대 및 직영 팩토리아울렛 운영 등 판매유통채널을 다양화하고 거래처 다변화를 통한 원가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 시키고 있으며 오랜 브랜드 인지도로 고객의 충성도가 높다.

- 매출구성은 조이너스 27.56%, 테이트 22.66%, 꼼빠니아 19.49%, 트루젠 18.89%, 바인드 8.57%, 기타 2.83%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지난 3월 말, 문재인 대통령은 베트남에 방문하였습니다. 문 대통령은 쩐 다이 꽝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을 비롯해 베트남 정부 주요 지도자들과 만났습니다. 한국과 베트남은 지난 1992년 수교 이후 교역 규모가 계속 증가해 지난해 639억 달러를 기록했는데요. 한국 정부는 이번 방문을 계기로 베트남이 한국의 4대 교역국, 한국은 베트남의 2대 교역국으로 성장하고 2020년까지 교역 규모를 1천억 달러로 끌어 올릴 계획입니다. (출처: VOAkorea) 큰 도약을 하고 있는 동남아시장의 주역 베트남. 이번 포스팅에서는 베트남과의 무역 교류가 활발해질수록 이득을 얻는 기업들을 정리해보려합니다.



1. 루멘스

- 동사는 1996년 6월 17일 설립되어 LED소자를 비롯하여 LED소자를 이용한 일반조명군, 모듈제품군 등의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생산판매. 2006년 8월 8일 코스닥시장 상장했다.

- 지배회사인 루멘스와 종속회사인 곤산류명광전유한공사 등이 영위하는 LED개발, 제조사업 및 Topaz LGP s.r.o.가 영위하는 도광판 등 개발 및 생산 사업부문이 있다.

- Strategies Unlimited 에 따르면 LED시장은 연간 30%씩 성장하며 LED 시장은 조명용 LED 시장의 개화와 함께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하고 있다.

- micro LED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제품대비 고해상도, 고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한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 헤드업디스플레이(HUD), 피코프로젝트 등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LED 모듈 외 제품 85.42%, LGP사업부 10.84%, LED 상품 3.09%, LED 기타 0.65% 등으로 구성된다.


2. 흥아해운

- 1961년 12월 8일 설립된 해운업체로 아시아 지역 내에서의 컨테이너 화물 및 액체석유화학제품의 해상운송을 주업으로 하고 있으며, 그 외 컨테이너야드 임대, 부동산 임대업을 영위하고 있다.

- 수익을 창출하는 용역의 성격에 따라 컨테이너 & 탱커의 해운업부문과 CY 및 부동산 임대관련분과 해운대리 및 선박관리부분에 대한 사업부문인 기타부문으로 구성된다.

- 글로벌 대형선사들간 치킨게임의 심화로 시장상황이 악화되었으며, 동사의 영업무대인 아시아에서도 역내 무역의 침체와 선사들의 무분별한 서비스 확장 등으로 운임이 급락하는 상황이 전개되었다.

- 최근 해운업은 선대 대형화와 북미, 구주, 동남아, 일본 등 전략적인 제휴로 인한 경쟁심화로 수급 불균형을 이루고 있음. 또한 미국 무역안전조치에 대해 국내 관세청의 AEO가이드라인 충족 기업에 AEO인증 부여 중이다.

- 매출구성은 해운업 93.06%, 기타 6.94% 등으로 구성된다.




3. 국보디자인

- 1983년 설립되어 2002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으며 인테리어디자인 기획, 설계, 시공감리를 주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이다.

- 리모델링공사 및 해외사업개발과 크루즈인테리어에 주력하고 있으며, 현재 베트남, 두바이, 몽골에서 공사를 수주하여 진행 중에 있다.

- 다년간 쌓아 온 노하우와 경험을 바탕으로 무차입경영과 32년 연속 이익을 실현하였으며 최근까지 도급순위 1위를 유지하고 있다.

- 인테리어디자인 산업은 국민소득의 증대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도 높아져 있는 상황이며, 그 범위도 단순한 주거 인테리어에서 사무환경 개선, 환경디자인, 공간 컨설팅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국내도급공사 94.08%, 해외도급공사 5.92% 등으로 구성된다.


4. 동원시스템즈

- 동사는 1980년 설립되었으며, 각종 포장재와 알미늄을 제조, 가공 및 판매하는 동원그룹 계열사로 최대주주는 (주)동원엔터프라이즈(지분율 : 79.88%)이다.

- 포장사업부문에서는 연포장재, 알미늄박, 성형용기, 식품용·음료용CAN, E.O.E 등 대부분의 포장재를 생산하며 국내 최초로 식관용 DRD 캔을 개발하였고, E.O.E를 국내 생산하여 수입품 대체뿐 아니라 수출화하고 있다.

- 건설사업부문은 1군 건설업체로서 도로/항만/철도 등 사회간접 시설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LH공사 등으로부터 우수시공업체로 선정된 바가 있다.

- 수지사업부는 LCD보호필름 개발을 발판 삼아 접착제의 별도 도포 없이 필름의 3층 구조상 자체 점착층을 가지는 자가 점착필름을 개발하여 동사의 접착제 없는 필름 시장의 매출 확대가 전망된다.

- 매출구성은 성형/연포장/유리병 39.28%, 제관 22.18%, 공사/분양수익 18.86%, 알미늄 6.61%, 수지 5.24%, 용역/임대수익 4.09%, 인쇄 2.21%, 기타 1.53% 등으로 구성된다.




5. 대상

- 동사는 1956년 1월 31일에 조미료 및 식품첨가물 제조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식품사업과 소재사업, 해외식품 등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다.

- 국내 대표적인 종합식품 브랜드인 `청정원`을 중심으로 `순창고추장`, `햇살담은 간장` 등 전통 장류부터 `미원`, `감치미`, `맛선생` 등의 조미료류, 식초, 액젓 등의 농수산식품 등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 소재사업으로 첨단 발효기술을 바탕으로 한 핵산, 글루타민 등의 바이오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 최대의 전분당 규모를 바탕으로 제빵, 제과,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되는 전분 및 전분당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 자회사 중 대상베스트코는 외식사업에 필요한 상품과 서비스를 적시에 제공하고, 식자재의 품질/위생/가격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외식사업의 성공을 위한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식자재유통전문기업이다.

- 매출구성은 식품 76.43%, 소재 23.57%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