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젯밤 JTBC 뉴스룸 방영 이후 연일 온오프라인이 안희정 지사 관련 이야기로 뒤숭숭합니다. 현정무비서이자 전수행비서인 직원을 성폭행했기 때문인데요. 피해 당사자이자 고발자인 직원은 방송에서 자신의 안위를 매우 우려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만 안희정 지사는 오늘 새벽 모든 것을 인정하고 일체의 정치활동을 중단할 것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공지하였습니다. 한때 대선후보였던 만큼 그 충격도 큽니다. 대선 주자들에게는 항상 그들만의 테마주가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화제가 된 안희정 전 충남지사와 관련된 테마주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백금 T&A

- 핵심이슈: 당사 부회장인 임학규와 안희정은 고려대학교 동문이다.

- 동사는 Radar Detector, 무전기, 블랙박스, RDVR콤보 등 4가지 제품군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한다.

- 레이더 디렉터는 미국의 Cobra 등 제1의 유통업체를 확보, 전체 수요를 삼분하는 미국 시장에서 동사 공급 제품이 6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급자 측면에서는 동사가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 무전기는 전세계 50%의 시장 점유율을 자랑하는 Motorola 무전기의 총 4개 제품군 중에서 2개 제품군을 공급하고 있다.

- Outdoor라는 새로운 제품군을 개발 및 판매 중. 해당 제품은 다양한 야외 레저활동에 도움을 주는 단말기 제품으로, GPS 위치 기반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Application을 담아 레저활동에 도움을 주는 기기이다.

- 매출구성은 레이더디텍터 33.88%, 블랙박스/RDVR콤보 33.67%, 무전기 30.31%, 용역 1.77%, 기타 0.36% 등으로 구성된다.


2. SG충방

- 핵심이슈: 당사의 이의범 회장과 안희정은 같은 386 운동권 출신이다.

- 동사는 1954년 12월 22일에 설립되었으며, 자동차사업(Seat Trim Cover)과 방적사업 및 부동산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자동차사업부문은 자동차시트커버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고, 방적사업부문은 면ㆍ혼방사 등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부동산사업부문은 분양 및 임대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동남아국가 및 중국 등의 저가전략으로 국내 및 수출시장을 위협하고 있어 신제품 개발이나 특수사 생산기술 특화를 통한 제품 차별화를 통해 경쟁우위 확보 필요하다.

- 방적사업부문의 직수출은 생산지→해외소비자 방식이며, 내수 수출은 생산지→국내상사방식으로 판매, 내수는 생산지→주문생산지→소비자→시장판매→소비자 방식의 패턴으로 이뤄진다.

- 매출구성은 자동차사업 49.15%, 방적사업 37.92%, 부동산사업 12.92% 등으로 구성된다.


3. 청보산업

- 핵심이슈: 창업주와 안희정이 같은 순흥 안씨 가문의 동일 항렬이라는 설이 있다.

- 동사는 자동차 부품 및 주물제조업 등을 목적으로 1978년 12월 29일에 설립되었음

- 자동차 엔진 부품 및 미션 부품을 제조하여 완성차 회사에 납품하는 부품 및 소재 전문 기업으로 현대기아, 벤츠, 보그워너, GM대우, 두산인프라코어, 미쓰비시 푸조 등 안정적인 거래처를 확보하고 있다.

- 동사 생산품목의 대부분은 선진국으로부터의 수입 부품을 독자기술로 국산화한 제품으로 국내 독자 생산품(점유율 100%)이므로 타사에서는 기술적 접근이 어렵다.

- 다임러 벤츠 미국, 독일(HDEP 베어링 저널 공급), GM 브라질(Engage Piece MT5&MT6 공급계약), 델파이 파워트레인(Rocker Arm 공급) 등과 신규사업을 진행 중이다.

- 매출구성은 자동차부품 99.91%, 임대 0.09% 등으로 구성


4. 금양

- 핵심이슈: 류광지 대표와 안희정이 같은 고려대학교 동문이다.

- 동사는 1955년 11월 17일 금북화학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발포제 및 발포제유관제품 등을 생산, 판매하고 있음

- 국내발포제시장은 신발산업의 퇴조와 더불어 일부 생산기업의 해외이전 등으로 인해 국내수요는 포화상태에 이른 것으로 판단되며 해외발포제 시장은 경기침체에 따라 수요가 다소 감소했다.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일부 제품의 외주 임가공 생산을 확대하고 중국현지공장을 통해 안정적인 원재료 공급과 함께 상대적으로 가격경쟁력이 높은 중국현지공장의 생산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 2016년 7월부터 자동차 내장재 및 고급 신발용 발포제 개발에 역점을 두고 기술개발 진행 중이다.

- 매출구성은 제품 발포제 63.05%, 상품기타 28.25%, 제품기타 8.7%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지난 고령화 관련 주식에 이어지는 이슈입니다. 저출산에 관련된 이야기인데요. 1960년대 초반까지 대한민국(남한)의 여성 1인당 합계출산율은 6.1명이었다. 5·16 군사 정변 이후 박정희에 의해 1960년대 초반부터 지속적인 가족계획이 실시되면서 1970년대 초반부터 가족계획을 매우 강화시켜서 1984년에는 2명 미만인 1.74명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이후 1996년 8월 김영삼 정부가 출산정책을 산아제한정책에서 산아자율정책으로 전환했으나 출산율은 빠른 속도로 엄청나게 하락하였습니다.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에 따른 여파로 출산율은 계속 떨어졌습니다. 2001년에는 1.30명의 초저출산사회로 접어들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산아자율정책에서 더욱 앞서나가 출산장려정책을 펴기 시작했지만 2005년에는 역대 최저치인 1.08명으로 떨어졌고 이후 황금돼지해 홍보 등 정부의 많은 노력에 힘입어 2007년 1.26명으로 급증했지만 곧 경제 위기 등으로 인해 2009년 1.15명으로 감소했습니다. 2010년부터는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2년 1.3명으로 초저출산 국가에서 탈출하려는 기미를 보였으나 그 후 이어진 불경기 등의 여파로 출산율은 감소하여 2013년 1.18명, 2014년 1.21명에 이르렀습니다. (출처: 위키백과)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회적 환경과 더불어 높아지는 첫출산연령으로 인한 불임문제를 다루는 기업까지 확장해서 알아보려합니다.


1. 랩지노믹스

- 2002년 설립되어 2014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체외진단서비스 및 체외진단제품의 개발 및 공급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이다.

- 기보유하고 있는 높은 수준의 유전자 분석기술을 바탕으로 DNA칩, 바이오센서, POCT, 진단 kit 등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는데 기업의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 국내 최초로 개발한 20여 종의 첨단 분자 진단검사 외에도 암, 유전질환 등 여러 분야에 이르는 진단검사법을 개발하고 있으며 검사에 소요되는 각종 키트를 자체 제조하여 가격경쟁력도 갖추고 있다.

- 삼성서울병원과 제휴하여 국내 최초로 셋업한 열성유전질환 5종 검사는 5가지 호발 열성 유전질환의 스크리닝검사를 MALDI-TOF MS 및 Real time PCR 기술을 이용하여 산전, 산후 검사로 제공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일반진단 검체분석 등 용역 48.3%, 분자진단검사서비스 42.62%, 유전자분석 9.02%, 건강기능식품외 0.06% 등으로 구성된다.


2. 캔서롭

- 엠지메드에서 2017년 상호 변경했다.

- 2001년 6월 설립된 동사는 목적사업으로 진단시약 개발 및 판매, 유전자검사 기술개발 및 서비스 제공, 유전자를 이용한 질병진단 사업 등을 영위하며 2015년 11월 코넥스시장에서 코스닥시장으로 이전 상장하였다.

- 동사의 주요 사업부문은 분자진단사업과 바이오시약사업이 있으며 동사는 국내 최대의 산부인과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어, 영업망을 바탕으로 DNA chip 제품뿐만 아니라 감염성 PCR 제품판매에도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 국내의 태아, 신생아, 체외수정 진단시장 중에서 신생아, 체외수정 부문은 동사가 국내 최초로 개척한 신규시장이며 전체 신생아를 대상으로 많은 진환을 검사할 수 있도록 동사가 출시한 DNA chip을 이용하고 있다.

- 시험관 아기 시술 시에 건강한 수정란을 고를 수 있도록 동사는 자체 개발한 BAC DNA chip 기술을 이용하여 수정란 분석제품 P DNA chip을 개발하였으며 국내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하였다.

- 매출구성은 DNA Chip 진단 77.53%, 바이오시약 10.13%, 상품 6.39%, PCR 진단 Kit 5.83%, 연구용역 0.11%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겨울 한파가 한창일 때는 보일러 관련 기업들의 성수기입니다. 이제 곧 봄이 오면 꽃샘추위로 마지막 추위가 가시고 다음 성수기를 기다려야하겠지만, 그 과정중에 생산제조는 쭉 이뤄지겠지요. 보일러완제품 뿐 아니라 부품을 납품하는 기업들도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보일러 관련 주식들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1. 경동나비엔

- 1973년에 설립되어 1993년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으며 가스보일러, 기름보일러 및 가스온수기 등 국내외 제품 제조 및 판매를 담당하고 있다.

- 에너지기기 핵심부품인 열교환기, 버너 등을 개발, 생산하고 있는 (주)경동에버런, 북미시장 판매활동을 담당하는 NAVIEN,INC., 생활환경 에너지 기기의 서비스를 담당하는 (주)경동티에스 등 7개 종속회사로 구성되어 있다.

- 신규수요보다는 교체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에너지 절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고효율 보일러 보급이 제도화되고 점차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 기존의 제품군(가스보일러, 기름보일러, 가스온수기 등)과 더불어 시스템환기, 시스템각방, 태양열시스템, 전기발전보일러(m-CHP), 온수매트 등 에너지 제품군 확대 및 판매다각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보일러 및 온수기 164.17%, 내부거래 -64.17% 등으로 구성된다.


2. 유니크

- 동사는 차량부품의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76년 4월 21일 설립되어 1993년 12월 22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다.

- 자동차부품업이 지배적 단일산업부문이며, 주요 제품으로 자동차용 시계류, 시가라이트류, 유압솔레노이드 밸브, 밸브류, 센서류, 인디케이터류 등이 있다.

- 유압솔레노이드 밸브를 92년 일본의 TOSOK 사와 기술제휴로 국산개발에 성공 및 현대기아자동차, 현대파워텍 등에 납품하고 있으며 국내시장의 약 7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 자사의 연구소에서 지속적인 제품개발로 다단변속기에 적합한 자동변속기용 솔레노이드밸브 개발에 참여함으로써 미래선도기술을 확보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유압 SOLD VALVE 47.86%, VALVE 류 12.44%, DCT SOLENOID VALVE 12.05%, 중국 청도유니크 7.41% 등으로 구성된다.


3. 대성산업

- 2010년 설립되어 석유가스 및 기계 판매, 해외자원개발을 주사업으로 영위한다.

- 기계 판매 사업 부문에서는 세계 유명메이커로부터 유공압기기, 일반산업기기의 수입 판매와 계열사 생산 제품인 유공압 밸브류 및 자체 생산품인 기어드모터를 판매하고 있다.

- 동사는 GS칼텍스 정유회사의 최대 일반 대리점으로서 수도권 및 충청지역에 주유소 20개소, 가스충전소 11개, 대구 부산 및 경북 경남 지역에 주유소 17개, 가스충전소 10개소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

- 신규영업장 개발(산업용 및 아파트 난방용 거래선 등), 시설현대화, 서비스강화를 통해 고객의 신뢰감을 정착하고 가격자유화에 따른 마진 확대, 유휴공간 활용(편의점, 세차장 등)을 통해 경쟁력 확보해 나갈 것이다.

- 매출구성은 석유가스부문 76%, 기계사업부문 11.4%, 기타 9.19%, 유통부문 1.83%, 건설부문 1.58% 등으로 구성


4. 파세코

- 1986년 설립되어 1999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연소 기기, 가전기기 제조 및 판매 기업이다.

- 석유 스토브 및 빌트인 가전기기 등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동사의 브랜드인 Kerona는 심지식 난로의 세계적 브랜드로 중국 및 일본 제품에 비해 우월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동사는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세계 유수의 가전 및 주방사와의 기술 제휴를 통한 OEM 공급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 분양가 자율화에 따른 빌트인 시장 확대에 따라 자가 Brand 영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며 영업 조직의 개편을 통해 건설사 영업의 강화 / 지역별 총판점 운영 등으로 기초적인 영업 기반을 정착했다.

- 매출구성은 기타(제품,상품) 47.84%, 석유스토브 28.85%, 가스쿡탑 17.45%, 식기세척기 2.87%, 후드 2.04%, 기타매출 0.94%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며칠 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철강에 25%의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업체들이 직격탄을 맞게 될 위기입니다. 미국이 수입 철강에 대한 관세장벽을 높인 뒤 대미 수출 비중을 줄이고 관세를 피할 방법을 찾던 철강업체들은 당분간 미국 수출을 미루는 등 보류 조치를 감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좋은 이슈는 상승을 부르지만 나쁜 이슈는 하락장을 부르겠죠. 유념해보셔야할 혹은 매수 기회로 삼으실만한 미국 철강 관세에 영향을 받는 종목들을 추려봅니다. 



1. 휴스틸

- 핵심이슈: 휴스틸의 지난해 매출액은 6905억 원으로 이중 대미 수출액은 약 3320억 원에 달한다. 미국 상무부의 권고안이 채택될 경우 대미 수출액 약 3320억 원의 40% 이상이 사라질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출처: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 동사는 강관의 제조 및 판매의 목적으로 1967년 설립되었으며, 신안그룹 내 총 22개 계열사 중 하나이다.

사업구성은 강관의 제조 및 판매를 주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배관용 강관과 토목, 건축 등의 구조물에 사용되는 구조용 강관, 유정 굴착 및 채유에 사용되는 유정용 강관 등을 생산ㆍ판매한다.

강관의 최대 수요산업은 조선 및 건설산업이며 자동차 및 기계 등 산업전반에 걸쳐 강관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강관업계는 공급과잉 상태 지속과 중저급 제품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중소업체의 난립 및 중국 등으로부터의 저가 수입재 증가로 인한 어려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동사는 저부가가치 제품보다는 유정용 강관, 고강도 후육강관 등 고부가가치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매출구성은 강관 제품 94.34%, 강관 상품 5.66% 등으로 구성


2. 세아제강

- 핵심이슈: 지난해 매출액 2조2899억 원 중 대미 수출액은 약 5700억 원 수준이다.  대미 수출이 차질을 빚을 경우 연간 5700억 원의 40~50% 이르는 매출 손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출처: 소비자가만드는뉴스)

- 동사는 강관, 판재 등의 제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60년 설립되었으며, 세아그룹 내 21개 계열사 중 하나이다.

동사는 본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본사를 거점으로 생산, 판매법인 및 투자법인 등 13개의 연결대상회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강관제조 및 판재제조 등 두 개의 사업부문을 영위한다.

강관산업은 건설, 조선, 자동차, 기계, 에너지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으며, 기존 업체들의 증설 및 중소기업들의 시장 진입으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동사는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해서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기존설비의 개선에도 투자 지속하고 있다.

매출구성은 강관 66.41%, 해외 59.98%, 판재 16.28%, 연결조정금액 -42.67%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매경, 와이즈에프엔)

작년 구글 연례 개발자 회의의 주요 화두는 인공지능(AI·Artificial Intelligence)이었습니다.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AI 기술에 집중 투자할 것을 밝혔죠. 피차이는 "이제 분명한 것은 우리가 '모바일 퍼스트'에서 'AI 퍼스트'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하면서 "현재 20억 개의 안드로이드 기기가 매달 활성화되고 있다. 사람들은 유튜브 콘텐츠를 매일 10억 시간 시청하며, 구글 지도를 통해 찾는 거리가 매일 10억㎞"라고 덧붙였습니다. "하루에도 셀 수 없을 정도로 쌓이는 데이터를 가치 있는 비즈니스 재료로 만들어주는 도구가 AI"라고 설명했습니다. 매년 55%씩 성장한다는 인공지능 시장을 누비고 있는 관련 주식들을 모아봤습니다. (출처: 조선일보)


1. 오픈베이스

- 주력 사업부문은 네트워킹 솔루션 사업, 스토리지 솔루션 사업, 서버 솔루션 사업 등이 있음, 네트워킹 솔루션은 웹스위치 솔루션, 이더넷 스위치 솔루션으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주로 검색, 유무선변환, 모바일 등 특화 솔루션을 바탕으로 하는 시스템통합(SI) 사업을 수행, 통합검색솔루션 부문에서 빅데이터용 솔루션으로 시장 공략을 예상한다.

회사의 시스템통합(SI) 사업부문의 수요자는 대부분 공공기관이며 특히 법률, 특허관련 분야의 내부자료 DB 구축 및 정보검색시스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매출구성은 컴퓨터 및 주변기기와 통신장비 판매업 85.9%, 소프트웨어개발 및 공급업 10.74%, 부동산 임대업 1.68%, 기타 1.67% 등으로 구성된다.


2. 셀바스AI

- 동사는 Data Technology를 기반으로 국내/외 인공지능 시장을 앞장서고 있음. 20여 년간 최첨단 딥러닝 기술 기반의 전문적인 연구를 통해 필기지능, 영상지능, 음성지능 등 최고의 패턴 인식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연결 종속회사인 셀바스헬스케어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단말기, 독서확대기 등을 개발하는 의료보조기기사업과 자동혈압계, 체성분분석기 등을 개발하는 헬스케어사업을 영위한다.

동사의 모든 인공지능 기술은 자체 개발한 예측 플랫폼 `Selvy Prediction`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스마트 디바이스뿐 아니라 메디컬, 헬스케어, 스마트카, 홈IoT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대한 적용중이다.

종속회사 셀바스헬스케어의 아큐닉 브랜드가 영위하는 의료진단기기 중체외진단기 시장에서 선두 업체 대비 동일한 기술 수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해 치열한 경쟁 선상에 있다.

매출구성은 기타(제품) 59.16%, 로열티 23.02%, 용역 15.9%, 기타(상품) 1.91% 등으로 구성된다.


3. 브리지텍

- 콜센터와 광대역 통합망 기반의 인터넷전화 멀티미디어 부가서비스 장비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 공급하며 보유한 제품을 구축하여 약정기간 동안 사용하게 하는 임대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업체이다.

콜센터 구축 및 유지보수 서비스, 센터 솔루션을 구축한 후 임대해주는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사업과 법인고객을 대상으로 전화통화관리 프로그램 임대사업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음성, 영상의 통화 부가서비스와 IP Phone으로 증권정보, 날씨, 교통 등 실시간 정보와 전화번호 안내서비스 등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폰에서 음성과 데이터가 동시에 이용되는 컨버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웹 솔루션을 제1금융권에 최초로 상용화했다.

매출구성은 콜센터 솔루션 73.11%, 클라우드 콜센터, 유지보수 23.91%, IP기반 유무선멀티미디어서비스 2.97% 등으로 구성된다.


4. 에이디칩스

- 동사는 반도체 설계 및 유통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6년 4월 16일에 설립되었으며, 2001년 11월 13일에 코스닥시장 상장했다.

EISC MCU Core IP 개발 사업과 ASSP 개발/판매 및 이를 이용한 보드/시스템 개발 판매, 반도체유통 사업을 영위한다.

반도체 유통사업에서는 국내 멀티미디어기기 및 통신기기 제조 업체들이 동사로부터 AKM, RICOH사 등의 칩을 공급받아 사용. 주요 고객은 유비셀, 튜너웍스코리아 등. 자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중개판매를 겸하고 있다.

SDRAM 내장 마이크로 컨트롤러, 오디오용 마이크로 컨트롤러, 멀티 프로세서 기반 MPSoC Platform, USN용 칩 및 초절전 기능, 무선랜칩, 고성능 32비트 코어를 활용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모듈을 개발했다.

매출구성은 냉동냉장사업 65.59%, SOC사업 17.44%, 반도체유통사업 16.96% 등으로 구성


5. 이스트소프트

- 동사는 1993년에 설립된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이며, PC사용자에게 혁신적 효용을 제공하는 인터넷 소프트웨어와 인터넷 게임을 제공하고 있다.

유틸리티 소프트웨어 중 알집, 알씨, 알송, 알캡쳐 등이 코리안클릭 기준 사용자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보안 소프트웨어 알약 역시 사용자 점유율 1위를 차지고 있다.

자회사 이스트게임즈에는 게임부분에는 ‘카발 온라인’, ‘카발2’로 이루어진 온라인게임이 있으며, 2015년부터 신규 모바일 게임 고양이 다방을 서비스 중이다.

2017년 1월 보안사업부분이 자회사 `이스트시큐리티`로 분할되면서 기존에 서비스하고 있던 `알약`으로 대표되는 보안 소프트웨어 부분은 분사된 자회사 `이스트시큐리티`에서 서비스를 하고 있다.

매출구성은 알툴즈패키지 58.58%, 제휴서비스 및 광고 39.08%, 위탁개발서비스 2.34% 등으로 구성


(출처: 와이즈에프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