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4년 핀란드에 위치한 노키아 네트웍스에 방문해 인터뷰했던 연구 기술팀 '라우리 옥사넨(Lauri Omksanen)'은 "우리는 아직 5G가 무엇인지, 어떤 기술인지, 어떻게 사람들의 생활을 바꿔 놓을지 모른다. 지금은 그저 예측하는 단계일 뿐이다. 5G는 지금의 LTE 즉, 4G 이동통신과 성격이 다를 것이다. 4G는 사람을 위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기술이었다. 하지만, 5G는 사람 이외에 주변의 물건, 자동차 등 사물을 대상으로 하는, M2M 기술이 될 것이다"라며, "2020년에 이르면, 전세계 50억 명 이상이 통신(네트워크)에 연결할 것이다. 그리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는 500억 개 이상일 것으로 예상된다. 5G는, 우리 주변의 모든 사물을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여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출처: 아이티동아)


결국 4G와 5G의 핵심 차이점은 인터넷의 속도라기보다는 연결성일 것 입니다. 내가 세상과 연결되느냐(4G), 세상과 세상이 연결되느냐(5G)라고 표현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오늘은 이런 5G와 관련된 기업들이 어느 곳이 있는 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텔코웨어

- 동사는 정보통신 소프트웨어 개발 및 장비, 기기의 유지보수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크게 음성핵심망 솔루션, 무선데이터 솔루션, 요소기술, 3가지 사업 영위한다.

- 음성 핵심망 솔루션은 일반적으로 국제 규격에 따라 제작되며, 이동통신 사업자의 각각 서비스 환경에 따라 기술적으로 커스터마이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 동사는 설립 초기부터 무선데이터솔루션 시장의 확대를 예상하고 관련 기술개발에 주력하였고 SIP기반의 무선 IM(Instant Messenger) 인프라 솔루션 등을 SK텔레콤(주)에 공급하고 있다.

- 동사와 같이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이 있는 핵심망 전문 기업의 경우에도 국내외 대형 업체와의 제휴 등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서 해외 공급 확대를 위해 경쟁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무선데이터 59.22%, 음성핵심망 39.89%, 기타(요소기술, 임대료 등) 0.88% 등으로 구성된다.


2. 이루온

- 동사는 이동통신 솔루션 및 부가서비스 전문기업으로 1998년 창업된 이래 통신산업에서 핵심 솔루션 및 관련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 주요 사업분야는 유무선 통신솔루션 사업, 유무선 통신서비스 사업, 해외사업 등으로 나누어진다.

- 특히 모바일 컨버전스의 대표적인 서비스로 평가 받는 모바일 무선인터넷의 필수 장비인 PDSN, PDG, ISG를 비롯, 관련 주요 시스템을 공급 중이다.

- 대리운전, 콜택시, 물류택배 등의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사업을 계획하고 있으며, 특히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등 스마트폰용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사업전개 중이다.

- 매출구성은 통신 솔루션 57.57%, 기타 시스템 42.43% 등으로 구성된다.


3. 케이엠더블유

- 통신 산업과 관련된 RF 부품산업에서 안테나 및 RF 설계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통신장비 업체로 RF 관련 다수의 국내외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부품부터 Subsystem까지 RF Total Solution을 제공 한다.

- 동사는 안테나 및 RF 설계기술과 LED 조명 기술을 융합하여 차별화된 조명 제품을 개발함으로써 차세대 광원으로 주목 받고 있는 LED 조명 사업 및 LED 조명 응용분야에서 확고한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 단납기 대응이 가능한 일관 생산체제를 구축하였으며, 원가경쟁력이 필요한 아시아 시장 공략을 위해 중국에 개발부터 생산까지 완료할 수 있는 현지법인 운영 중이다.

- 아시안게임(2018년 인도네시아)과 올림픽(2020년 도쿄)등에도 조명 공급 참여를 준비중에 있이다.

- 매출구성은 FILTER 46.48%, ANTENNA 류 25.45%, RRH 류 16.04%, LED 12.03% 등으로 구성된다.


4. 쏠리드

- 동사와 동사의 종속회사 대부분은 통신 장비 관련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팬택이 통신 단말기 부문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국내통신 장비 시장에서 동사 및 종속회사는 국내 주요 이동통신사업자인 SK텔레콤, KT, LGU+ 를 주요 고객으로 하고 있다.

- 동사 및 종속회사는 인빌딩 통신장비 시장의 선점을 위하여 해외 사업자의 통신환경에 맞춘 이동통신 중계기인 DAS, ICS 및 RF 중계기 및 유선 전송장비인 C-RAN 장비 등을 전세계 20여개국에 공급하고 있다.

- 동사는 일반적인 중계기 업체들이 보유하고 있는 RF 회로설계 및 제작 기술뿐 아니라,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Poly-phase filter 기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기술 등)을 개발하였다.

- 매출구성은 유무선통신장비 87.62%, 용역 및 기타 8.87%, 휴대폰 단말기 3.51% 등으로 구성된다.


5. 오이솔루션

- 동사는 2003년 8월에 설립되어 전자, 전기, 정보통신 관련 제품의 연구개발, 제조 및 제조 및 판매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한다.

- 국내시장의 경우 공식적인 시장점유율 통계가 없어 추산하기 어려우나, 세계시장은 2016년 기준 6.7조원의 시장규모가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동사 점유율은 1%를 조금 상회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 주요 고객사는 해외기업들이며, 주력제품인 양방향 송수신 광트랜시버는 넓은 동작온도범위, 다양한 특성설계를 통한 고객만족도 향상, 신속하고 빠른 고객대응 등을 차별화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한다.

- 일본 시장 공략 확대 및 글로벌 기업화의 발판으로 OE Solutions Japan (OESJ)법인을 설립하였으며 품질을 중요시하는 시장 특성상 중국 등 후발업체보다 동사가 품질과 성능에서 경쟁우위가 있다.

- 매출구성은 광통신용 모듈 94.98%, 광통신용 소자 5.01%, 상품 0.01% 등으로 구성된다.

조류독감 종식단계를 앞두고 충청권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라엔자(AI)가 잇따라 발생해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6, 17일 잇따라 AI 항원이 검출된 충남 아산의 산란계(알 낳는 닭)농장과 경기 평택·양주 산란중추농장(알 낳기 직전의 병아리를 전문적으로 육성하는 농장) 등 3곳이 고병원성 H5N6형 AI로 확진됐다고 18일 밝혔습니다.  지난 15일 충북 음성군 소이면 한 육용오리 농장이 고병원성 H5N6형 AI로 확진된 지 3일 만인데요. 이로써 올겨울 전국 고병원성 AI 확진 건수는 총 22건으로 늘었습니다.


지난겨울 발생 건수의 5% 수준에 불과한 것이지만, 종식단계에 접어드는가 싶던 AI가 뒤늦게 기승을 부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충남도는 해당 농장과 제2농장에서 키우는 산란계를 포함해 반경 500m내 1개 농장 등의 산란계 18만2000마리를 살처분했죠. AI는 지난달 8일 충남 천안의 산란계 농장을 마지막으로 잠잠했지만, AI 확산 방지를 위해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설정됐던 방역대가 이달 8일 전남지역을 마지막으로 모두 해제되자마자 다시 고개를 드는 양상입니다. (출처: 동양일보)


조류독감 확산이 우려되는 가운데에 오늘은 이와 관련된 기업이 무엇이 있는지 정리해보려합니다.


1. 이글벳

- 1983년 동물약품제조,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70년 10월 이글케미칼공업사로 설립되어 2000년 (주)이-글 벳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코스닥시장에서 매매가 개시됐다.

- 사업부문은 소, 돼지, 닭 등에 급여하는 사료에 첨가하기 위한 첨가제 및 주사제, 분말 및 액상제제 등을 취급하는 동물약품 제조업, 동물약품 판매업으로 구성된다.

- 제형별로는 첨가제, 수용산제, 주사제, 액제까지 모든 제형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주사제와 액제 그리고 첨가제는 KVGMP(품질우수관리업체) 인증서를 보유하고 있다.

- 동사는 EU-GMP(유럽 의약품 생산기준) 공장 신축을 통한 품질향상 및 생산성 증대를 위하여 충청남도 예산군에 공장을 신축하였고, 2014년 11월 완공, 내수 및 수출 확대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동물약품상품 58.93%, 동물약품제품 40.15%, 임대부문 0.92% 등으로 구성된다.


2. 파루

- 동사는 1993년 7월 설립되었으며 신재생에너지사업(태양광사업), LED조명사업, 위생환경산업(농기계, 손세정제 외)을 영위하고 있다.

- 신재생 에너지 전문기업으로 2014~2016년 미국 알라모 대규모 양축추적식 시스템 공급(400MW)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면서 글로벌 기술력을 입증했으며 설립 후 꾸준히 일본, 동남아시아 등 국외시장 진출 준비해왔다.

- 세계 태양광시장은 침체된 세계 경기여건에도 불구하고 파리기후 변화 체결 등 우호적인 정책 환경으로 전년대비 20% 이상의 고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 2017년 국내 태양광 설치량은 약 800MW로 추정되며, RPS(신재생에너지의무 사용 정책)시장 통합에 따른 수혜로 1GW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 매출구성은 태양광추적장치 81.82%, 위생환경사업 14.1%, LED 4.08% 등으로 구성된다.


3. 제일바이오

- 동사는 1977년 설립되어 2002년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한 기업으로 발효를 기반으로 하는 동물약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제품제형화와 일반사료첨가제 사업에 대한 연구개발성과를 상업화하고 있는 기업이다.

- 순수 외국회사를 제외하고 국내 최대의 발효설비를 보유하고 순수 우리 기술에 의하여 개발된 원료를 생산 판매 수출해 오고 있다는 점에서 생명공학분야의 선도적인 기업이다.

- 사업부문은 미생물 개량을 통해 효소제, 효모배양제, 유산균면역물질, 항생제 등을 생산하는 발효 부문, 합성방식으로 항생제를 생산하는 합성 부문으로 구분된다.

- 주요제품은 가축의 성장촉진 및 생산성개선 효과가 있는 `사카로컬쳐`, 양돈의 유행성폐렴 치료제 `다이나무티틴`, 가축의 성장촉진 및 설사예방용 `콜리스틴`, 가축의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제인 `프로실린`등이 있다.

-매출구성은 기능성첨가제 35.16%, 치료제 및 기타 31.03%, 발효제품 16.7%, 상품 16.66%, 진단키트 0.45% 등으로 구성된다.


4. 중앙백신

- 동사는 1994년 법인으로 전환, 2003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동물백신 제조, 일반제제 판매, 연구 및 질병검사 용역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이다.

- 동물백신은 수이샷 양돈백신, 포울샷 가금백신, 캐니샷 애견백신, 보비샷 축우백신 등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사료첨가제, 소독제 등의 일반제제 동물약품과 생물학적 제제 관련 용역을 제공하고 있다.

- 면역원성과 안전성을 높이면서도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제조기법이 개발되어지고 일부 기술은 실제 생산에 적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 최근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국내 동물약품 회사의 해외진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국내시장의 포화상태를 해외 시장 판매를 통하여 극복하려는 노력이 진행중이다.

- 매출구성은 수이샷 양돈백신 53.37%, 포울샷 가금백신 16.54%, 구제역 11.42%, 캐니샷 애견백신 7.31%, 보비샷 축우백신 5.31%, 기타백신, 진단액, 자가백신 3.06% 등으로 구성된다.


5. 체시스

- 지배회사와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자동차 부품인 REAR-AXLE, CROSS-MEMBER, CRADLE, ARM, OIL-PAN 등의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이다.

- 주요 시장은 자동차 회사로 전량 주문생산에 의해 생산, 공급하고 있으며 전 제품이 단독개발제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 자동차 샤시 부문에 대한 설계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컨셉카 개발 단계부터 완성차 업체와 협력하기 때문에 제품 수주 시 높은 가격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 연구소 설립이전부터 기술투자에 매진하여 3차원 CAD System인 CATIA를 도입하고 자동차의 주행 상태를 모의실험하여 제품의 성능 확인이 가능한 다축 Suspension 내구시험기를 가동중이다.

- 매출구성은 AXLE 31.92%, CROSS MBR 29.87%, 기타 23.13%, ARM 15.08%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지난 해에는 유독 화재사고가 많았는데요. 특히 대형사고로 번져서 많은 생명을 앗아간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나, 밀양 세종병원 화재는 탄식을 불렀습니다. 제대로된 소방 정비나 안전 점검 등 미비한 제도와 관리가 여실히 드러나는 사건들이었는데요. 앞으로는 이러한 화재 안전에 대한 대비가 더 철저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인명보호라는 정부 차원에서도 그렇지만, 사유재산 보호와 배상금 예방이라는 사유재산의 측면에서도 말이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관련 기업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 한국내화

- 1973년 한국특수내화공업사로 설립되어 2000년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종합 내화물 생산 업체이다.

- 정형, 부정형, 염기성 및 각종 내화물과 알루미늄 합금 및 탈산제, 비금속 미분체 등을 제조, 생산, 판매 및 시공하는 사업 영위. 주요 시장으로 제철, 제강, 시멘트, 유리, 중공업, 전력 및 화력발전소가 있다.

- 내화물의 특성상 국내 기간산업의 경기에 영향을 받으나 그 경기 변동 폭이 크지는 않고 제철 제강업의 특성상 계절적인 요인은 거의 없다.

- 미국 Vesuvius사와 부정형 내화물 전반에 대하여 기술 제휴를 체결했을 뿐 아니라 일본의 구주내화연와 주식회사, 독일의 Karrena와도 기술 협약으로 내화물 생산부터 시공까지 전반에 걸쳐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 매출구성은 내화물 56.24%, 건설 25.94%, AL사업부 17.82% 등으로 구성된다.


2. 한창

- 동사는 제조사업, 호텔임대사업, 부동산개발사업 부문을 영위하며 소화기 제조, 판매사업 등을 주력으로 한다.

- 국내 가스소화설비 전국 제조 업체로 국내 시장 점유율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판매 제품에는 HFC-23 청정소화약제 가스소화설비가 있다.

- 가스소화설비 제품 뿐만 아니라, 소화기, 가스자동소화장치, 상업용 주방자동소화장치 등 소방 시장에 신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 국내에서 호텔위탁운영사업 수행을 위해, 2016년 2월 주식회사 에이치디어반스테이(HD Urban Stay)라는 호텔운영법인을 자회사로 설립하고, 라마다호텔 앤 스위트 서울 남대문의 호텔위탁운영을 개시했다.

- 매출구성은 부동산개발 47.36%, 호텔임대 21.97%, 수산물유통 19.96%, 제조사업 10.7% 등으로 구성된다.


3. 파라텍

- 1973년 극동스프링크라(주)로 설립되었으며, 소방용기계기기류, 금속밸브류 제조 및 판매업, 소화용 혼합가스 제조, 저장, 판매업 등을 영위한다.

- 사업부문은 소방기구 제조, 도매, 소방설비 시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 소방시장은 건설경기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최근 소방시설공사에 대한 분리발주에 관한 내용들이 발의됨에 따라 동사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입찰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되는 등 동사의 수익창출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 동사는 국제경쟁력을 갖춤으로써, 미국, 영국, 일본, 호주, 이스라엘의 수출시장 및 그 이외의 수출시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 매출구성은 소방 설비 시설 70.22%, 소방 기구 제조 29.78% 등으로 구성된다.


4. 엔케이

- 1984년 설립되어 2008년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었으며 주요 사업은 소화장치(고정식)부문, 밸러스트 수처리장치 부문, 해양플랜트 기자재 부문, 고압가스 용기부문이 있다.

- 동사의 주요제품은 소화장치(고정식)이며 이는 선박건조에 소요되는 선체의장부의 부품 중 화재의 진압을 위하여 필요한 장치이다.

- 환경규제와 관련한 IMO협약에 따라 선박의 배기가스 저감장치 및 순환식 배기가스세정시스템 장착 의무화로 신규 시장 매출 증가 기대중이다.

- 동사는 차세대 선박 추진연료인 LNG의 선박 대 선박 주유를 위한 설계 핵심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선박용 소화장치 62.72%, 밸러스트 수처리장치 20.13%, 고압 가스용기 14.33%, 기타 1.41%, 해양플랜트 기자재 1.4% 등으로 구성된다.


5. 에버다임

- 동사는 콘크리트펌프트럭, 어태치먼트, 락드릴, 소방차, 타워크레인, 발전기, 락툴 등의 제조 판매와 중장비 매매 및 파일, 토목공사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사업부문은 건설기계부문(건설기계사업부), 차량사업부문(차량사업부), 드릴 부문(드릴 사업부), 중장비사업부문(중장비사업부) 구성되어 있다.

- 건설기계 산업은 완전경쟁 시장으로,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이미 성숙단계에 진입해 있으나, 수요 측면에서 보면 중동, CIS, 동남아시아, 남미 등 신흥국을 대상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산업이다.

- 해외 시장은 글로벌 선두업체가 형성한 높은 가격이 유지되고 있어 글로벌 선두업체와 유사한 품질과 경쟁력 있는 가격을 핵심 역량으로 해외 수출에 주력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차량 49.86%, 건설기계 30.29%, 중장비 13.22%, 드릴 6.63%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정보주 후보와 프레시안의 진실공방이 뜨겁습니다. 어느 쪽이 사실인가에 대해 많은 이들이 주목하는 가운데에 정봉주 후보는 서울시장 출마를 다시 한번 선포하였습니다. 어려운 상황을 어떻게 이겨나갈지, 또 이후의 선거운동은 어떻게 진행될지 궁금하네요. 정보주 후보 관련 기업에는 무엇이 있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이 분에 대해서는 아직 자료가 많지 않은 듯 합니다. 비상교육 하나만이 관련 기업일 수 있다는 연관성이 제기 되고 있네요.


1. 비상교육

- 동사는 학습교재 출판 및 온오프라인 교육 서비스 사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7년 12월 4일에 설립했다.

- 종속회사는 교육서비스업을 영위하는 비상캠퍼스, 유아교육사업을 영위하는 (주)비상키즈를 포함한 총 5개 회사로 구성된다.

- 초등· 중등·고등학교 교과서 발행사업, 초등·중등·고등학습교재 출판사업, 온·오프라인 교육서비스사업, 학력평가 및 컨설팅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한다.

- 주요 상표로는 한끝(국어, 사회, 영어), 오투과학, 개뿔수학, 리더스뱅크 영어, 완자 시리즈, 아이수박씨닷컴(초등), 수박씨닷컴(중등), 비상에듀(고등) 등이 있다.

- 매출구성은 출판부문 79.07%, 온라인사업 15.48%, 오프라인학원사업 4.18%, 유아교육사업 1.86%, 내부매출 -0.6%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2016년 9월 경주에 이어 지난해 11월 포항까지 지진의 위협은 더 이상 남의 나라 얘기가 아닙니다. 우리의 일상을 위협하는 지진에 경각심을 가지고 대비해야 할 때입니다.  우리나라의 지진대비 수준은 우리 국력과 대외 이미지에 비해 낙후돼 있는 실정입니다.  선진국 수준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지진에 대비하기 위한 사회 인프라 구축이 중요한 과제입니다. (출처: 파이낸셜뉴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진과 관련된 기업들을 살펴보려합니다.


1. 포메탈

- 동사는 각종 특수 단조설비를 구비하고 자유단조품 외에 형단조품, 복합 단조품, 중공단조품, 링 등의 단조품을 생산하고 있다.

거의 모든 기계산업이 단조산업의 전방산업이며 그 중 자동차, 신재생에너지 및 자동화, 방위산업, 산업기계, 농기계 등 5개 분야가 동사의 주력 고객이다.

자동차 산업과 신재생에너지 및 자동화는 수출의존도가 큰 산업이므로 환율 및 국제경기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고려되는 분야임. 방위산업은 환율이나 경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이 있다.

매출 증대를 위하여 중동 아시아 등 새로운 수출처 개척과 고부가가치의 새로운 제품 개발 등에 노력을 하고 있다.

매출구성은 산업기계부문 33.35%, 자동차부문 30.12%, 신재생에너지 및 자동화 부문 17.89%, 방산부문 12.26%, 농기계부문 6.38% 등으로 구성된다.


2. 코리아에스이

- 동사는 1995년 1월 27일 SEEE 공법을 이용한 제품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한ㆍ일 합작법인(지분율 50% : 50%)으로 설립되었다.

영구앵커라 함은 토목공사에서 토압에 의한 위험이 예상되는 곳에 고하중의 인장력을 가하여 위험요인을 영구히 제거하여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시공되는 토목자재이다.

동사는 NEO블록, SA-FANCE의 매출신장을 위해 시장개척을 강화하고 있으며, 캠핑트레일러(카라반) 사업 및 부동산개발에 새롭게 진출하였다.

동사는 부동산개발업, 강재, 강구조물 및 강제품의 제작 판매 수리업에 새롭게 진출 하였으며, 플랜트제작을 위한 당진공장은 가동을 시작하였다.

매출구성은 공사 53.22%, 제품 21.93%, 분양공사 20.63%, 기타 4.23% 등으로 구성된다.


3. 대창스틸

- 1980년 설립되어 2014년 코스닥에 상장하였으며 철강재(냉연, 열연강판)와 일부 건축자재(이중바닥재) 가공 및 판매를 주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포스코의 냉연강판 스틸 서비스 센터로서 자동차, 가전, 건설 및 산업용기 등의 산업 원자재인 냉연코일을 자동화 기계설비를 통하여 수요자가 원하는 규격으로 전ㆍ절단 가공하여 공급하고 있는 전문 철강유통 서비스 회사이다.

LG하우시스, KCC와 이중바닥재 OEM 계약을 체결하여 납품 규모를 확대. 또한 내진형 이중바닥재, 기밀형 이중바닥재 특허획득과 친환경인증서, 탄소표시인증진행 등으로 특화된 이중바닥재를 개발, 보유하고 있다.

동사는 포스코 스틸서비스센터로 포스코로부터 원재료(코일)를 공급받아 가공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당사와 동일한 영업을 영위하는 회사는 전국적으로 18개사가 있다.

매출구성은 철강사업부 69.82%, 알루미늄사업부 23.78%, 선재사업부 3.57%, RAF사업부 3.17%, 연결조정 -0.34% 등으로 구성된다.


4. 삼영엠텍

- 동사는 내연기관구조재 및 산업기계구조재 등 산업에 필요한 철강소재와 구조물 구조재 등 교량에 필요한 교좌장치의 생산 및 판매하는 업체이다.

내연기관구조재의 대표품목인 MBS(Main Bearing Support)은 두산엔진㈜과 현대중공업㈜에 주로 납품하고 있고 구조물 구조재는 동사의 인천 신공항연육교의 특수장치가 시초이며 최근에 일반건축물에도 이용된다.

동사는 소수력발전기 제작 및 설치 사업으로 시장 진출하여 향후 에너지 운용사업 진출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할 것으로 계획하고 있다.

특허 및 신기술을 활용 해외시장의 진출을 시도하여 기존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교량받침의 기존사업과 동일 영업개념으로 연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교량상부공에 참여함으로써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매출구성은 플랜트기자재 34.96%, 선박엔진구조재 33.14%, 구조물구조재 29.54%, 풍력기자재 2.36% 등으로 구성된다.


5. 피엔씨테크

- 1999년 3월 설립된 동사는 한전의 배전선로 지중화 확대 및 고품질 전력공급 정책을 실현하기 위하여 배전자동화 단말장치를 개발 및 제조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동사의 E시리즈 보호계전기는 각종 빌딩, 아파트, 플랜트 및 대규모 시설내의 구내 변전소의 완전 디지털 방식을 위해 적합한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을 보유한 다기능 일체형 디지털 보호계전기이다.

E시리즈는 터키 현지 바이어의 개발주문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꾸준히 납품이 진행되고 있으며 대만시장은 대만전력청에 납품되고 있고 기타 해외시장은 인도네시아, 이란, 시리아 등에 납품되어 운전되고 있다.

원격감시제어시스템 부문에서 동사는 전력분야에 특화된 시스템 솔루션을 가지고 있으며 영업현황으로는 철강, 제철 등의 업종과 SOC부분인 철도, 병원 등의 의료시설에서도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매출구성은 배전자동화 55.56%, 전력량계 15.78%, 보호계전기 12.2%, 개폐기 5.68%, 소화기/환기센서 4.1%, 원격감시제어시스 3.41%, 고장점표정장치 2.76%, 상품 0.51% 등으로 구성된다.


(출처: 와이즈에프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