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이번 포스팅부터 연이어 2017년에 신규상장한 종목들을 정리해볼 예정인데요. 한 포스팅에 5개 정도로 정리해볼 생각입니다. 하루에 5종목씩 주가와 평가상태 등을 되돌아보면서 IPO거품이 사라진 좋은 종목들의 매수를 고려해볼 시간을 가져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아우딘퓨처스

- 2000년 12월 설립된 동사는 ODM을 비롯한 자사 브랜드(네오젠 더마로지, 리피, 써메딕 등)를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 제조업체이며 화장품 스킨케어 품목과 시트마스크 등의 개발 분야에서 트렌드를 이끌어 가고 있다.

- `네오젠 더마로지 바이오필 거즈필링` 제품은 기존에 없던 `거즈필링` 카테고리를 새롭게 창출하는 등 차별화된 상품 개발 역량을 보였으며 60여개 이상의 국내외 파트너사와 제품개발을 성공적으로 진행한 바 있다.

- `이하늬 거즈필링` 등 베스트셀러를 필두로 한 네오젠 화장품의 제조뿐만 아니라 주류, 의약품 등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90여개 브랜드, 550여개 제품을 디자인하여 디자인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 국내 홈쇼핑 채널(CJ, GS, NS, 현대 등)을 통해 타겟에 맞는 제품을 다양하게 공급하고 있으며 2017년에는 미국, 러시아 홈쇼핑 채널에 런칭 확정 및 방송을 통해 글로벌 TV 쇼핑 채널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 매출구성은 제품 75.45%, 상품 22.86%, 디자인용역 0.96%, 기타 0.73% 등으로 구성된다.


2. 브이원텍

- 2006년 5월 설립된 동사는 머신비전 및 화상처리를 통한 디스플레이 검사 S/W 개발 및 장비를 제작하고 있으며 주요제품으로는 LCD/OLED 압흔검사기, OLED 원장 FMM Align 및 검사 비전 시스템 등이 있다.

- LCD, Rigid OLED 패널과 달리 많이 휘어지고, 굴곡이 심한 Flexible OLED의 특성에 대응할 수 있는 Flexible OLED용 압흔검사기를 생산현장의 대응과 연구소에서의 개발을 통해 개발하였다.

-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는 모듈 공정 내 압흔검사 분야에서 장비 관련 지적재산권 출원 및 등록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압흔 관련 검사기술을 한국/중국/대만 3개국에 출원하여 등록 완료하였다.

- 동사의 영상 처리 및 컴퓨터 비전 기술에 축적된 노하우를 활용할 수 있는 범위가 많은 3D Scanner와 점등검사기 사업분야에 신규투자를 진행하기 위해 기술적인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LCD/OLED 압흔검사기 77.3%, OLED Mask S/W 및 검사장비 14.63%, OLED Lamination, 2차전지, Solar 검사장비 등 4.45%, 임대 등 3.62% 등으로 구성된다.



3. 힘스

- 1999년 1월 설립된 동사는 디스플레이 제조사에 OLED 제조관련 Mask공정 및 Glass 검사공정에 필요한 장비를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주요제품은 OLED장비, 스마트폰 카메라용 블루필터 검사기 등이 있다.

- OLED 마스크 장비를 양산하는 기업은 국내에서 동사가 유일하며 국내 주요 업체에 독점 공급하고 있다.

- OLED 합착 Glass 이물검사기는 불량이 다음 공정으로 연결되지 않고 단절되도록 미세 부분까지 제어할 수 있는 기구부 설계와 Vision부의 인지 능력을 향상시켜 100% Defect을 검출하는 성능을 갖추었다.

- OLED Flexible 합착 검사기는 이물의 높이를 3차원으로 측정하여 양불 판정을 하는 장비로, 동사는 3차원측정 신뢰도를 높인 시스템과 로직을 설비에 장착하여 이물 선별 능력에 주안점을 두었다.

- 매출구성은 OLED장비 90.54%, Non-OLED장비 5.77%, 기타장비 3.44%, 상품 및 기타 0.26% 등으로 구성된다.


4. 이즈미디어

- 동사는 주로 휴대폰에 탑재되는 CCM(Compact Camera Module : 초소형 카메라 모듈)에 대한 검사 및 조립 장비의 개발,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2002년 11월 20일에 설립했다.

- 전공정의 일부에도 진출하여 카메라모듈의 조립과 검사를 한번에 진행하는 Active-Align 장비를 고객사에 납품, 스마트폰에 탑재되기 시작하는 듀얼카메라용 장비와 자동차용 카메라모듈 장비를 납품을 시작했다.

- 다변화되고 있는 카메라 모듈 시장에 대비하기 위해, 장비개발팀을 별도로 신설하여 신규 장비 개발에 집중하여 자동차용 AA장비를 시작으로 최근 새롭게 성장하고 있는 생체인식, TOF분야 장비를 개발 및 납품하였다.

- 국내에서는 파트론, 엠씨넥스, 아이엠텍, 나무가 등 국내 유수의 카메라모듈 제조업체에 검사장비를 납품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CCM검사장비 96.8%, 용역매출 등 3.2% 등으로 구성된다.



5. 셀트리온헬스케어

- 1999년 12월 설립된 동사는 주요 계열사인 셀트리온과 공동 개발 중인 바이오의약품(바이오시밀러, 바이오베터, 바이오 신약)들의 글로벌 마케팅 및 판매를 담당하고 있다.

- 셀트리온이 제조한 바이오시밀러 및 기타 의약품에 대한 독점 판매권을 가지고 있으며 Pfizer, Teva, Mundipharma 등을 포함하여 116개 국가에서 39개 파트너와 판매 및 유통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

- 세계 최초 단일클론 항체 바이오시밀러인 인플릭시맵 바이오시밀러 및 리툭시맙, 트라스투즈맙의 바이오시밀러의 승인을 획득(EMA 기준) 글로벌 의료 데이터로 효율적인 제품 마케팅/판매가 가능하다.

- 바이오베터 개발품목 중 하나인 램시마 피하주사제형은 램시마 정맥주사형을 개량한제품으로 목표시장을 인플릭시맵 시장에서 전체 TNF-α억제제 시장으로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 매출구성은 램시마(제품) 55.04%, 트룩시마(제품) 33.33%, 트룩시마(상품) 8.28%, 허쥬마 1.93%, License 수익 외 1.41%, 램시마(용역) 0.01%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02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2018년 신규상장 주식 리스트 (1)

2018/05/02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2018년 신규상장 주식 리스트 (2)

2018/05/02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2018년 신규상장 주식 정리 (3)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키오스크의 본격적 보급이 곧 시작될 듯합니다.

안녕하세요, 핀리입니다. 얼마전에 자주 들르던 햄버거 가게의 주문 접수 직원이 사라지고, 키오스크 기계로 대체된 것을 보았습니다. 올해로 7천원을 넘은 최저임금 상승에 많은 자영업자와 프랜차이즈 점주들이 타격을 입고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가게 설계단계에서부터 키오스크로 주문접수 운영시스템을 만드는 가게들도 많구요. 대표적으로는 백종원 외식경영전문가의 브랜드 중 역전우동24’가 있겠네요.

 

키오스크 서비스가 아직 생소한 약국에서도 처방전 접수, 결제가 가능한 키오스크 도입이 점차 확산될 것으로 보여 주목되고 있습니다. 약국관련 IT솔루션 기업 크레소티가 오는 5월 약국 전용 키오스크를 정식 출시한다는 소식이 들리기 때문인데요.

 

이미 지난해부터 아산병원 인근 문전약국과 인천 남동구에 위치한 1인 약국 등 일부 약국에서 시범적으로 설치·운영되어 왔던 약국 전용 키오스크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겠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크레소티는 약사 대상의 홍보활동을 시작했고, 앞으로 크고 작은 약사 대상 행사 등을 통해 홍보활동에 주력한다는 입장이고요. 편의점과 약국은 생활필수품을 파는 상가이니 만큼 작은 점포에 키오스크 점유율이 높아질수록 키오스크 시장 전체 확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오늘은 키오스크 관련 기업들을 정리해보려합니다.



 

1. 케이씨티

- 동사는 금융단말 및 특수단말 등을 제조, 판매하는 업체로 자동화기기 분야, 금융단말기 분야, 공공분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100% 외주 생산 중이다.

- 자동화기기 분야에서 Smart ATM, mini CD, 지능형 고객안내시스템(IQS), 무인 기로 공과금 수납기, OutDoor Kiosk, Information Kiosk 등을 공급하고 있다.

- 금융단말기 분야에서는 영업점 창구용 통합 단말, 금융통합단말 솔루션 cop*era, 통장 프린터, 카드 발급기, 피운 패드, 신분증 스캐너 등을 공급하고 있다.

- 공공분야에서는 마권발매기, 무인 마권발매기, 무인환급기, 스포츠토토 발매기, LOTTO 발매기, VIP용 재석 발매기 등을 공급하고 있으며 해외시장에는 J-TOTO 발매기 등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제품 46.85%, 용역 29.68%, 상품 17.74%, 임대 5.74% 등으로 구성된다.

 

2. 케이씨에스

- 동사는 전문화된 24시간 무정지, 실시간 솔루션에 대한 축적된 기술을 기반으로 NonStop SI 사업, Enterprise Solution 사업, 교통 인프라 사업, KIOSK 단말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Nonstop SI 사업의 경우 금융권의 검증된 솔루션을 바탕으로 수익 창출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으며, 교통인프라 사업은 국책과제 수행을 통한 특허등록으로 독자적인 기술력을 보유중이다.

- KIOSK단말은 철도, 극장, 리조트, 고속버스 등 다양한 용도의 티켓발매기를 비롯하여, 무인민원발급기, FIS, 주유기 셀프 Unit 등을 개발 및 제조하여 공급 중이다.

- 동사는 신규사업으로 디바이스 암호화 사업, 신규 솔루션 비즈니스를 진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유지보수 및 용역 41.12%, S/W (Solution ) 33.25%, H/W (NSK ) 25.63% 등으로 구성된다.

 


3. 씨아이테크

- 동사는 컴퓨터시스템 개발 및 판매업,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및 판매업, 정보통신 관련 컨설팅 및 시스템 통합 관련 사업, 자료조사, 처리, 공급 및 컴퓨터 관련 용역, 기타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 사업부문은 IT사업부문, 유통사업부문, 부동산 사업으로 구성 된다.

- 유통사업의 경우 국내경기의 회복지연 등 실수요자의 시장악화에 따른 물량 감소, 쉬운 진입장벽으로 인해 업계전반이 어려운 상황에서 채산성도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회사는 유통사업의 비중을 줄여가고 있는 상황이다.

- 동사는 ()씨아이테크를 합병하면서 회사의 조직을 경영기획본부, IT사업본부 및 키오스크사업본부로 재편하였다.

- 매출구성은 무인자동증명발급기 외 63.25%, 발급기 소모품, 전자출판 외 33.6%, 임대 3.15% 등으로 구성된다.

 

4. 푸른기술

- 동사는 무인 자동화 기기 관련 제품을 개발하여 제조 판매. 메커트로닉스 기술과 인식 기술에 바탕. 크게 금융자동화, 역무자동화 및 특수단말 시스템 분야로 구분된다. 

- 역무자동화 분야는 국내의 반송선, 경춘선, 신분당선 및 대구 신 교통사업에 관련 제품을 공급 중이거나 공급할 계획. 향후 수도권 지하철, 광역 철도 구간 및 경전철 추가 노선에 관련 제품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려고 노력중이다.

- 동사에서 공급하고 있는 특수단말 시스템의 수요처는 한국마사회와, 국민체육진흥공단이며 동사의 고객사인 케이씨티는 한국마사회에 2001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해당 시스템을 주로 공급하고 있다. 

- 동사의 제품은 승차권 발매기, 자동충전기, 환불기, 자동정산기 및 자동게이트시스템과 상기 장비를 구성하는 핵심 장치 등이다.

- 매출구성은 지폐방출기 외 45.08%, 게이트시스템 외 38.06%, 기타 10.75%, OMR판독기 외 6.11% 등으로 구성된다.

 


5. 토필드

- TOPFIELD‘TOP’‘FIELD’의 합성어로 어떤 분야에서도 최고가 되기 위한 회사의 가치를 상징하는 것으로, 5대 영역에 걸친 전문 기술과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는 코스닥 상장 기업이다.

- 메디컬, 바이오, 키오스크와 바이오인식 물리보안, 유통 사업의 5대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동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에 발맞춰, 전세계적으로 각광 받고 있는 성장동력 산업의 주요 사업을 개진하고 있다. 

- 1998년 설립 이래, 디지털 방송 시장에서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2000STB를 최초로 수출하며, 자체 브랜드의 지속적인 성장을 일궈온 전문 기업이다.

- 각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독보적인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 한국 시장과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대내외 고객들이 더 높은 부가가치를 경험할 수 있도록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토필드 90.41%, 토필드인터내셔널 11.3%, Topfield Co.Ltd 2.81%, 웨이투비 1.13%, Topfield Europe GmbH 1.0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자료

(1) http://www.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18563&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2)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애플의 아이폰X 판매 호조

얼마전에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불거진 아이폰X 판매부진설에 일침을 가했습니다. 쿡은 1일(현지시간) 2018 회계연도 2분기 실적 발표 직후 컨퍼런스콜에서 “3월 분기 동안 아이폰X은 매주 가장 많은 인기를 누린 모델이었다”고 강조했는데요. 최근 들어선 삼성전자, TSMC 등 관련 부품 공급업체들의 실적 부진을 이유로 아이폰X 판매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많았었는데 이를 전면 부정하는 것이었죠. 애플은 3월 마감된 분기에 아이폰 5천220만대를 판매, 지난 해 같은 기간에 비해 3% 가량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1. LG이노텍

- 동사는 1970년 금성알프스전자(주)로 설립되었으며, 전기전자부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종합 전자부품업체임. 2009년 LG마이크론(주)와 합병하였다.

- 현재 광학솔루션 사업부문, 기판소재 사업부문, 전장부품 사업부문, LED 사업부문의 4개 사업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모바일 기기, 디스플레이 기기, 자동차, LED 조명 등의 주요 부품을 생산, 판매했다.

- 국내외 주요 거점 별로 11개 생산기반과 10개 판매거점을 구축하여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보하였으며, 국내와 일본에 R&D 캠퍼스와 연구소를 운영하며 혁신기술과 시장선도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글로벌 TOP 지위를 확보한 Display 부품 사업군은 신기술 개발 및 신제품 선 제안을 통한 시장선점으로 안정적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2. 인터플렉스

- 동사는 1994년 07월 설립되었으며 동사와 종속회사 화하선로판(천진)유한공사(중국)와 INTERFLEX VINA CO.,LTD.(베트남)는 FPCB 제조업 단일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 FPCB는 전자제품의 소형화, 경량화에 따른 적용 제품군의 확대로 PCB시장에서의 점유율도 증가하고 있음. 99년에 국내 최초로 폴더형 FPCB를 양산했고 그 이듬해에는 Rigid FPCB 양산을 시작하였다.

-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전자,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팬택 등 국내 우량 기업과 Motorola, Apple, Sharp, Flextronics 등 해외 글로벌 기업이 있다.

- 현지에 진출한 Big Customer의 요구에 따라 중국 및 베트남 출자회사에 생산 CAPA 증설투자를 진행하였으며, Multi FPCB LINE 구축을 통한 현지 생산 및 공급량 확대 등으로 매출 증대에 기여 중이다.

- 매출구성은 제품 56.06%, 상품 43.94% 등으로 구성된다.




3. 삼성SDI

- 1970년 1월에 설립되어 소형전지, 중,대형전지 등을 생산/판매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판매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영위중이다.

- 동사는 리튬이온 2차 전지 사업부문에서 2010년에는 세계 전지시장에서 M/S 1위를 차지한 이래로 현재까지 지속유지하고 있다.

- ESS 사업은 차별화된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력과 양산기술로 제품 경쟁력을 제고하는 한편 한국, 미국, 유럽, 일본 등지의 유통채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 향후 ESS 산업은 발전설비 분산화와 신재생 발전 성장에 따른 수요 확대, 경제성 확보에 따른 도입 증가로 연간 50% 이상의 고속 성장이 전망이다.

- 매출구성은 소형전지 등 68.09%, EMC 외 31.91% 등으로 구성된다.


4. 삼성전기

- 동사는 1973년에 설립해 각종 전자부품의 제조ㆍ판매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 삼성그룹에 속한 계열회사이다.

- 카메라모듈, 통신모듈 등을 생산/판매하는 모듈솔루션, 수동소자 등을 생산/판매하는 컴포넌트솔루션, 반도체패키지기판, 고밀도다층기판 등을 생산/판매하는 기판솔루션 사업부문으로 구성된다.

- 수원사업장은 본사, R&D, 마케팅 및 지원기능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세종/부산 사업장은 기판, MLCC, 칩 인덕터 등 고부가 제품 생산, 천안 사업장은 Fo-PLP개발로 운영하고 있다.

- 현재 동사는 소재광학, 다층박막성형, 고주파 회로설계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카메라모듈, 통신모듈, 칩부품, 기판 등을 세계 일류 사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모듈솔루션 44.04%, 컴포넌트솔루션 34.47%, 기판솔루션 21.49% 등으로 구성된다.




5. LG디스플레이

- 동사는 TFT-LCD 및 OLED 등의 기술을 활용한 Display 및 관련 제품의 연구, 개발, 제조, 판매를 하고 있으며, TFT-LCD 및 OLED 제품의 생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OLED는 2013년 1월 55인치 OLED TV를 세계 최초로 공급한 데 이어, UHD OLED TV, 플렉서블 OLED 스마트폰, Wearable용 원형(Round) OLED 패널 등을 지속적으로 출시했다.

- 노트북과 모니터 제품 등 전통 IT 제품 시장은 성장 정체 혹은 역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빠르게 진화 중인 e생태계 환경에 발맞춰 Smartphone 등 중소형 Display 시장이 꾸준하게 성장 중이다.

- LCD에서는 IPS 기술 기반의 초대형/고해상도 UHD TV 및 대형/IPS/21:9 Curved 모니터 등 차별화 제품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in-TOUCH 기반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생산 체계를 구축했다.

- 매출구성은 Display 패널 100% 이다.


※ 참고 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502104727&type=det&re=




면역항암제

항암제는 의약품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입니다. 특히, 면역항암제가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오는 5월 초에 "바이오코리아 세션"에서 관련 기술들의 최신 동향과 시장 흐름을 소개하는 자리가 마련된다고 합니다. 면역항암제는 암 자체를 공격하는 기존 항암제와는 달리 인공면역 단백질을 체내에 주입하여 면역체계를 자극함으로써 면역세포가 선택적으로 암세포만을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치료약제입니다.

 

이번 세션에서 국내 프레젠터로써 앱클론의 김규태 이사와 에이비엘바이오의 이상훈 대표가 면역항암제 기술 연구 개발 현황 발표를 준비하고 있으며, 유틸렉스 사업개발이사인 아구스틴 델라카야(Agustin de la Calle)가 해외로 진출하고 있는 T-cell 기반 기술을 소개할 예정인데요. 바이오코리아 세션을 계기로 면역항암제 이슈가 나온 김에 관련 기업들을 정리해보려합니다.




1. 유한양행

- 1926년 설립되었으며 주요사업으로 약품사업부문, 생활건강사업부문, 해외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 약품사업부문의 주요 품목으로는 B형간염치료제 비리어드 외에도 트라젠타, 트윈스타, 아토르바, 프리베나, 종합비타민제 삐콤씨 액티브 등이 있다.

- 생활건강사업부문의 주요 품목으로는 유한 락스와 칫솔, 치약, 살충제 해피홈, 표백제 유한젠 등이 있음. 해외사업부문은 유한화학에서 생산된 원료의약품을 국내외에 공급하고 있다.

- 연구개발부문에서 전년 매출액대비 6.7%로 727억원을 연구개발비로 집중 투자하였으며 현재 국내 192건, 해외 431건으로 총 623건에 달하는 특허를 보유 중에 있다.

- 매출구성은 약품사업본부 73.05%, 해외사업부 18.18%, 생활건강사업부 7.94%, 기타 0.82% 등으로 구성된다.


2. 신라젠

- 2006년 3월 설립된 동사는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감염/사멸시키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유전자재조합 항암 바이러스에 기반한 면역항암치료제의 연구 및 개발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 독자 개발 또는 독점적 라이센스를 부여받아 개발중인 항암바이러스는 펙사벡(JX-594), JX-900 시리즈 등이 있으며, 간암, 신장암, 대장암 등 다양한 암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 및 전임상연구를 진행중이다.

- 2015년 4월 미국 FDA로부터 동사의 선도물질인 펙사벡에 대하여 전세계 약 20여개국 600여명의 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글로벌 임상 3상시험의 허가를 받았으며 글로벌 임상 3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 추가 파이프라인으로서 펙사벡과 면역관문억제제의 병용치료법 개발 및 적응증 확대, 차세대 항암 바이러스의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공동연구개발수익 53.95%, 마일스톤수익 32.21%, 기타수익 12.28%, 라이선스수익 1.56% 등으로 구성된다.



3. 큐리언트

- 동사는 의약품 연구개발을 주사업으로 2008년 7월 설립되어 2016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다.

- 경기도 성남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의약품 연구개발은 약제내성 결핵치료제 등의 개발단계 프로그램과 5LO 저해 천식 치료제 등의 연구단계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 주요 포트폴리오로 약제내성 결핵 치료제 Q203,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 Q301, 항암면역/내성암 치료제 Q701이 있으며, 연구단계 프로그램인 5LO 저해 천식 치료제, CDK7 저해 항암제를 보유하고 있다.

- PEAT 및 WMC, 연구개발 관리 시스템인 FLEx DDS(개발 효율화 기술)를 활용하여 2개의 임상 프로그램과 1개의 비임상 프로그램을 수행중이다.

-Q203의 미국 FDA와의 협의를 통해 디자인된 임상 1B상 투여를 성공적으로 완료, 미국 FDA 임상 2A상 진입 허가를 동시에 득하여 임상 2A상 진입을 결정했다.


4. 제넥신

- 동사는 1999년 설립된 신약 연구개발 기업으로, 항체융합단백질 제조 및 유전자 치료백신 제조 원천기술을 국내 제약사에 이전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 치료백신은 고효능 발현벡터를 이용하여 체내에서 특정 항원 유전자와 면역증강 유전자를 발현시켜 암과 같은 만성 질환을 치료하는 새로운 기술로 현재 자궁경부전암 등 난치성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중이다.

- hybrid Fc 원천기술은 호르몬, 펩타이드, 사이토카인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지속형 제품개발에 적용이 가능한 기반기술로, 다양한 단백질치료제에 폭넓게 적용되어 연구개발 및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 2017년 12월 31일 기준 성장호르몬 결핍증 치료제인 GX-H9 (hGH-hyFc)의 한국, 유럽 임상 2상 완료와 빈혈치료제인 GX-E2 (EPO-hyFc)의 한국 임상 2상 완료 등의 실적이 있다.

- 매출구성은 기술이전 50.14%, 연구용역 46.86%, 기타상품매출 2.56%, 기술재산권 0.45% 등으로 구성된다.



5. 이수앱지스

- 2001년에 설립되어 2009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으며 바이오의약품을 연구, 개발하여 제조 및 판매하며 동사 포함 27개의 계열회사가 소속된 이수 기업집단에 소속된다.

- 혈전형성을 억제하는 항체치료제인 클로티냅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유전성 희귀질환인 고셔병과 파브리병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효소치료제로서 애브서틴과 파바갈을 판매 하고 있다.

- 바이오제약 생산공정 기술의 주요 3단계 기반기술을 자체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항체치료제 의약품 개발을 위한 필수 기술인 단클론 항체치료제 특성분석관련 뛰어난 기술 보유중이다.

- 바이오의약품 개발 사업 외에 새로운 분야의 사업으로 세계의 희귀의약품을 국내도입과 판매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페부레인은 동사가 2015년 국내 식약처의 허가를 취득하여 2016년부터 매출이 발생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애브서틴 53%, 클로티냅 23.07%, 파바갈 20.45%, 페부레인 3.36%, 기타 0.11% 등으로 구성된다.


※ 함께보면 좋은 글

2018/05/01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타겟 암세포를 노리는 표적 치료, 표적항암제 관련 주식 모음

2018/04/15 - [===왕초보 주식 공부===/테마주 정리] - 한미약품 올리타 개발 중단을 계기로 살펴보는 신약 바이오 관련 주식 정리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s://www.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19203&MainKind=B&NewsKind=5&vCount=12&vKind=1



마이크로LED

애플이 점찍어 집중 투자한 마이크로 LED(Micro LED) 디스플레이 기술이 올해부터 상용화될 수 있을까요? 마이크로 LED 대량 양산의 최대 걸림돌이었던 전사(Transfer·마이크로 단위의 칩을 정확하고, 손상 없이 기판에 장착하는 공정) 기술이 고도화한 것도 상용화의 청신호라는 설명이 작년 하반기부터 이어져오고 있는데요. 


LED시장조사업체인 "LED인사이드"는 “애플이 인수한 럭스뷰(LuxVue)를 비롯해 이럭스(eLux), 소니 등 이 분야의 대표적인 업체들이 5~6가지의 다양한 전사 기술을 개발 중이며 조만간 웨어러블 등의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마이크로 LED는 기존 LED와 구조는 비슷하지만, 칩 사이즈를 가로⋅세로 각각 100마이크로미터(µm) 이하로 줄인 제품을 뜻합니다. 현재 작은 상용 플립칩 LED의 한 변 길이가 800µm 정도지만, 마이크로 LED는 가로⋅세로 길이를 지금보다 최소 8분의 1 이하로 줄인 것이다. 




1. 루멘스

- 동사는 1996년 6월 17일 설립되어 LED소자를 비롯하여 LED소자를 이용한 일반조명군, 모듈제품군 등의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생산판매. 2006년 8월 8일 코스닥시장 상장이다.

- 지배회사인 루멘스와 종속회사인 곤산류명광전유한공사 등이 영위하는 LED개발, 제조사업 및 Topaz LGP s.r.o.가 영위하는 도광판 등 개발 및 생산 사업부문이 있다.

- Strategies Unlimited 에 따르면 LED시장은 연간 30%씩 성장하며 LED 시장은 조명용 LED 시장의 개화와 함께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 micro LED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제품대비 고해상도, 고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한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 헤드업디스플레이(HUD), 피코프로젝트 등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LED 모듈 외 제품 86.42%, LGP사업부 10.25%, LED 상품 2.67%, LED 기타 0.65% 등으로 구성된다.


2. 루미마이크로

- 동사는 화합물 반도체 제조 및 판매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2002년 08월 22일 설립. 2005년 11월 18일 코스닥시장 상장했다.

- 동사는 LED(Light Emitting Diode) 사업(Package, Module 및 완제품) 및 부동산임대업을 영위하고 있다.

- 수직계열화 형성에 따른 시너지 효과 창출의 결과로 동사의 최대주주이자 주요고객인 (주)금호전기에 TV용 LED 및 조명용 LED를 납품하게 되면 금호전기가 완성품을 판매하는 협력을 통한 영업 경쟁력 강화 전략 추구하고 있다.

- 조명용 고효율 Power LED와 조명용 고출력 COB(Chip on board) Type LED 개발 및 양산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Module,기타 81.03%, LED PKG 18.97% 등으로 구성



3. 삼성전자 

- 1969년 설립 된 글로벌 기업으로, 주요사업은 CE부문(TV, 냉장고 등)과 IM부문(컴퓨터, HHP 등), DS부문(DRAM, 모바일AP, LCD, OLED 등), Harman(인포테인먼트 등)으로 구성된다.

- 지역별로는 본사를 거점으로 한국 및 CE, IM부문 산하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부문 산하 해외 5개 지역총괄의 생산, 판매법인 등 270개의 동종업종을 영위하는 종속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 IM부문은 프리미엄 브랜드 갤럭시를 필두로 소비자 친화적이며 혁신적인 제품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Samsung Pay와 같은 Mobile Payment, Cloud 등 미래 성장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 반도체 사업 부문에서 NAND의 경우, 경쟁사 대비 앞선 기술력을 확보한 Vertical NAND를 4세대 적층 제품을 본격 양산하고 있으며, 이를 고성능 SSD에 탑재하여 프리미엄 시장에 적극 진입하고 있다.

- 매출구성은 IM 44.42%, 반도체 30.92%, CE 18.79%, DP 14.35%, Harman 2.96%, 기타 -11.44% 등으로 구성된다.


※ 참고자료

(1) 와이즈에프엔 기업개요

(2)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24/2017072402718.html

+ Recent posts